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1-07 12:23:24

[권혁선 칼럼]다양한 성취수준을 가진 학생이 만족할 수 있는 수업을 하려면?


... 편집부 (2025-11-07 12:23:24)

IMG
지난 토요일 지역의 2025 수업 나눔 박람회에 다녀왔다. AIDT를 활용한 수업 사례를 참관하였다. 정말 좋은 수업이고 의미가 있었다. 읍면 단위 학교나 다름없는 중소 도시에서 그것도 영어 교과 수업인데 한 명의 친구도 소외되지 않는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했다. 성취수준이 높은 친구에게는 높은 수준의 루브릭을 요구하고 낮은 친구에는 눈높이 수준을 요구하며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 교실에 다양한 성취 수준을 갖는 학생의 공존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특히 영어로 더빙하는 영어 동아리 활동은 매우 인상적이었고 참여하고 싶은 열망이 생겼다.

다만 이런 수업은 1학기 내지 1년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2, 3학년에는 어떻게 과목 선택을 지도해야 할지 고민이 생긴다. 물론 같은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제 조건이 있다. 현재 성취수준이 낮은 학생의 성취도가 향상되어 성취수준 A, B와 D, E 그룹의 간격이 줄어들어야만 한다.

사실 많은 분이 수준별 수업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수준별 수업은 같은 과목 안에서 수업을 별도 수준별로 하고 평가는 같게 하는 구조이기에 현재와 같은 상대평가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니까 절대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절대평가, 성취평가는 성취수준이 비슷한 그룹이어야 합리적인 수업설계를 바탕으로 교수학습과 평가가 가능하다. 학력격차가 심하면 가능한 수업단계는 진단평가에 불과하다. 고1 학년 공통교육과정은 과목 선택이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2, 3학년은 상황이 다르다.

결국 상대평가, 절대평가(성취평가)의 구분없이 2, 3학년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적성과 진로 그리고 성취수준에 따라 과목을 교과별로 분리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밖에 없다. 대학입시의 유불리를 놓고 성취수준에 따른 과목 선택을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실제 성취수준별 수업 설계와 평가를 진행하면서 최소 성취수준 미도달 학생을 최소화할 수있는 방안을 고민해야만 한다. 2, 3학년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지정이라는 강제로 학생이 만족하는 수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교학점제 실시의 기본적인 출발점이다.

성취수준 차이도 없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의 차이가 없는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이라면 최성보도 학점제도 필요 없다. 학점제 폐지를 주장한다면 이러한 전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평준화를 폐지하고 비슷한 성취수준을 가진 학생을 모집하거나 모든 학교를 특수 목적고로 설계하면 가능하다. 좋은 수업을 보면서 많은 학생이 만족하는 수업에 대한 고민을 해보았다.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 자문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회장
전) 전북교육공동연구원 대표

[Column by Kwon Hyuk-seon] How to provide a lesson that satisfies students with diverse levels of achievement?

I attended the 2025 Classroom Sharing Expo in the local area last Saturday. I observed a class example using AIDT, and it was a really good and meaningful class. Even in small towns or rural schools, they designed and implemented a class, which was an English language class, where no friend was excluded. They demanded a high level of rubric from high-achieving friends and a level playing field from lower-achieving friends while conducting the class. They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students with various levels of achievement in one classroom. In particular, the English dubbing English club activity was very impressive, and it made me eager to participate.

However, such classes may be possible for the first semester or year. But I am concerned about how to guide subject selection in the 2nd and 3rd year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class by having students choose the same subject. However, there is a premise. The achievement of currently low-achieving students must improve, reducing the gap between achievement levels A, B, and D, E groups.

In fact, many people talk about leveled classes. However, leveled classes involve teaching classes separately by level within the same subject and evaluating them equally, making it impossible under the current relative evaluation system. Therefore, it is argued that absolute evaluation is necessary. Absolute evaluation, achievement evaluation, can only be based on rational class design when the achievement levels of the groups are similar. If there is a significant academic gap, the possible class stage is limited to diagnostic evaluation. Although it is inevitable to take common course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due to the difficulty of subject selection, the situation is different in the 2nd and 3rd years.

Ultimately, regardless of relative evaluation or absolute evaluation (achievement evaluation), in the 2nd and 3rd year curriculum, it is inevitable to operate the curriculum by separating subjects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 career path, and achievement level. Mentioning subject selection based on achievement level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is not desirable. While conducting actual achievement-level-based class design and evalu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students who do not meet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the 2nd and 3rd year curriculum, it is impossible for students to have satisfying classes forced by school designations. This is the basic starting point of the credit system.

In an ideal education system where there are no differences in achievement levels or differences in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the credit system is unnecessary. If advocating for the abolition of the credit system, a system that allows for such premises should be designed. Abolishing standardization and recruiting students with similar achievement levels or designing all schools as specialized schools is possible. While watching good classes, I pondered about classes that many students would find satisfying.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author attended a Classroom Sharing Expo and observed an inclusive English language class that catered to students of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The article discusses the challenges of continuing such classes in the long term and the importance of designing classes based on students' aptitudes and achievement level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작가는 최근 지역에서 열린 2025 교실 공유 엑스포에 참석했고, 다양한 성취 수준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포괄적인 영어 수업을 관찰했습니다. 이 기사는 이러한 수업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과 학생들의 소질과 성취 수준을 기반으로 수업을 설계하는 중요성에 대해 논의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author's impression of the English dubbing English club activity?
작가는 영어 더빙 영어 클럽 활동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았습니까?

2. Why is it challenging to continue classes based on achievement levels in the 2nd and 3rd years?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성취 수준에 따른 수업을 계속하는 것이 왜 어려운가요?

3. What is the author's view on the credit system in relation to an ideal education system?
작가는 이상적인 교육 시스템과 관련하여 학점제도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rubric, 평가기준, noun
A set of rules or instructions for assessing something.
이것은 무언가를 평가하기 위한 규칙이나 지침의 세트입니다.
The teacher provided a detailed rubric for grading the project.
선생님은 프로젝트를 평가하기 위한 상세한 평가기준을 제공했습니다.

2. coexistence, 공존, noun
The state of existing together in harmony.
조화롭게 함께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The two different species showed a remarkable coexistence in the ecosystem.
두 가지 다른 종들은 생태계에서 주목할만한 공존을 보여주었습니다.

3. premise, 전제, noun
A statement or idea that forms the basis for a theory or argument.
이론이나 논의의 기초가 되는 주장이나 아이디어입니다.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all participants were honest.
연구의 결론은 모든 참가자가 솔직하다는 전제에 근거했습니다.

4. diagnostic, 진단의, adjective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a problem or disease.
문제나 질병의 식별과 관련된 것입니다.
The doctor conducted a series of diagnostic test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symptoms.
의사는 증상의 원인을 결정하기 위해 일련의 진단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5. abolition, 폐지, noun
The act of officially ending or stopping something.
공식적으로 무언가를 끝내거나 중지하는 행위입니다.
The abolition of slavery w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history.
노예제도의 폐지는 역사상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