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원장 유영대)은 27일 오후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에서 2025 하반기 목요상설 가·무·악‘유파별로 보는 한국의 춤, 시대를 바라보다’공연을 펼친다.
이번 공연은 2025 목요상설 마지막 무대로, 무용단(예술감독 이혜경)에서 준비했다. 한국무용의 고유한 정신을 간직하고 그 맥을 잇는 다채로운 전통춤을 유파별로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민속무용을 토대로 동시대의 감성을 녹여낸 작품들까지 감상할 수 있어, 한국무용의 예술적 깊이와 시대적 확장성을 함께 엿볼 수 있는 자리이다.
프로그램은 <전라삼현승무>, <신관철류 산조>, <넋, 푸리>, <이혜경류 부채산조>, <박금술류 살풀이>, <한영숙류 태평무>, <장인숙류 전주부채춤>, <김병섭류 설장구>으로 총 8개의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첫 프로그램은 전라삼현승무로 오프닝을 장식한다. 승무는 승복을 입고 추는 춤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 가운데 하나다. 전라삼현 승무는 전북지방에서 연주되던 전라삼현육각 가락에 맞춰 추는 승무로, 전라삼현승무는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전북 고유의 승무이다. 오대원 단원이 이종민단원의 장고에 맞춰 춤을 춘다.
두 번째는 무용단 백인숙 수석단원의 신관철류 산조춤이다. 산조 음악에 맞춰 즉흥춤을 구성하여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전해지는 신관철류 산조춤은 맺고 푸는 기교가 현란하고 자유롭기로 으뜸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넋, 푸리 라는 전통을 기반으로 한 창작무용을 선보인다. 이매방류 승천무와 살풀이를 이현주 수석단원이 직접 각색하고 무대에 오르는 작품으로, 전통의 깊이와 현대적 감각을 함께 담아낸 무대이다. 이종민, 신봉주, 이윤서 단원이 반주로 같이 참여하며 창극단 이세헌 단원의 상여소리로 그 멋을 더한다.
네 번째 프로그램은 이혜경류 부채산조로, 이은하 수석단원이 무대에 오른다. 가야금 산조 반주에 부채를 들고 추는 여성 독무로, 장단 흐름을 타는 기승전결, 손과 부채가 하나로 연결된 호흡이 특징인 춤이다.
다섯 번째는 박금슬류 살풀이다. 다른 살풀이와 다르게 수건을 사용하지 않고 무용수의 온몸 움직임과 호흡을 강조하는 전통 살풀이춤의 한 유파이다. 김윤하, 김지춘 단원이 수건없이 신체와 호흡을 통해 삶과 해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어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한영숙류 태평무를 김소희 단원의 무대로 관객을 마주한다. 한영숙류 태평무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전통춤으로, 다른 류파보다 간결하고 담백하며, 좌우 대칭을 이루는 구성으로 안정감을 준다. 또 다양한 발놀림이 절제된 자태와 결합하여 정제된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일곱 번째 프로그램은 장인숙류 전주부채춤으로 노태호 단원이 출연한다. 남도에서 발생한 음악을 바탕으로 전주의 시나위 가락과 전주 합죽선, 부안의 명기 매창의 이화우 흩날릴 제가 남도 민요 흥타령으로 더해져 살풀이의 그늘지고 깊은 호흡의 춤사위와 당당하고 화려한 부채춤의 춤사위가 함께 공존하는 춤이다.
마지막을 장식하는 무대는 김병섭류 설장구이다. 정읍 출신의 설장구 명인 김병섭은 정읍 농악을 기반으로 장단 기예를 익혀 생애 전반에 걸쳐 설장구의 기교와 구성력을 정교하게 다듬어 현대적 공연형 설장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의 이름을 잇는 김병섭류 설장구는 현재까지 가장 활발히 전승되는 유파로, 장단의 변주와 역동적인 몸짓이 어우러진 강한 작품성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유준 단원의 춤사위에 김지춘, 송형준, 이종민, 신봉주 단원이 반주팀으로 무대에 오른다.
National Gugak Center Thursday Regular Program 'Korean Dance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27th, at 7:30 p.m., the Jeonbuk Provincial Government National Gugak Center (Director Yoo Young-dae) will hold a performance titled "Viewing Korean Dance through Various Genres: Reflecting on the Era" at the Myeongin Hall of the Hall of Korean Sound Culture for the second half of 2025.
This performance, the last stage of the 2025 Thursday regular series, was prepared by the dance troupe (artistic director Lee Hye-kyung). It will showcase a variety of traditional dances that preserve the unique spirit of Korean dance and continue its tradition. In addition, the audience can enjoy works that blend folk dance with contemporary sensibilitie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glimpse the artistic depth and temporal expansiveness of Korean dance.
The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eight programs, including "Jeolla Samhyeonseungmu," "Shingwanchulryu Sanjo," "Neok, Puri," "Lee Hye-kyungru Buchae Sanjo," "Park Geum-sulryu Salpuri," "Han Young-sukryu Taepyeongmu," "Jang In-sukryu Jeonju Buchaechum," and "Kim Byeong-seobryu Seoljanggu."
