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15 10:57:01

국립민속국악원, 중국 베이징곡극단과 어린이 공연 협력 논의


... 이병재 (2025-09-19 14:57:22)

IMG
국립민속국악원(원장 김중현)은 지난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대표 곡극(曲剧) 단체인 베이징곡극단과 만나 한·중 문화예술 교류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번 만남은 국립민속국악원이 추진하는 해외 교류 확대의 일환으로, 특히 판소리·창극과 중국 곡극 간의 공통적 예술 어법과 서사 구조에 주목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베이징곡극단’(北京市曲剧团)은 1950년대에 창설된 중국을 대표하는 곡극 단체로, ‘북방 곡극’의 맥을 잇는 전문 예술단체이다. 곡극은 희곡과 희극의 합성어로 베이징에서 발전한 음악극이다. 노래(唱)·대사(念)·동작(做)·무술(打)이 결합된 중국 전통을 기반으로 한 현대 공연 양식의 하나이며, 경극(京剧)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장르이다.

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청년 예술인 교류 ▲전통 공연예술 기반의 창작극 공동 개발 ▲초청 공연 추진 등을 주요 의제로 논의했으며,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적으로 어린이 공연 분야에서부터 협력을 모색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미래세대 관객을 대상으로 한 교류 기반을 마련하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예술단원들이 상대국 현지에서 교육 활동을 펼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의견을 나눴다. 향후 이를 구체화해 업무협약 등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아시아 문화를 세계에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베이징곡극단은 다양한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요 문화 행사와 공연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어린이·청소년 공연 콘텐츠 개발에도 주력해 중국 전통 공연예술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회담 자리에서 국립민속국악원은 호주와 필리핀에서 영어로 공연한 어린이 국악극 〈숲속음악대 덩따쿵〉 영상을 소개했으며, 중국 내에서도 어린이 대상 영어 콘텐츠의 인기가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한 창극 〈독갑이댁 수레노래〉, 〈춘향전〉 공연 영상도 함께 시청하며 양측이 향후 교류 가능성에 대한 높은 관심을 공유했다.

국립민속국악원은 이번 회담 이후에도 베이징곡극단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이어가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 정례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공연 추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의 폭을 넓혀갈 계획이다.

김중현 원장은 “곡극과 판소리는 모두 이야기와 노래가 결합된 각국의 대표 장르로, 서로의 장점을 결합할 경우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새로운 무대를 만들 수 있다”며, “어린이 공연 협력이라는 작은 발걸음이 양국 문화예술 교류의 큰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National Gugak Center Discusses Collaboration on Children's Performances with China's Beijing Opera Troupe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Director Kim Joong-hyun) explored new possibil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during a meeting with the Beijing Opera Troupe, a representative Chinese opera group, in Beijing on the 4th of last month. This meeting is part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fforts to expand international exchanges, with a significant focus on the common artistic styles and narrative structures between pansori (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inging) and changgeuk (Chinese opera).

The Beijing Opera Troupe, established in the 1950s, is a leading opera group in China that continues the tradition of "Northern Opera." Peking opera, developed in Beijing, is a form of musical drama that combines singing, recitation, acting, and martial arts. It is a modern performance style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arts and is a distinct genre separate from Peking opera.

During the meeting, both sides discussed key topics such as exchange of young artists, joint development of creative plays based o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promoting collaborative performances. They agreed to cooperate to achieve tangible results. They decided to first explore cooperation in the field of children's performances, which is expect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ultural exchange targeting future generations of audiences.

Additionally, positive opinions were shared regarding programs where art troupe members conduct educational activities in each other's countries. It is anticipated that further development through concrete agreements, such as memorandums of understanding, will help introduce Asian culture to the world.

Currently, the Beijing Opera Troupe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major cultural events and performanc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nd youth performance contents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raditional Chinese performing arts.

During the meeting,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troduced a video of a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 titled "Dungdak Dungdak in the Forest," performed in English in Australia and the Philippines, receiving positive feedback on the popularity of English content for children in China. They also watched videos of Korean traditional plays such as "The Song of the Carriage at the In-Laws' House" and "Chunhyangjeon," sharing a high level of interest in future exchange possibilities.

Following this meeting,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s continuing communication with the Beijing Opera Troupe to coordinate specific collaboration plans. They plan to expand the scope of cooperation through regular discussions to lead to practical performance initiatives.

Director Kim Joong-hyun stated, "Both opera and pansori are representative genres of each country that combine storytelling and singing. By combining their strengths, we can create a new stage that attracts attention not only in Asia but also globally." He expressed hope that "small steps in children's performance cooperation will lead to significant achievements in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Beijing Opera Troupe in China met to discuss cultural exchanges and collaboration. They focused on similarities between Korean pansori and Chinese changgeuk, aiming to enhance international exchanges, especially in children's performanc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한국국립국악원과 중국 베이징 오페라단이 문화 교류와 협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만났습니다. 그들은 한국 판소리와 중국 창극 사이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국제 교류를 증진하고, 특히 어린이 공연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did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Beijing Opera Troupe discuss during their meeting?
국립국악원과 베이징 오페라단은 회의 중에 무엇에 대해 논의했나요?
2. What type of performances did they agree to focus on initially for their cooperation?
그들은 협력을 위해 처음에 어떤 유형의 공연에 초점을 맞추기로 합의했나요?
3. Why did Director Kim Joong-hyun express hope for cooperation in children's performances?
김중현 원장이 어린이 공연 협력에 대한 희망을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exchange (교류, noun)
- The exchange of ideas between different cultures can lead to mutual understanding.
- 다른 문화 간의 아이디어 교류는 상호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2. collaboration (협력, noun)
-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companies resulted in a successful project.
- 두 회사 간의 협력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이뤄졌습니다.
3. traditional (전통적인, adjective)
- The festival celebrates traditional customs and practice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 그 축제는 세대를 거치며 전해져 온 전통적인 관습과 실천을 축하합니다.
4. initiative (주도적인 조치, noun)
- The new initiative aims to promote recycling in the community.
- 새로운 주도적인 조치는 지역 사회에서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5. achievement (성취, noun)
- Winning the competition was a great achievement for the young athlete.
- 대회에서 우승하는 것은 젊은 선수에게 큰 성취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