세월호 참사 4주기를 앞두고 전북교육감 예비후보들이 참사의 교훈을 되새기는 논평을 발표했다.
먼저 이미영 예비후보는 12일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그는 “4년 전 250명의 학생과 12명의 교사가 희생된 세월호 참사는 학교현장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사건”이라면서 “문재인 정부는 2기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진상을 완전히 밝혀낼 수 있도록 사법당국이 전면 재수사를 진행해 특조위 활동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예비후보는 16일 당일에는 전주풍남문 광장에서 열릴 예정인 4주기 추모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며, 이날에는 모든 후보들이 선거운동을 접고 추모하는 마음으로 지내기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황호진 예비후보는 13일 세월호 시국선언 교사들에 대한 고소·고발·징계 철회를 촉구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진상규명을 요구했던 교사들이 지금도 탄압받고 있다”면서 “교원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는 법률을 개정해 교사들의 정치적 기본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후보는 “세월호 참사 관련 교사 시국선언으로 현재 81명이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기소됐으며, 이 가운데 김정훈 전 전교조 위원장 등 32명이 2심에서 벌금형을 받았다. 해당 사건은 현재 대법원에 계류 중”이라고 지적하면서 “교육부가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했던 교사들에 대해서 고소·고발을 취하하겠다고 밝히면서, 세월호 시국선언 교사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서거석 예비후보는 “국가안전의 총체적 문제를 드러낸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4년이 지났지만, 교육현장의 안전은 여전히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우리 사회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학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 안전 불감증의 실례로 전북교육청의 무관심 속에 폐지된 학교안전지킴이 사업을 꼬집었다. 그러면서 “학생의 안전을 위해서는 위급상황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설 등 하드웨어적인 것은 물론, 아이들 스스로 위기 대처 능력을 키우는 소프트웨어적인 관심과 투자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천호성 예비후보도 이날 “여전히 세월호는 끝나지 않은 현재 진행형”이라며 “지금이라도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살아있는 자들의 관심과 기억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별이 된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교육자가 되겠다”며 “교육감이 되면 반드시 학교를 가장 안전하며 평화로운 곳으로 만들겠다. 특히 수학여행 등 학교 밖 교육활동에서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사진=전주 세월호남문농성장 365카페. 2016년 1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