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8 11:04:46

[권혁선 칼럼] MBC PD수첩의 관점에서 본 전주 지역 일반고 교육과정 편성 운영 모습은?


... 편집부 (2025-08-22 03:16:33)

MBC PD수첩에서 고교 학점제(이하 학점제)에 대한 보도로 학점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었다. PD 수첩 영상을 통해 학점제의 긍정적인 면도 보았다. 학점제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먼저 언급되어야 할 문제인데 누구도 보도하지 않았던 쟁점을 PD수첩은 제대로 밝혀 주었다.

방송은 학생 진로 선택권과 책임 교육을 상징하는 1학년 공통 교육과정의 ‘기본수학’과 ‘기본영어’교과목 선택 실태를 분석하였다. 서울 지역 학교에 대한 분석이었지만 기본 과목을 운영하는 학교는 한 곳도 없었다. 1학년 ‘공통수학’과 ‘공통영어’의 수준은 높다. 중3 학년에서 고1 학년 진학하면서 선행학습이 없으면 교과 내신을 얻기 어렵다는 것은 통설이다. 게다가 고등학교는 아직 내신 상대평가를 하고 있다. 어느 정도 변별력있는 문항을 출제해야만 한다. 중학교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수업 시간 방황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모습이다. 따라서 아직 수학과 영어에 기초 학력이 부진한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은 필수적이다. PD수첩의 표지 영상에서 나타난‘최성보’의 모순 해결을 위해서는 기본 수학, 영어 과목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실태를 반드시 파악해야만 한다. 방송에 따르면 서울 지역에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우리 지역은 어떨까 궁금하다. 전주 지역에는 기본수학, 영어가 개설된 학교가 있다. 일반 학생보다는 운동 학생을 위해 개설된 성격이 강하다. 서울 지역 210개 가운데 1개 학교도 개설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매우 긍정적이다.
차후 기본 과목을 개설하는 학교가 증가하여 책임 교육을 강화하는 전북 교육을 바란다. 학기초 개설의 어려움과 상대평가 그리고 과목 개설에 따른 교사 시수가 증가를 우려한다. 1학년 입학 전에 수강 신청을 받기 어려운 현실은 분명하게 맞다. 1학년 학생은 입학 전에 진단 평가를 하거나 학생의 기본 과목 수강을 사전에 신청받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성보 가능성이 있는 학생에게 충분한 안내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도교육청은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여 기초 과목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인적·물적 지원을 해야한다. 학교는 방과후 교육 기관이 아니다.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파편적이고 ‘사후약방문’ 성격의 기초 학력 보장이라는 슬로건이 아니라 정규 교육과정 내에서 해결을 시도하는 공교육 모습을 바란다.

PD수첩에서처럼 최성보 때문에 많은 교사와 학생이 고민하고 있다. 1학년은 공통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2, 3학년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최성보 지도가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2, 3학년 선택 교육과정 편성에서도 기초 학력이 부진한 학생을 위한 고민을 해야 한다. 1학년에서 최성보 대상 학생이 발생했다면 2, 3학년 선택 교육과정에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1학년 1학기는 학생의 의욕과 열의에 가장 높은 시기이지만 2, 3학년이 되면 교과 내신 성적에 대한 자신감 결여로 학습을 포기하는 학생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고 소위 ‘정시 파이터’까지 더해지면 최성보 대상 학생은 2, 3학년에 더욱 증가할 것이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서도 학업에 흥미를 상실한 학생이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폭을 확대할 필요도 있다.

PD수첩에서 방영한 두 번째 학점제 핵심 요소는 학생 맞춤형 진로 선택 교육과정 편성 여부이다. 학생 맞춤형 진로 선택 교육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두 가지다. 하나는 수학 교과의 편성이다.

① 많은 학교가 인문, 이공 진로 구분 없이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2학년 1학기 대수, 2학년 2학기 미적분Ⅰ, 3학년 1학기 미적분Ⅱ, 확률과 통계를 편성한다. 가장 많은 유형이다.

② 2학년 1학기에 대수를 지정하고 기하, 인공지능수학을 선택으로 편성하고 2학년 2학기 미적분과 ‘확률과 통계’를 편성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대부분 3학점으로 과목을 개설하기 때문에 선행학습이 없다면 교육과정을 따라가기 어려울 수도 있다.

③ 확률과 통계를 2학년 2학기와 3학년 1학기에 두 차례 편성하는 학교도 있다. 2학년 2학기는 이공계열 학생을 위해 3학년 1학기는 인문계열 진로 학생을 위한 편성이다. ‘지정’과목이 아닌 ‘선택’으로 편성 경우도 있다. 수학 교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중요도나 학습 부담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진로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이 중요하다. 단순히 내신 성적만 계산하여 다양한 꿈과 진로를 가진 학생을 하나의 교육과정 안에 무리하게 편성하여 많은 수포자를 양산하는 것보다 계열별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진로 선택 교육과정의 특성은 탐구 영역 교육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전주 지역 탐구 과목의 교육과정 개설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보인다.

