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1-18 15:50:14

완교통, 2025 학교-마을강사 인증제 구축 및 실행 고도화 연구 최종보고회


... 이병재 (2025-11-18 15:49:13)

IMG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센터장 임성희)는 17일 학교-마을강사 인증제 구축 및 실행 고도화 연구의 최종보고회를 열고 완주형 마을강사 인증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실행 모델을 발표했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지난해 진행된 ‘학교-마을강사 인증제 연구용역’의 결과를 기반으로, 완주군 실정에 적합한 인증 기준과 운영체계를 실제로 설계·정교화하기 위한 올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이날 보고회에는 완주군청과 완주교육지원청 관계자, 마을강사, 지역 교육 공동체 구성원 등 20여 명이 참석해 완주형 인증제의 방향성과 도입 방안을 공유했다.

이번 연구는 홍수진 교수(우석대학교, 연구책임자)가 중심이 되어 추진되었으며, ▲학교-마을강사 인증 기준 및 절차 구체화, ▲전문성 심화 교육 과정 체계화, ▲지역 기반 교육 콘텐츠와의 연계성 강화, ▲디지털 배지 기반 인증 관리 모델 고도화 등 완주형 인증제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 과제들을 제시했다.

보고회에 참여한 한 마을강사는 “작년 연구가 완주형 인증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면, 올해 연구는 우리가 현장에서 어떻게 전문성을 갖추어갈지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고 말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완주형 학교-마을강사 인증제는 지역의 교육수요를 반영해 마을강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라며 “이번 연구는 완주군이 독자적 모델을 구축하는 데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완주교육지원청 관계자 또한 “장애인식교육, 안전·예방교육 등 학교 필수 교육과정과 마을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인증제가 체계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증제가 강사를 구별하거나 서열화하는 제도가 아니라 오랜 시간 학교와 마을에서 쌓아온 강사들의 경험과 활동 이력을 전문성으로 확장하는 체계임을 분명히 하며, 강사 고유의 포트폴리오와 현장 경험이 온전히 드러나는 인증제를 구축해 2026년부터 단계적 시범 적용을 준비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지역과 학교가 함께 성장하는 완주형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Final Report Meeting on the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Research of the 2025 School-Village Counselor Certification System by Wankyo-tong

On the 17th, the Wanju County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Director Lim Sung-hee) held a final report meeting on the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of the school-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announcing a specific execution model for introducing the Wanju-style 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This final report meeting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chool-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Research Project' conducted last year, aiming to share this year's research outcomes that actually design and refine certification criteria and operational systems suitable for the Wanju County situation.

About 20 people, including officials from Wanju County Office and Wanju Office of Education, village instructors, and members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ttended the meeting to discuss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the Wanju-style certification system.

Led by Professor Hong Soo-jin (Ulsan University, research director), this research presented practical tasks for applying the Wanju-style certification system in actual practice, such as ▲clarifying the school-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criteria and procedures, ▲systematizing advanced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local education content, and ▲enhancing the digital badge-based certification management model.

One village instructor who participated in the meeting stated, "If last year's research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the Wanju-style certification system, this year's research provided us with practical directions on how to enhance our expertise in the field."

A Wanju County official evaluated the research as providing a substantial foundation for Wanju to establish an independent model, emphasizing that the Wanju-style school-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is an important institution for enhancing the expertise of village instructors in response to the region's educational demands.

An official from the Wanju Office of Education expressed hope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would be systematically operated to effectively connect essential school curriculum, such a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safety-prevention education, with local resourc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Wanju County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clearly stated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is not intended to differentiate or rank instructors but to expand the experiences and activities of instructors accumulated over a long time in schools and villages into expertise. They plan to establish a certification system where instructors' unique portfolios and field experiences are fully revealed and prepare for a phased pilot application from 2026. They also announce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providing support for the creation of a Wanju-style educational ecosystem where the local community and schools grow together.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Wanju County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recently held a final report meeting to introduce the Wanju-style village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The meeting aimed to share research outcomes that design and refine certific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county's situation. The certification system is seen as crucial for enhancing the expertise of village instructors in response to educational demands.

🗣️ Korean Translation:
완주군 교육통합지원센터(임성희 센터장)가 완주형 마을지도사 자격제도의 도입 및 강화에 대한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완주군 상황에 적합한 자격기준 및 운영 시스템을 실제로 설계하고 개선하는 연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 자격제도는 교육 수요에 대응하여 마을지도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제도로 여겨집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purpose of the final report meeting held by the Wanju County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그 센터가 개최한 최종 보고회의 목적은 무엇이었습니까?
2. Who attended the meeting to discuss the Wanju-style certification system?
누가 완주형 인증제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회의에 참석했습니까?
3. How does the Wanju County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plan to implement the certification system from 2026?
완주군 교육통합지원센터는 2026년부터 어떻게 자격제도를 시행할 계획입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establishment (설립, noun)
- The act of starting or creating something.
- 이것은 새로운 회사의 설립을 의미합니다.
-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mpany.
2. refine (정제하다, verb)
- To improve something by making small changes.
- 그들은 제품을 더욱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세밀한 조정을 했습니다.
- They refined the product for perfection.
3. substantial (상당한, adjective)
- Considerable in importance, value, amount, or extent.
- 그는 상당한 금액의 기부금을 제공했습니다.
- He provided a substantial amount of donation.
4. differentiate (차별화하다, verb)
- To recognize or express a difference between things.
- 이 두 제품을 어떻게 차별화할 수 있을까요?
- How can we differentiate these two products?
5. ecosystem (생태계, noun)
- A biological community of interacting organisms 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
- 생태계는 우리 주변의 모든 생물들과 그들이 서식하는 환경을 포함합니다.
- An ecosystem includes all organisms around us and the environments they inha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