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05 11:27:28

다큐멘터리 <정기용, 감응의 건축: (옛)서창향토박물관> 영화제 공식 상영작 선정


... 이병재 (2025-08-04 11:26:45)

IMG
고 정기용 건축가가 남긴 무주군 공공 건축물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정기용, 감응의 건축: (옛)서창향토박물관>(정다운 감독, 2025)이 제22회 EBS국제다큐영화제와 제17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의 공식 상영작으로 선정됐다.

<정기용, 감응의 건축: (옛)서창향토박물관>은 정기용 건축가가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약 10여 년간 진행한 무주 공공건축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옛)서창향토박물관((현) 무주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을 중심으로 그의 건축이 지닌 감응의 태도와 공공성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는 다큐멘터리다. 특히 <이타미 준의 바다>(2019) 등 건축 다큐멘터리를 꾸준히 제작해온 정다운 감독은 건축이 인간과 자연, 지역과 시대를 연결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건축가 정기용의 철학을 깊이 있는 연출력으로 조명했다.

무주산골영화제가 (재)전북특별자치도문화관광재단의 2024년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이 작품은 지역성과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예술 기록물의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무주산골영화제는 <정기용, 감응의 건축: (옛)서창향토박물관>을 시작으로 '정기용 건축가 무주 공공건축'과 관련한 영상 기록 프로젝트를 계속해서 이어나갈 계획이며, 올해 하반기에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운동장 중 하나로 손꼽히는 무주등나무운동장을 기록하는 다큐멘터리를 준비중이다.

<정기용, 감응의 건축: (옛)서창향토박물관>은 지난 제13회 무주산골영화제 첫 공식 상영을 시작으로 오는 25일부터 31일까지 열리는 제22회 EBS국제다큐영화제(극장상영 및 TV방영)와 9월 12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제17회 서울국제건축영화제(극장상영)에서 관객들과 다시 한 번 만날 예정이다.

Documentary "Jung Ki-yong, Architecture of Sensibility: (Former) Seochang Local Museum" Selected as Official Screening at Film Festival

Architect Go Jung-gi's documentary,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directed by Jung Da-un, 2025), which highlights public buildings in Muju County, has been selected as an official screening at the 22nd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the 17th Seoul International Architecture Film Festival.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focuses on th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currently the Muju County Rural Village Support Center), which was one of the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in Muju that architect Go Jung-gi worked on for about 10 years from 1996 to 2008. The documentary delicately captures his architectural attitude and public spirit, particularly emphasizing how architecture can serve as a mediator connecting humans and nature, as well as the local and contemporary aspects. Director Jung Da-un, who has consistently produced architectural documentaries like "Junya Ishigami, How Small, How Vast, How Architecture" (2019), sheds light on architect Go Jung-gi's philosophy with profound insight.

This film, produced with support from the 2024 Regional Cultural and Arts Development Support Project of the (former)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ultural Tourism Foundation, is being recognized as a significant example of cultural and artistic documentation based on regional and public elements. The Muju Mountain Village Film Festival plans to continue the video documentation project related to "Go Jung-gi's Muju Public Architecture," starting with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and is currently preparing a documentary on the Muju Deungnamu Sports Park, considered one of the most beautiful sports parks in the country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will meet audiences again at the 22nd EBS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eatrical screening and TV broadcast) from the 25th to the 31st of this month, and at the 17th Seoul International Architecture Film Festival (theatrical screening) from September 12th to the 25th.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Architect Go Jung-gi's documentary,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focusing on public buildings in Muju County, has been selected for two film festivals. The film captures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public spirit,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the local community.

🗣️ Natural Korean Translation:
건축가 고정기의 다큐멘터리인 "고정기, 반응하는 건축: (구) 서창향토박물관"은 무주군의 공공 건물에 초점을 맞추고 22회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와 17회 서울 국제 건축 영화제에서 공식 상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건축가 고정기의 철학과 공공정신을 담고 있으며 인간, 자연, 지역 사회 간의 연결을 강조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focus of the documentary "Go Jung-gi, Responsive Architecture: (Former) Seochang Hyangto Museum"?
이 다큐멘터리 "고정기, 반응하는 건축: (구) 서창향토박물관"의 초점은 무엇인가요?
2. Which festivals has the documentary been selected for?
이 다큐멘터리는 어떤 영화제에 선정되었나요?
3. Who is the director of the documentary and what is highlighted in the film?
이 다큐멘터리의 감독은 누구이며 어떤 내용이 강조되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responsive, 반응하는, adjective
- Reacting quickly and positively to something.
- 빠르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 The website is designed to be responsive on all devices.
- 그 웹사이트는 모든 기기에서 반응형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2. mediator, 중재자, noun
- A person who helps to settle differences between people.
- 사람들 간의 차이를 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사람.
- The lawyer acted as a mediator between the two parties.
- 변호사가 두 당사자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습니다.

3. profound, 심오한, adjective
- Having great depth or seriousness.
- 큰 깊이나 심각성을 가지고 있는.
- She had a profound impact on his life.
- 그녀는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documentation, 문서화, noun
- The process of recording information in a document or set of documents.
- 정보를 문서나 문서 집합에 기록하는 과정.
- The scientist provided detailed documentation of her research findings.
- 그 과학자는 연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문서화 자료를 제공했다.

5. recognition, 인정, noun
- Acknowledgment of something's existence, validity, or legality.
- 존재, 유효성 또는 합법성을 인정하는 것.
- Her hard work finally received recognition from her peers.
- 그녀의 노력이 드디어 동료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