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스마트수변도시 사업이 안전성 검증 없이 추진되고 있다며 시민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새만금상시해수유통운동본부는 27일 성명을 내고 “새만금개발공사는 과학적 검증도 없이 분양을 서두르는 사기성 행정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운동본부는 수변도시가 홍수·침수·해수면 상승·지반침하·지진 등 복합적인 위험에 노출돼 있지만, 사업 주체가 명확한 대비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배수 방류부 설치 높이가 새만금호 수위와 거의 같아 홍수 시 역류로 인한 대규모 침수가 “예견 가능한 재난”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태풍과 폭풍해일 시나리오, 배수펌프 고장 대비 전략 등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후위기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될 경우 “평상시에도 상시 침수가 발생할 수 있다”며 장기 영향평가조차 부재하다고 주장했다.
지진 위험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운동본부는 “최대 40m에 달하는 연약한 퇴적층 위에 도시 전체가 건설된다”며 포항 지진 사례를 언급, 지반 특성상 지진파 증폭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전북 부안에서 규모 4.9 지진이 발생한 점도 위험 요인으로 지적했다.
아울러 준설토 매립지의 구조적 취약성 문제도 제기했다. 운동본부는 “안정을 위해 2~3m 두께의 양토·암석을 덮어야 하지만 확보가 어렵다”며 실제로 이를 적용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명지국제도시 등 유사 매립지에서 발생한 대규모 침하 사례를 근거로 “독립적이고 공정한 검증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운동본부는 “스마트도, 안전도, 미래도시도 아니다”라며 현 단계 사업 추진을 강하게 규탄했다. 이어 △분양 절차 즉각 중단 △독립적 공공 안전성 검증위원회 구성 △기후위기를 반영한 전면 재설계 △피해 발생 시 국가·공사 책임 명시 등을 요구했다.
운동본부는 “세계잼버리 당시 ‘준비됐다’는 말만 되풀이되다 대형 부실 사태가 벌어진 전례를 반복할 수 없다”며 “새만금의 미래를 위해 지금이라도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Stop the Fraudulent Pre-Sale of Saemangeum Smart Tidal City" ... Controversy over Unverified Safety Spreads
- Saemangeum Regular Seawater Distribution Movement Headquarters Calls for Immediate Halt to Forced Sales
Citizen groups have strongly opposed and taken a stand against the Saemangeum Smart Tidal City project, which is being pushed forward without safety verification. The Saemangeum Regular Seawater Distribution Movement Headquarters released a statement on the 27th demanding an immediate halt to the fraudulent administrative rush for sales without any scientific verification by the Saemangeum Development Corporation.
The movement headquarters pointed out that the tidal city is exposed to complex risks such as floods, inundation, sea level rise, subsidence, and earthquakes, but the project proponents have not provided clear contingency plans. They emphasized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rainage discharge unit is almost the same as the water level of the Saemangeum Lake, warning that large-scale inundation due to backflow during floods is a "predictable disaster."
Furthermore, they criticized the project for proceeding without scenarios for typhoons and storm surges, strategies for pump failure preparedness, and even without a long-term impact assessment, stating that if sea level rise accelerates due to the climate crisis, "permanent flooding could occur even during normal times."
Concerns about earthquake risks were also raised. The movement headquarters warned that with the entire city being built on weak sedimentary layers up to 40 meters deep, amplification of earthquake waves due to ground characteristics could lead to greater damages, mentioning the recent magnitude 4.9 earthquake in Bua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isk factor.
They also raised issues regarding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semi-landfill site. The movement headquarters claimed tha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the 2-3 meter thick layer of clay and rocks necessary for stability, suggest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it has not been actually implemented. Referring to large-scale subsidence cases from similar landfill sites like the Myeongji International City, they emphasized the urgent need for independent and fair verification.
The movement headquarters strongly condemned the current stage of the project, stating that it is not a smart city, not a safe city, and not a city of the future. They demanded an immediate halt to the sale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public safety verification committee, a comprehensive redesign reflecting the climate crisis, and clear delineation of national and corporation responsibilities in case of damages.
The movement headquarters stressed that repeating the precedent of a major failure crisis occurring despite repeatedly saying "we are prepared" during the World Cup Jeonbuk incident cannot be allowed, and emphasized that a comprehensive reassessment is necessary now for the future of Saemangeum.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Citizen groups are opposing the Saemangeum Smart Tidal City project due to safety concerns. The Saemangeum Regular Seawater Distribution Movement Headquarters is calling for a stop to the rushed sales process without proper verification.
🗣️ Korean Translation:
시민 단체들이 안전 우려로 Saemangeum Smart Tidal City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Saemangeum Regular Seawater Distribution Movement 본부는 적절한 검증 없이 서둘러진 판매 과정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y are citizen groups opposing the Saemangeum Smart Tidal City project?
시민 단체들이 Saemangeum Smart Tidal City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 What are some of the risks pointed out by the movement headquarters regarding the tidal city project?
운동 본부가 조류 도시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지적한 위험 요소들은 무엇인가요?
3. What are some of the demands made by the movement headquarters to address the safety concerns?
안전 우려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운동 본부가 제기한 요구 사항들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verification / 확인 / noun
-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truth, accuracy, or validity of something.
- 그것의 진실, 정확성 또는 타당성을 확립하는 과정입니다.
- The verification of the authenticity of the painting was crucial for its sale.
- 그 그림의 진위를 확인하는 것은 그 판매에 중요했습니다.
2. inundation / 침수 / noun
- An overwhelming abundance of people or things.
- 사람이나 물건의 압도적인 풍부함.
- The town faced severe inundation after heavy rainfall.
- 그 도시는 폭우 이후 심한 침수에 직면했습니다.
3. contingency / 대비책 / noun
- A future event or circumstance that is possible but cannot be predicted with certainty.
- 예측할 수 없지만 가능한 미래 사건이나 상황.
- The company had contingency plans in place for unexpected power outages.
- 그 회사는 예상치 못한 정전에 대비책을 마련해 두었습니다.
4. vulnerability / 취약성 / noun
-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possibility of being attacked or harmed, either physically or emotionally.
- 물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공격당하거나 손해를 입을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품질 또는 상태.
- The child's vulnerability made him an easy target for bullies.
- 아이의 취약성으로 인해 그는 괴롭힘의 쉬운 대상이 되었습니다.
5. reassessment / 재평가 / noun
- The act of assessing or evaluating something again.
- 무언가를 다시 평가하거나 평가하는 행위.
- A reassessment of the company's financial situation is needed after recent losses.
- 최근 손실 이후 회사의 재정 상황을 다시 평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