The first program will be opened with "Jeolla Samhyeonseungmu." Seungmu is a traditional folk dance in Korea performed in ceremonial attire. Jeolla Samhyeon Seungmu is a dance performed to the rhythms of Jeolla Samhyeon Yukgak, a traditional music genre in Jeolla Province, and is a unique Seungmu registered as Jeonbuk'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mbers of the Odaewon will dance to the beat of Lee Jong-min's janggu.
The second program is "Shingwanchulryu Sanjo Dance" by Baek In-sook, the chief member of the dance troupe. This dance, performed to Sanjo music, is a spontaneous dance that is popular in the Honam region, known for its dynamic and free-flowing techniques.
Next is a creative dance based on the traditional "Neok, Puri." This piece, choreographed by Lee Hyeon-joo, features a reinterpretation of Seungcheonmu and Salpuri, combining the depth of tradition with a modern sensibility. Members Lee Jong-min, Shin Bong-joo, and Lee Yoon-seo will provide accompaniment, enhancing the performance with the sounds of the Changgeukdan.
The fourth program is "Lee Hye-kyungru Buchae Sanjo," featuring Lee Eun-ha, the chief member. This dance, performed by women holding fans to the accompaniment of gayageum Sanjo, showcases a unique breathing technique where the fan and hands move in unison.
The fifth program is "Park Geum-sulryu Salpuri," a genre of traditional dance that emphasizes the movements and breath of the dancers without using a handkerchief. Kim Yoon-ha and Kim Ji-chun convey the message of life and harmony through their bodies and breath.
Following this, the audience will witness Kim So-hee performing "Han Young-sukryu Taepyeongmu," a traditional dance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dance is known for its simplicity, symmetry, and stability in its composition, showcasing refined beauty through restrained movements and a variety of footwork.
The seventh program features "Jang In-sukryu Jeonju Buchaechum," performed by No Tae-ho. This dance combines the rhythms of Jeonju's Sinaui Gagak, Jeonju Hapjukseon, and the Maejang of Boan with the energetic movements of Salpuri and the dignified and colorful fan dance.
The final stage is "Kim Byeong-seobryu Seoljanggu." Kim Byeong-seob, a master of Seoljanggu from Jeongeup, has refined the techniques and composition of Seoljanggu based on Jeongeup's Nongak throughout his life,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modern Seoljanggu performances. The Kim Byeong-seobryu Seoljanggu, which continues his legacy,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actively transmitted genres, praised for its strong artistic value combining variations in rhythm and dynamic body movements. Members Lee Yoo-jun, Kim Ji-chun, Song Hyeong-jun, Lee Jong-min, and Shin Bong-joo will accompany the performance.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Jeonbuk Provincial Government National Gugak Center will host a performance showcasing various genres of Korean dance at the Myeongin Hall for the second half of 2025. This event, part of the 2025 Thursday regular series, will feature traditional dances alongside modern interpretations, providing a glimpse into the rich artistic heritage of Korean dance.
🗣️ Korean Translation:
전북도청 국립국악원은 2025년 하반기를 위해 한국 무용의 다양한 장르를 선보일 예정이며, 이는 2025년 목요일 정기 시리즈의 마지막 무대로 전통 무용과 현대 해석이 공존하여 한국 무용의 풍부한 예술 유산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the performance that will be held at the Myeongin Hall?
제목은 무엇입니까?
2. How many programs are included in the performance, and what are some of their names?
프로그램은 몇 개이며, 그 중 일부는 무엇인가요?
3. Who will be performing the "Lee Hye-kyungru Buchae Sanjo" program?
"이혜경루 부채 산조" 프로그램을 누가 공연할 것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preserve / 보존하다 / verb
To keep something in its original state or in good condition.
원래 상태나 좋은 상태로 무언가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 Despite the passage of time, efforts were made to preserve the historical building.
- 시간이 흘러도, 역사적인 건물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습니다.
2. reinterpretation / 재해석 / noun
The action of interpreting or explaining something in a different way.
무언가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거나 설명하는 행위입니다.
- The artist's re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painting brought a fresh perspective to viewers.
- 화가의 고전 그림에 대한 재해석은 관람객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습니다.
3. accompaniment / 반주 / noun
Music that is played or sung alongside the main melody.
주요 멜로디와 함께 연주되거나 노래되는 음악입니다.
- The pianist provided beautiful accompaniment to the singer's performance.
- 피아니스트는 가수의 공연에 아름다운 반주를 제공했습니다.
4. intangible / 무형의 / adjective
Unable to be touched or grasped; not having physical presence.
만질 수 없거나 이해할 수 없는; 물리적 존재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 Love is an intangible feeling that can deeply impact our lives.
- 사랑은 우리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형의 감정입니다.
5. heritage / 유산 / noun
Cultural traditions, monuments, beliefs, or object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세대를 거치며 전해지는 문화적 전통, 기념물, 신념 또는 물건을 의미합니다.
- The country's rich heritage includes diverse art forms and historical sites.
- 그 나라의 풍부한 유산은 다양한 예술 형태와 역사적인 장소를 포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