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9-18 23:39:46

[임창현 칼럼] 폴리티처, 교육공동체의 신뢰를 흔드는 그림자


... 편집부 (2025-09-18 23:39:46)

IMG
최근 교원의 정치기본권 보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계 안에서는 또 다른 불안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바로 ‘폴리티처’ 현상이다. 정치적 성공에만 몰두하면서 교사로서의 본분을 잊은 일부 교사들을 일컫는 이 말은, 교육공동체의 신뢰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를 보여준다.

폴리티처 현상은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학생들 앞에서는 학습권 보장이나 인성교육보다 특정 이념을 심어주려 하고, 동료 교사나 학부모에게는 다른 의견을 억누르며 갈등을 만들어 낸다. 학부모의 민원이나 비판조차 협박과 압박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며, 정작 수업이나 교육과정 운영은 뒷전으로 미루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사회적 약자를 배제하거나 차별하는 언행까지 눈감아 주는 모습도 보인다.

문제는 이런 행동이 단순히 개인의 일탈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부 교사들의 정치적 몰입이 당연한 권리 행사처럼 받아들여지면서, 교사 전체가 시민으로서 정치기본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주장마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결국 폴리티처 현상은 교사 정치기본권 보장에 대한 사회 전체의 공감대를 얻는 데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교사들의 권리 요구가 정당한 지지를 얻으려면, 폴리티처 현상과는 명확히 선을 그을 필요가 있다. 교육의 본질을 외면한 채 정치활동에만 몰두하는 모습은 교사 집단 스스로 단호하게 거부하고 떨쳐내야 한다. 그래야만 교사 정치기본권 보장이 교사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교육공동체의 민주성과 신뢰를 회복하는 길임을 사회에 설득할 수 있다.

교사의 권위와 책무는 교육에 대한 헌신과 학생, 학부모의 신뢰 속에서만 살아남는다. 폴리티처의 그림자를 걷어내지 못한다면, 교사의 정치기본권 논의는 결국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수밖에 없다.

[Column by Lim Chang-hyun] Polyteacher, Shadow Shaking the Trust of Educational Community

Recently, discussions on guaranteeing political rights for teachers have been gaining momentum. However, within the education sector, another worrisome atmosphere is being sensed. It is the phenomenon of 'polititutor'. This term refers to some teachers who are so engrossed in political success that they forget their duties as educators, revealing a serious issue that undermines the trus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polititutor phenomenon manifests in various ways. In front of students, they prioritize instilling specific ideologies over ensuring the right to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creating conflicts by suppressing different opinions among fellow teachers or parents. They even turn parental complaints or criticisms into targets of coercion and pressure, sometimes pushing aside actual teaching or curriculum operations. There are even instances where they overlook or discriminate against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e problem is that such behavior does not just end as individual misconduct. Some teachers' political involvement is being perceived as a natural exercise of their rights, leading to criticism even against the argument that all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political rights as citizens. Ultimately, the polititutor phenomenon acts as a significant obstacle in garnering societal consensus on guaranteeing political rights for teachers.

Therefore, in order for teachers' demands for rights to gain legitimate support, there is a clear need to draw a line against the polititutor phenomenon. Engaging solely in political activities while neglecting the essence of education must be firmly rejected and cast aside by the teacher community. Only then can it be convincingly communicated to society that guaranteeing political rights for teachers is not for the individual benefit of teachers but for the restoration of the democracy and trust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survive only within the dedication to education and the trust of students and parents. If the shadow of polititutor is not removed, discussions on teachers' political rights will ultimately end up as empty echoe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Discussions on guaranteeing political rights for teachers are growing, but a concerning issue known as 'polititutor' is emerging. This term describes teachers overly focused on political success, neglecting their educational duties and causing distrust within the educational community.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최근에는 선생님들의 정치적 권리를 보장하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지만, 교육부문에서는 '정치튜터'라는 걱정스러운 현상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정치적 성공에 너무 몰두하여 교육자로서의 의무를 잊는 일부 선생님들을 가리키며, 교육 공동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polititutor' phenomenon and why is it concerning?
'Polititutor' 현상은 무엇이며 왜 걱정되는 현상인가요?

2. How does the polititutor phenomenon manifest itself in the education sector?
정치튜터 현상은 교육부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요?

3. Why is it important to address the polititutor phenomenon in order to gain support for teachers' rights?
교사들의 권리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정치튜터 현상을 다루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guarantee (보장하다) - verb
- To promise that something will happen or be done
- 무엇이 발생하거나 이루어질 것을 약속하다
- The company guarantees a full refund if you are not satisfied.
- 회사는 만족하지 못하면 전액 환불을 보장합니다.

2. engrossed (몰두한) - adjective
- Completely focused or absorbed in something
- 완전히 집중하거나 빠져든
- She was so engrossed in the book that she didn't hear the phone ring.
- 그녀는 책에 너무 몰두해서 전화벨 소리를 못 들었습니다.

3. coercion (강압) - noun
- The use of force or threats to make someone do something against their will
- 누군가의 의지에 반하여 무언가를 하도록 강제하거나 위협하는 것
- The confession was obtained through coercion rather than voluntary admission.
- 그 자백은 자발적인 시인이 아니라 강압으로 얻어진 것이었습니다.

4. discrimination (차별) - noun
- Unfair treatment of a person or group based on prejudice
- 편견에 기초한 사람이나 그룹에 대한 불공평한 대우
- Laws are in place to prevent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 직장에서의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법률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5. consensus (합의) - noun
- General agreement among a group of people
- 사람들 사이의 일반적인 합의
- The board reached a consensus on the new policy after much discussion.
- 그들은 많은 토론 끝에 새 정책에 대해 합의에 이르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