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28 18:58:43

전주 서학동사진미술관, 오태풍 개인전 ‘환영(歡迎)과, 환영(幻影)에 대해’ 개최


... 이병재 (2025-10-28 18:51:14)

IMG
<익산>

전주 서학동사진미술관은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사진작가 오태풍 개인전 ‘환영(歡迎)과, 환영(幻影)에 대해’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급격한 개발과 성장의 이면에 남겨진 도시의 잔해를 통해 인간의 욕망과 시대의 흔적을 응시하는 사진 프로젝트다.

오태풍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한때 ‘환영합니다’라는 문구로 상징되던 개발의 공간들이 시간이 흐르며 ‘환영(幻影)’, 즉 사라진 환상으로 변해버린 현실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는 “우리가 환영(歡迎)이라 믿었던 개발의 공간들은 결국 환영(幻影)으로 사라졌다”며 “이 작업은 단순히 폐허의 목록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붙잡고 잊힌 기억을 불러내는 행위이자 반복을 막기 위한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전시에는 콘도, 리조트, 산업단지 등으로 대표되는 폐허의 풍경들이 등장한다. 화려한 개발의 약속이 남긴 것은 번영이 아닌 공허, 그리고 텅 빈 구조물뿐이다. 오태풍은 이 흔적들을 단순한 실패의 상징이 아닌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낸 자연스러운 순환의 일부로 바라본다. 그는 “이 풍경을 마주하는 나의 태도는 연민이나 비판에 머물 수 없다. 나는 그 속에 살았던 당사자가 아니기에, 다만 기록할 의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작가의 카메라는 사라진 공간의 목소리를 다시 불러오는 장치로 기능한다. 그에게 사진은 죽음을 증명하는 동시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매체다. 버려진 공간을 응시하는 그의 시선은 차갑지만, 그 안에 쌓인 시간과 기억을 되살려 또 다른 의미로 재탄생시킨다.

오태풍 작가는 한국 근현대사의 압축 성장과 부동산 열풍 속에서 형성된 집단적 욕망의 결과를 ‘우리 시대의 미필적 고의가 남긴 증거’로 정의한다. 그는 “IMF 이후 경제 회복기와 개발 열풍 속에서 성장한 세대의 시선으로 이 잔해들을 바라보며, 나 또한 이 결과에서 자유롭지 않은 공범이라 느낀다”고 말한다.

Jeonju Seohakdong Photo Art Museum to host Oh Tae-pung's solo exhibition 'Regarding 'Welcome' and 'Illusion of Welcome''



Starting from the 28th, the Jeonju Seohakdong Photo Art Museum will host a solo exhibition by photographer Oh Tae-pung titled 'Regarding Welcome and Phantom Welcome' until November 9. This exhibition is a photo project that gazes at human desires and traces of the times through the remnants of the city left behind by rapid development and growth.

In this exhibition, Oh Tae-pung captures the reality where spaces once symbolized by the phrase 'Welcome' have transformed into 'Phantom Welcome' as time passes, documenting the disappeared fantasies through photographs.

He explained, "The spaces of development that we once believed to be welcoming have ultimately vanished into phantoms. This work is not merely expanding the list of ruins but an act of capturing time, recalling forgotten memories, and recording to prevent repetition."

The exhibition features landscapes of ruins represented by condominiums, resorts, industrial complexes, and more. What the promises of glamorous development have left behind is not prosperity but emptiness, and only hollow structures. Oh Tae-pung views these traces not as mere symbols of failure but as a natural part of the cycle created by human desires. He added, "My attitude facing these landscapes cannot linger in pity or criticism. Since I was not a direct participant in them, I only consider it an obligation to record."

The artist's camera functions as a device that recalls the voices of vanished spaces. To him, photography is a medium that proves death while bestowing new life. His gaze upon abandoned spaces may seem cold, but he revives the time and memories accumulated within them, giving them new meaning.

Oh Tae-pung defines the collective desires formed in the compressed growth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real estate frenzy as 'evidence left by the unintentional intentions of our era.' He says, "Looking at these remnants through the eyes of the generation that grew during the economic recovery and development frenzy after the IMF era, I also feel like an accomplice not free from this outcome."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Jeonju Seohakdong Photo Art Museum will host a solo exhibition by photographer Oh Tae-pung titled 'Regarding Welcome and Phantom Welcome' until November 9. The exhibition explores human desires and traces of time through remnants of the city left behind by rapid development.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주 서학동 사진미술관은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사진작가 오태풍의 'Regarding Welcome and Phantom Welcome' 전시를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빠른 발전과 성장에 의해 남겨진 도시의 흔적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시대의 흔적을 살펴보는 사진 프로젝트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the solo exhibition by photographer Oh Tae-pung?
오태풍 사진작가의 개인전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What does Oh Tae-pung capture through his photographs in the exhibition?
오태풍은 전시에서 자신의 사진을 통해 무엇을 포착하나요?
3. How does Oh Tae-pung view the remnants of development left behind by human desires?
오태풍은 인간의 욕망에 의해 남겨진 발전의 흔적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remnants / 잔해 / noun
- small remaining quantity of something
- 오태풍은 빠른 발전에 의해 남겨진 도시의 잔해를 촬영합니다.
- Oh Tae-pung captures the remnants of the city left behind by rapid development.
2. prosperity / 번영 / noun
- state of being successful and flourishing
- 약속된 번영의 약속은 공허함과 공간만 남겨두었습니다.
- The promises of prosperity have left behind emptiness and hollow structures.
3. participant / 참가자 / noun
- person who takes part in something
- 오태풍은 직접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풍경을 기록할 의무만을 고려합니다.
- Since he was not a direct participant, Oh Tae-pung only considers it an obligation to record.
4. revive / 부활시키다 / verb
- bring back to life or consciousness
- 그는 시간과 기억을 되살리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 He revives time and memories, giving them new meaning.
5. frenzy / 광풍 / noun
- state of uncontrolled activity or wild behavior
- 그는 IMF 시대 후의 경제 회복과 발전 광풍 속에서 자라난 세대의 눈으로 그 흔적을 바라봅니다.
- He looks at these remnants through the eyes of the generation that grew during the economic recovery and development frenzy after the IMF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