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M초 담임-학부모 갈등, 시민단체 "학생 안전·학습권 위협... 교육청 방관 말라" 즉각 분리 조치 촉구
...
임창현 (2025-10-21 19:06:15)
전주 M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가 특정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이후, 해당 학부모의 자녀의 담임을 자원하여 담임을 맡게 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불거졌다.
21일 전북지역공동(대표 김학산)과 장애인인권연대(대표 최창현), 발평자사모(대표 이미라) 등 지역 인권·시민단체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전북교육청의 즉각적인 분리조치와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단체들은 이번 사안을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이라는 단순 구도로 볼 것이 아니라, “이해충돌을 제거하고 학생을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할 교육청의 책무가 방기된 사건”으로 규정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교사가 형사 고발한 학부모의 자녀를 계속 담임으로 두는 것은 절차적 정당성을 결여한 결정이며,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학습권을 침해하는 고위험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교육청이 해당 교사를 담임으로 배정되는 것 자체가 용인 된 것 부터 문제다.
담임 교사는 지난해 12월에 전교조 전북지부장 임기를 마무리 전에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사실을 자신의 SNS에 올리며 "복직과 동시에 전주 M초로 전보 신청을 했다"고 밝히고, "점수가 낮지만 경합이 없다면 PD수첩 학급의 담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무고한 아동학대 신고와 악성 민원을 일삼은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내가 학급 담임으로서 학부모들을 어떻게 만나야 할지 두렵다"는 글을 남겼다.
결국 전북교육청이 충분히 인지했음에도 해당 교사가 전주 M초로 전입하여 해당 학생의 담임이 되도록 방치한 것이다.
단체들은 이번 사태 과정에서 '악성 민원'이라는 프레임이 사실 확인 없이 확대 재생산되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통화량 등 객관적 자료로 확인 가능한 지표조차 과장되거나 왜곡되어 유포되었고, 이로 인해 학부모는 '악마화'되었으며 학생은 2차 피해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전북교육청이 교원단체 요청에 따라 학부모를 대신 고발하는 '대리 고발'을 반복해 온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성명은 “이것이 단순한 위법성의 문제가 아니라, '혐의없음' 결과가 나온 뒤에도 형사 고발이 관행처럼 이어지며 학부모를 압박하고 위축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해 왔다”고 비판했다. 교육청이 행정의 중립성과 필요·비례의 원칙을 입증해야 함에도 동일한 사안을 반복 고발하고 진상규명 없이 일방적으로 대응해 온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단체들은 이번 사태에서 학생 보호가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동이 당사자인 사건에서 학생의 정서와 학습권이 최우선되어야 함에도, 전북교육청은 학생의 회복 지원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담임과의 즉각적인 분리조치를 위해 학기 중이라도 부담임제를 통해 유연하게 운영해 교실 내 상시 접촉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동시에 학생의 트라우마 인지 기반 심리·학습 회복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권 문제와 관련해서는 “교권은 학생의 권리와 존엄이 함께 보장될 때 비로소 설 수 있다”고 밝혔다. 교사의 헌신과 전문성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일부 왜곡된 의사결정과 조직적 대응의 오류가 전체 교원의 존엄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단체들은 “학생의 권리가 보장되는 구조가 곧 교사의 정당한 권위를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들은 성명서를 통해 세 가지 구체적 조치를 요구했다. 첫째, 이해충돌 상황 해소를 위한 즉시 분리조치 및 학기 중에도 적용 가능한 부담임제 시행. 둘째, 아동권·교육법·갈등조정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 민간 사실검증위원회 설치를 통한 진상규명. 셋째, 학교–가정 간 소통의 표준 프로토콜 마련 및 응답기한, 기록 방식, 중재 라인 명문화다.
이들은 “공론장은 사실을 통해 공동체의 신뢰를 재건하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우리의 목표는 특정 개인의 승패가 아니라 학생이 평온하게 배우고, 교사가 존중 속에 가르치며, 학부모가 신뢰로 협력하는 학교를 되찾는 일”이라고 밝혔다.
전북교육신문은 이번 사안을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취재해왔다. 본지는 교원단체가 '악성 민원'으로 지목한 학부모 측의 입장을 직접 확인한 결과, 통화량과 민원 횟수가 일부 과장되었음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교육청의 대리 고발이 반복되고, '혐의없음' 처분 이후에도 학부모에 대한 압박이 이어진 사례들을 연속 보도하며 제도 개선을 촉구해왔다.
이번 성명은 그동안 공론장에서 소수의 목소리로 남아있던 학생·학부모 측의 피해 호소를 공식화한 의미를 가진다. 전북교육청이 사안을 교사-학부모의 대립 구도로 단순화하지 않고, 학생 보호 중심의 행정 원칙으로 회복적 대응에 나설지 지역 사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교육은 권력의 문제가 아닌 신뢰의 문제이며, 투명한 사실 확인과 공정한 절차에서 학생의 권리와 교사의 권위가 함께 설 수 있을 것이다.
Jeonju M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Parent Conflict, Civic Group Urges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Threatening Student Safety and Right to Learn... Education Office Should Not Stand By"
Controversy arose after a homeroom teacher at Jeonju M Elementary School reported a specific parent to the authoriti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voluntarily took on the role of homeroom teacher for the child of that parent.
On the 21st, regional human rights and civic organizations such as Jeonbuk Regional Joint (Representative Kim Haksan), Disabled Human Rights Association (Representative Choi Chang-hyun), and Balpyeongjasamo (Representative Imira) issued a joint statement urging the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and investigation by the Jeonbuk Office of Education. The organizations defined this incident not as a simple conflict between a teacher and a parent, but as an event where the duty of the education office to eliminate misunderstandings and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students has been neglected.
