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05 11:27:28

영아 보툴리눔독소증 확자 국내 첫 확인


... 문수현 (2019-06-18 18:20:00)

국내에서 처음으로 영아 보툴리눔독소증(Botulism) 환자가 발생해 질병관리본부가 감염경로를 조사중이다.

해당 환아는 전북 전주시에 거주하는 생후 4개월 영아로 6월 초부터 수유량 감소, 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이 발생하여 6월 4일부터 의료기관에 입원 치료를 받다가 보툴리눔독소증 진단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에 검사를 의뢰했고, 실험실 검사 결과 환아의 대변검체에서 보툴리눔독소가 17일 확인됐다.

영아 보툴리눔독소증은 1세 이하의 영아에게서 나타나는 근신경계 질병으로 보툴리누스균 포자(胞子, Spore)가 영아의 장에 정착하고 증식함으로써 생성된 독소가 체내에 흡수되어 발병한다. 치명률은 0.1%다.

영아의 경우 장 발달이 성숙하지 못해 섭취한 포자(胞子)가 장내에서 증식하기 쉽다. 특히 생후 12개월 이하의 유아가 보툴리누스균 포자로 오염된 꿀을 섭취한 후 이 포자가 장내에서 발아, 정착하여 독소를 생성할 때 발생한다. 미국의 경우 연간 100명 내외로 영아 보툴리눔독소증 환자가 보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행히 보툴리누스균 독소는 전염력이 없어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다.

현재 환아는 일반병실에서 안정적으로 치료받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는 환자의 호전을 위해 보유중인 치료제(보툴리눔 항독소)를 의료기관에 지원했다.

질병관리본부와 전라북도는 영아 보툴리눔독소증 환자 확인에 따라 감염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역학조사관을 현장에 파견해 역학조사 중이다. 또한 식품 및 주거 환경으로부터 추가 검체를 확보해 필요한 정밀 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


▲사진출처=CDC(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