가장 많은 유형은 ① 과학 탐구 교과목을 2학년 1학기와 2학년 2학기 모두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을 편성하는 경우이다. 2학년 1학기에 두 과목, 2학기 두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가능하여 학생의 진로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 선택이 가능한 학점제 본래 취지에 맞는 이상적인 편성으로 보인다. 과학 과목은 일반선택 과목 수가 적기 때문에 1, 2학기 동일 편성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회 탐구 과목은 수강 신청 인원도 적지만, 과목 수는 많아 교육과정을 편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1, 2학기를 서로 다른 과목으로 편성하여 2학년 1학기에 특정 과목을 수강하지 못하면 더 이산 선택 기회가 없다.

사회와 과학 탐구 영역을 ② 1학기와 2학기 똑같은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학교가 있다. 해당 학교 학생은 진로와 교과목 변경이 쉬워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는 조기 진로 선택에 따른 부담과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어 안정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교육청의 강사 수급 등 현안에 대한 지원이 더해진다면 이러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③ 이공계열에서 2학년 1, 2학기 각각 두 과목을 편성하는 경우가 있다. 학교에서는 이공계열을 진학하려면 과학 4과목을 모두 이수하기 때문에 교과 내신과 수강 신청에 따른 혼란 없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선택임을 강조하는 듯하다. 그러나, 학생은 2학년 1학기 과목 선택권이 없어 2학년 2학기나 3학년 1학기의 진로 연계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게다가 3학년 1학기에 공통과학과 공통사회 중심의 수능 과목을 학습할 수도 있어 ‘선택’이 아닌 ‘지정’에 가까운 과학 탐구 과목 운영은 진로 적합형 학습 설계에 불리할 수 있다.

간략하게 전주 지역의 교육과정을 MBC PD 수첩에서 주로 방영한 책임 교육과 학생 진로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같은 지역의 일반고등학교이지만 학교의 철학과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정말 다양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학교 자율적인 영역이다. 따라서 강제할 수는 없다. 다만, 중학교 학생과 학부모는 주변 지역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특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중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진로 설계 지도도 중요하지만, 학점제의 핵심 요소인 지역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현실을 잘 모르고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 일반고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을 통해 중3 학생과 학부모의 합리적인 학교 선택의 길을 제공해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단순하게 학교와 교직원만의 독점적인 전유물이 아니다. 더 큰 구성원인 학생과 학부모와 더불어 고민하여 운영해야 한다. 그런데 미래 고등학교 교육의 주인공인 현재 중3 학생은 지역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지역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이 필요한 이유이다. 전북 교육 혁신을 위해 가장 필요한 선결 현안 과제이다.

[Column by Kwon Hyuk-seon] How does the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operation in the Jeonju area look from the perspective of MBC PD Notebook?

Interes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redit system) has increased even more with the coverage on the credit system by MBC's PD Notebook. Through the PD Notebook video,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redit system were also seen. While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the credit system, PD Notebook shed light on an issue that no one had reported on before.

The broadcast analyzed the status of the selection of the 'Basic Mathematics' and 'Basic English' subjects in the 1st-year common curriculum, symbolizing students' career choice rights and responsible education. Although the analysis was focused on schools in Seoul, there was not a single school operating the basic subjects. The level of 'Common Mathematics' and 'Common English' in the 1st year is high. It is a common belief that without prior learning when transitioning from the 3rd year to the 1st year of high school,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grades in the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s are still using relative evaluation for grades. It is essential to offer educational programs and operations for students with weak basic skills in mathematics and English, as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properly naturally struggle during class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tu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basic mathematics and English subjects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seen in the cover video of PD Notebook featuring 'Choi Sung-bo.' According to the broadcast, not a single school in the Seoul area had these subjects.

One wonders about our region. In the Jeonju area, there are schools that offer basic mathematics and English. These schools are more focused on athletic students than regular students. This is very positive compared to the fact that not a single school out of the 210 schools in the Seoul area offered these subjects. It is hoped that more schools will open up basic subjects to strengthen responsible education in Jeonbuk.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difficulty of opening the semester, relative evaluation, and the increase in teacher hours due to subject offerings. The reality of facing difficulties in receiving course applications before 1st-year enrollment is undoubtedly true. 1st-year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sufficient guidance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the potential for Choi Sung-bo by exploring options such as diagnostic assessments before enrollment or pre-registering for basic subjects.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must secure sufficient budget to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operating the basic subject educational curriculum. Schools are not after-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Rather than a fragmented and 'after-the-fact' nature of basic academic guarantee, it is hoped for a public education that attempts to solve issues within the regular educational curriculum.