According to the statement, continuing to assign the child of the parent who was reported to the authorities as a homeroom student lacks procedural legitimacy and is considered a high-risk situation that infringes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right to education of the child.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fice allowed the teacher in question to be assigned as the homeroom teacher is problematic from the start.
The homeroom teacher, before concluding their term as the Jeonbuk branch head of the National Teachers Union in December last year, posted on their social media that they had reported a parent to the authorities and applied for a transfer to Jeonju M Elementary School upon reinstatement, mentioning that they expected to become the homeroom teacher of the PD Notebook class if there was no competition despite having low scores. They further expressed fear about how they would meet the parents as the homeroom teacher after reporting a parent for baseless child abuse and malicious complaints.
Despite the Jeonbuk Office of Education being fully aware, they allowed the teacher in question to transfer to Jeonju M Elementary School and become the homeroom teacher of the student in question.
The organizations pointed out that during this incident, the frame of 'malicious complaints' was reproduced without verification. Objective data such as call logs were exaggerated or distorted and spread, leading to the demonization of parents and causing secondary harm to students.
The Jeonbuk Office of Education was also criticized for repeatedly engaging in 'proxy reporting,' where they filed complaints on behalf of teachers against parents. The statement criticized this practice as not just a matter of legality, but as a means to pressure and intimidate parents even after the results showed 'no suspicion.' It was deemed inappropriate that the education office continued to unilaterally respond without investigating the truth or demonstrating administrative neutrality and the principles of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The organizations emphasized that student protection should be the top priority in this incident. They criticized the Jeonbuk Office of Education for essentially abandoning support for the student's recovery while demanding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with substitute homeroom teachers even during the semester to cease regular contact in the classroom. They also added that a trauma-informed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recovery plan for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Regarding the issue of educational authority, it was stated that "educational authority can only be established when the rights and dignity of students are guaranteed." While the dedication and expertise of teachers should be respected, it was argued that errors in some distorted decision-making and organizational responses should not undermine the dignity of all teachers. The organizations emphasized that a structure that guarantees student rights is the path to preserving the legitimate authority of teachers.
Through the statement, civic organizations demanded three specific measures. Firstly,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and the implementation of a substitute homeroom system applicable even during the semester to resolve conflicts.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private fact-checking committee composed of child rights, education law, and conflict resolution experts for truth-finding. Thirdly,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protoc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homes, formalization of response deadlines, record-keeping methods, and mediation lines.
They stated, "The public arena should be a space for rebuilding community trust through facts," and expressed their goal as not about the victory of specific individuals but about restoring a school where students can learn peacefully, teachers can teach with respect, and parents can cooperate with trust.
The Jeonbuk Education Newspaper has been continuously covering this issue since last year. The newspaper confirmed that the call logs and complaint frequency of the parents identified as 'malicious complainants' by the teacher organizations were exaggerated. It has also been advocating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continuously reporting cases where the education office engaged in proxy reporting and continued pressuring parents even after the 'no suspicion' decision.
This statement signifies the formalization of the appeals of students and parents, which have remained as minority voices in the public arena. The attention of the local community is now focused on whether the Jeonbuk Office of Education will approach the matter not as a confront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ut with an administrative principle centered on student protection. Education is not about power but about trust, and in transparent fact-checking and fair procedures, the rights of students and the authority of teachers can coexist.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A homeroom teacher at Jeonju M Elementary School reported a parent to the authorities and then became the homeroom teacher of that parent's child, causing controversy. Various organizations have demanded an investigation and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criticizing the education office for neglecting its duty to protect student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북 전주 M 초등학교의 담임교사가 특정 학부모를 당국에 신고한 후 그 학부모의 자녀의 담임교사로 지정되어 논란이 일어났다. 여러 기관들이 조사 및 즉각적인 분리 조치를 요구하며, 학생 보호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교육청의 의무를 소홀히 한 것을 비판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main issue that caused controversy at Jeonju M Elementary School?
그 학교에서 논란을 일으킨 주요 문제는 무엇이었습니까?
2. Why did various organizations demand an investigation and immediate separation measures?
다양한 기관들이 조사 및 즉각적인 분리 조치를 요구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3. What did the organizations criticize the education office for neglecting?
기관들이 교육청이 소홀히 한 것을 비판한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Controversy, 논란, noun
Definition: Disagreement or argument about something important.
한국어로: 중요한 문제에 대한 의견 불일치나 논쟁.
Example sentence: The new policy caused a lot of controversy among the students.
Korean translation: 새로운 정책이 학생들 사이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2. Authorities, 당국, noun
Definition: Official organizations that have the power to make decisions and enforce rules.
한국어로: 결정을 내리고 규칙을 집행할 권한을 가진 공식 기관.
Example sentence: The authorities are investigating the case.
Korean translation: 당국은 그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
3. Neglect, 소홀히 하다, verb
Definition: Fail to care for properly.
한국어로: 제대로 돌보지 않다.
Example sentence: The parents were accused of neglecting their children.
Korean translation: 부모들이 자녀를 소홀히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4. Demonization, 악마화, noun
Definition: Portraying someone or something as evil or as a devil.
한국어로: 누군가나 무엇을 악마로 묘사하는 것.
Example sentence: The media's demonization of the politician led to public outrage.
Korean translation: 언론의 정치인 악마화로 인해 대중들이 분노하였다.
5. Proxy reporting, 대리 신고, noun
Definition: Filing complaints on behalf of others.
한국어로: 다른 사람을 대신해 불만을 제기하는 것.
Example sentence: The teacher engaged in proxy reporting against the parents.
Korean translation: 그 선생님이 부모 대신 대리 신고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