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과 협력의 교육행정을 기치로 내건 서거석 전북교육감 예비후보가 3일 전북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담은 제1차 선거공약을 발표했다.
서 예비후보가 이날 발표한 1차 공약은 학생안전, 학력증진, 학생과 교사의 조화로운 인권 보장, 교육복지 확대, 지자체 협력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총 8장, 25개 주요 공약에 101개 세부 사항을 담았다.
서 예비후보는 “본인이 40위권까지 추락한 전북대를 8년간 국립대 최고 수준으로 이끄는 사이, 전북교육청의 8년은 ‘소통부족’,‘교사와 학생의 극단적 선택’, ‘학력저하’, ‘교사인권실추’ 등 많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 후보는 그러면서 시급한 해결 과제로 학생안전을 들며 “학교폭력, 학생안전, 학생복지를 전담하는 학생안전복지과를 신설해 학생안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학교폭력이 집중발생하는 3월이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 모두 힘든 시기 임을 감안, 학기 내에 분산된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집중 배정한 ‘책가방 없데이(Day)’를 3월 첫 주(3~5일)에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서 후보가 제시한 책가방없데이는 정형화된 수업 대신 선생님, 친구와 사귀기, 학교폭력 예방 교육 등을 집중 실시하는 형태다.
서 후보는 또 민간의 ‘키즈카페(어린이놀이시설)’에 안전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기능을 가미한 ‘공공형키즈안전카페’ 설치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서 후보는 “교육청이 소유한 유휴 시설을 제공하고, 지자체는 시설 지원, 운영은 사회적 협동조합이 맡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지자체 협력이 가능한 곳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되,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공공형 키즈안전카페 설치 지역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초학력 증진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기초학습 보장체제와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강화 등을 내세우고,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수도권 대입 전문가와 협력체제를 구축한 대입정보센터 운영 등을 제시했다.
‘모두가 꿈을 꾸는 학교 만들기’를 위해 사립유치원 교육환경 개선 지원,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농어촌 고교를 대상으로 한 전북행정고등학교 신설, 엘리트 체육 인재 육성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교사 인권 바로 세우기’ 방안도 나왔다.
서 후보는 “학생 위주의 학생인권센터에 교사 인권 보호 기능을 추가한 전북교육인권센터를 설립하고, 이곳에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원스톱 교사인권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 “학교폭력과 관련한 업무 경감을 위한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교직원의 관사 현대화 및 벽지학교 안전 강화 등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오랜 관행으로 자리 잡았던 3월 인사발령을 한 달 앞당기는 방안 검토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2월 인사 발표에 따른 3월1일자 인사발령은 신학기에 들어서야 수업준비와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등 각종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폭넓은 의견 수렴을 통해 제도 개선을 통한 2월 인사발령 도입이나, 전보 인사의 경우 2월 한 달 동안 두 학교 겸임 발령안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전주 자림학교 폐쇄로 논란이 되고 있는 전주 덕진지역 특수학교 설립에 대해서는 협의체를 구성해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뜻을 밝혔다.
서 후보는 또 “전북의 고교 수업료(일반고 기준 127만원)는 경기와 충북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경북(93만원)보다 34만원, 연간 100만원 넘게 학부모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며 “우선적으로 올 하반기 고3부터라도 무상 수업료 시대를 열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과도한 학부모의 학교 참여 프로그램에 대해 제동을 걸 뜻도 밝혔다.
그는 “매년 신학기만 되면 등하굣길 안전지도에 학부모들이 동원되면서 ‘신학기 증후군’을 앓고 있다”며 “어르신의 사회 공헌 기회 제공과 학부모 부담 경감, 어린이 안전 확보 등을 위해 ‘손주·손녀 등하굣길 안전 도우미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교육자치시대와 4차산업혁명에 따라 교육청과 자치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의 긴밀한 협력 관계로 전북교육 발전을 이끌 ‘교육협력정부(전북 에듀 거버넌스)’ 구축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서 후보는 이어 “전북 에듀 거버넌스에 동참을 희망하는 모든 자치단체장과 예비후보 등과 언제든지 정책적 연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했다.
이날 1차 공약을 제시한 서 후보는 5월 본선거를 앞두고, 더욱 폭넓고 혁신적인 공약을 담은 최종 선거공약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