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20 14:51:00

전주시정연구원, ‘전주 음식산업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전문가 포럼’ 개최


... 이병재 (2025-10-20 14:49:36)

전주시정연구원(원장 박미자, 이하 연구원)은 20일 베스트웨스턴플러스 전주호텔에서 전주의 음식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전주 음식산업 미래비전 수립을 위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먼저 첫 번째 발제를 맡은 금기형 (사)문화유산창의공간 대표는 ‘전주음식의 정체성 및 산업화·세계화 전략’을 주제로 전주음식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산업화와 글로벌리더십 확보 전략을 제시하며, 전주가 ‘지속가능한 미식 생태 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영택 지역특화연구소 소장은 ‘미식산업 인프라 및 미식관광 콘텐츠’를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전주의 음식문화와 관광콘텐츠를 연계한 미식관광 콘텐츠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그는 또 트렌드 변화에 부응하는 미식관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컨트롤타워 강화 △관광·교육 인프라 확대 △미식관광 벨트화 △JK-푸드 세계화 △지역 유통 전략 확대 등을 추진 전략으로 제안했다.

이후 이어진 토론에는 김남규 전북대학교 특임교수와 민동규 전주관광재단 사무국장, 오영호 한식진흥원 수석전문위원, 이우석 놀고먹기연구소 소장, 차경옥 서울특별시 중구청 경제관광정책협력관이 참여해 전주 음식산업의 산업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남규 특임교수는 음식 콘텐츠별 특화거리 활성화와 전주시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했으며, 민동규 사무국장은 전주의 음식산업이 정책적 연계와 내수기반 확충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오영호 연구위원은 전주 미식벨트 조성과 미식관광 전문기관 설립을 제안하며 글로벌 표준화 및 차별화를 강조했고, 이우석 소장은 전통과 관광이 결합된 체류형 미식관광 모델을 통해 지역경제와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차경옥 협력관은 전통을 기반으로 한 현대적 감각의 음식 혁신과 전문가의 지속적인 연구, 표준화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기도 했다.

Jeonju City Research Institute to Hold Expert Forum for Establishing Future Vision of Jeonju Food Industry

On the 20th, the Jeonju City Research Institute (Director Mi-ja Pa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stitute) held a "Expert Forum for Establishing the Future Vision of Jeonju's Food Industry" at the Best Western Plus Jeonju Hotel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Jeonju's food industry.

First, Geum Gi-hyeong, the representative of the (Association) Cultural Heritage Creative Space, who was in charge of the first presentation, presented a strategy for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based on the identity of Jeonju food under the theme of "The Identity of Jeonju Food and Strategies for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emphasizing that Jeonju could leap into a "sustainable gourmet eco-city."

Next, Oh Young-taek, the director of the Regional Specialization Research Institute, through a presentation on "Gourmet Industry Infrastructure and Gourmet Tourism Contents," highlighted the need for activating gourmet tourism contents linked to Jeonju's food culture and tourism contents. He also proposed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gourmet tourism support system that responds to trend changes, such as strengthening control towers, expanding tourism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gourmet tourism belt formation, globalization of JK-Food, and expanding regional distribution strategies.

The subsequent discussion involved Kim Nam-gyu, a special professor at Jeonbuk University, Min Dong-gyu, the office director of the Jeonju Tourism Foundation, Oh Young-ho, a senior expert member of the Korean Food Promotion Institute, Lee Woo-seok, the director of the Play and Eat Research Institute, and Cha Kyung-ok, an economic tourism policy cooperation officer at Jung-gu Office in Seoul, discussing the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of Jeonju's food industry.

During the discussion, Special Professor Kim Nam-gyu proposed activating specialty streets for food content and establishing a consultative body for Jeonju, while Office Director Min Dong-gyu emphasized the need for a sustainable growth structure for Jeonju's food industry through policy coordination and strengthening domestic consumption. Additionally, Researcher Oh Young-ho proposed creating a gourmet belt in Jeonju and establishing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gourmet tourism, emphasizing global standardization and differentiation. Director Lee Woo-seok suggested creating a structure where the local economy and citizens grow together through a stay-type gourmet tourism model combining tradition and tourism. Cooperation Officer Cha Kyung-ok also paradoxically emphasized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standardization efforts, and innovation in food based on tradition and modern sensibility.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Jeonju City Research Institute organized an Expert Forum to discuss the future vision of Jeonju's food industry. Various experts presented strategies for industrialization, globalization, and promoting gourmet tourism linked to Jeonju's food culture.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주시 연구소는 전주의 식품 산업의 미래 비전을 논의하기 위해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전주 식품 문화와 관련된 산업화, 국제화, 그리고 미래를 위한 고급 관광 콘텐츠를 촉진하는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theme of Geum Gi-hyeong's presentation?
Geum Gi-hyeong의 발표 주제는 무엇이었습니까?
2. Who highlighted the need for activating gourmet tourism contents linked to Jeonju's food culture?
전주의 식품 문화에 연결된 고급 관광 콘텐츠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3. What did Researcher Oh Young-ho propose for Jeonju's gourmet tourism?
Oh Young-ho 연구원은 전주의 고급 관광을 위해 무엇을 제안했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industrialization (산업화, noun)
- The process of developing industries in a region or country.
- 그 지역이나 국가에서 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정.
- The government aimed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in rural areas.
- 정부는 시골 지역에서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2. globalization (세계화, noun)
- The process by which businesses or other organizations develop international influence or start operating on an international scale.
- 기업이나 다른 조직이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거나 국제적 규모로 운영을 시작하는 과정.
- Globalization has led to increased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 세계화는 국가 간 문화 교류가 증가하도록 이끌었다.

3. infrastructure (인프라, noun)
- The basic physical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facilities needed for the operation of a society or enterprise.
- 사회나 기업의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물리적 및 조직적 구조와 시설.
- The government invested in improving the country's infrastructure.
- 정부는 국가의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투자했다.

4. differentiation (차별화, noun)
- The action or process of making something different.
- 무언가를 다르게 만드는 행동이나 과정.
- Companies use product differentiation to stand out in the market.
- 기업은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위해 제품 차별화를 사용한다.

5. standardization (표준화, noun)
- The process of making something conform to a standard.
- 무언가를 표준에 맞게 만드는 과정.
- The industry adopted standardization to ensure quality control.
- 산업은 품질 통제를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를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