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는 최근 생활물가 상승에 따른 서민경제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9월 1일 사용분부터 도시가스 평균 공급비용을 1.46% 인하하고 주택용 기본요금은 동결한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지난달 물가대책실무위원회을 연 데 이어 3일에는 소비자정책위원회를 개최해 공급비용 산정기준에 따라 공급사별 도시가스 소매 공급비용을 심의한 후, 도시가스사별 경영효율화와 자구노력 강화를 통한 일부 인상요인은 자체 흡수토록하고, 공공물가 안정화를 위해 도시가스 평균 공급비용 1.46%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은 한국가스공사의 원료비(88%)와 일반도시가스회사의 공급비용(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료비는 산업부장관이 천연가스 도입가격을 감안 2개월 단위로 조정·승인하며, 도지사는 소비자요금의 12%에 해당하는 공급비용을 매년 1회 조정해 소비자요금에 반영하고 있다.
도는 지난 5월부터 공급비용 및 기본요금 조정을 위한 산정 용역을 실시한 결과, 지난 동절기 이상 저온현상으로 인한 주택용 및 산업용 사용량 증가에 따른 판매열량 증가분 및 공급설비 투자비 정산으로 공급비용 인하요인이 발생했다.
전라북도는 “특히 우리도의 경우 2018년 9월 진안군 도시가스 신규공급으로 공급배관 연장에 따른 안전점검원 증가, 인건비 정산 및 소비자물가 상승률 반영으로 일부 공급비용 상승요인이 있으나,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공급비용을 인하 조정했다”고 밝혔다.
주택용 기본요금은 2007년 810원에서 750원으로 인하된 후 13년째 동결되었으며, 전국 주택용 평균 기본요금 836원보다 86원 낮은 수준이다.
이번 공급비용 조정으로 월 평균 50㎥를 사용하는 전주지역 주택용 소비자의 경우 가구당 연간 평균 1440원의 도시가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도시가스 공급비용을 조정하고 있으며, 올해 지자체들의 소매공급비용 조정상황은 경기도를 제외한 수도권 등 대도시지역은 동결 또는 소폭 인하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전북지역의 도시가스 공급비용은 타 도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북도는 앞으로 지속적인 관리로 도민의 에너지 사용부담을 완화하면서 도시가스 미 공급 지역을 해소해 나갈 수 있도록 도시가스회사의 공급시설 투자확대 및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