Many teachers and students are concerned because of Choi Sung-bo, as shown on PD Notebook. Since the 1st year is a common curriculum, clear guidance for Choi Sung-bo is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elective courses in the 2nd and 3rd years. Even in the formation of elective courses for the 2nd and 3rd years, concerns for students with weak basic skills should be considered. If Choi Sung-bo students emerge in the 1st ye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will also appear in the 2nd and 3rd years. The 1st semester of the 1st year is when students have the highest enthusiasm and passion, but as they progress to the 2nd and 3rd years, there is a significant possibility of an increase in students giving up on learning due to a lack of confidence in their academic grades. If this includes the so-called 'regular fighters,' the number of Choi Sung-bo students may increase even more in the 2nd and 3rd year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students losing interest in academics even in elective-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se students.

The second key element of the credit system highlighted on PD Notebook is whether there is a student-customized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 There are two points to note in student-customized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s. One is the organization of mathematics courses.

1. Many schools organize the curriculum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 fields. They offer Algebra in the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Calculus I in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Calculus II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This is the most common type.

2. Some schools designate Algebra in the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and offer Geometry,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as elective courses, and then offer Calculus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In the latter case, since most subjects are offered for 3 credits, it may be difficult to follow the curriculum without prior learning.

3. There are schools that off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twice, in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and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is designed for science students, while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is for humanities students. There are cases where subjects are not 'designated' but 'elective.' Since mathematics courses have a higher importance and academic burden compared to other subjects, it is crucial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various career paths. Rather than forcing various dreams and career paths of students into one educational program by simply calculating academic grades, it is more rational to operate curriculum-based programs according to different fields.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s are well illustrated in the exploration area curriculum. The types of curriculum offered in the exploration subjects in the Jeonju area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he most common type is where ① Science exploration subjects such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are offered in both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the 2nd year.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take two subjects in the 1st semester and two in the 2nd semester, allowing for a diverse sele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students' career paths, which align with the ideal organization of the credit system. Since the number of elective science subjects is low, many schools operate with the same curriculum in the 1st and 2nd semesters. However, social exploration subjects have fewer applicants but more subjects, making it challenging to organize the curriculum. Therefore, if different subjects are offered in the 1st and 2nd semesters, students may miss out on specific subjects in the 2nd year if they do not take them in the 1st year.

There are schools that operate ② Social and Science exploration areas with the same curriculum in both the 1st and 2nd semesters. Students at these schools can easily change their career paths and subjects, alleviating the burden and side effects of early career choices reported in the media, creating a stable learning environment. With additional support from the education office for issues such as instructor supply, it is expected tha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uch educational programs will expand.

③ In the case where two subjects are offered in each of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the 2nd year in the science field, it seems to emphasize that since students must complete all four science subjects to enter the science field, it is an unavoidable choice for smooth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academic grades and course registration. However, students may face difficulties in career-linked learning in the 2nd semester of the 2nd year or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due to the lack of subject selection rights in the 1st semester of the 2nd year. Furthermore, since students may also learn common science and social subjects centered on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1st semester of the 3rd year, operating science exploration subjects that are closer to 'designated' than 'elective'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areer-oriented learning design.

In summary, a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ponsibl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 organization and operation, mainly based on the education system in the Jeonju region as featured on MBC's PD Notebook. Although they are general high schools in the same region, they are organizing and opera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school's philosophy and the demands of its member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 autonomous areas of the school. Therefore, it cannot be enforced. However,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often do not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curricula in neighboring areas. While systematic career guidance in middle school is important, most students who are about to enter high school do not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high school curriculum operation, which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statu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of local general high schools to offer a rational path for 3rd-year students and parent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 not exclusive to schools and faculty members. It should be operated by considering the larger members, including students and parents, and their concerns. However, the current 3rd-year students, who are the main players in future high school education, do not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curricula in the region. This is why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is the most critical issue for educational innovation in Jeonbuk.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Interes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increased due to coverage on MBC's PD Notebook. The program highlighted issues with the credit system while pointing out the lack of basic subjects like Mathematics and English in Seoul school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MBC의 PD Notebook 방송을 통해 고등학교 학점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프로그램은 학점제도의 문제점을 강조하면서 서울 학교들이 기초 수학과 영어 같은 기본 과목을 제공하지 않는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sue did PD Notebook shed light on regar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고등학교 학점제도에 대해 PD Notebook이 어떤 문제를 밝혔나요?

2. Why is it important to offer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weak basic skills in mathematics and English?
수학과 영어의 기초적인 기술이 약한 학생들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3. How are the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s organized in schools according to the article?
기사에 따르면 학교에서 진로 선택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status (상태, 명사)
-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is unknown.
- 프로젝트의 현재 상태는 알 수 없습니다.

2. transition (전환, 명사)
- Moving to a new country can be a difficult transition.
- 새로운 나라로 이사가는 것은 어려운 전환일 수 있습니다.

3. contradiction (모순, 명사)
- There seems to be a contradiction in your argument.
- 당신의 주장에 모순이 있는 것 같습니다.

4. curriculum (교육과정, 명사)
- The school is updating its curriculum to include new subjects.
- 학교는 새로운 과목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습니다.

5. autonomous (자율적인, 형용사)
- The college encourages students to be autonomous in their learning.
- 대학은 학생들이 학습에서 자율적이 되도록 장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