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05 11:27:28

조형예술가 한강 개인전 《생:카》…11일부터 사용자공유공간PlanC


... 이병재 (2025-08-04 11:28:12)

IMG
청년 조형예술가 한강의 개인전 《생:카》가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대안문화공간 사용자공유공간PlanC에서 열린다. 전시장에는 다양한 조형 설치 작업들과 영상 미디어 작업 등이 전시된다.

조형예술가 한강은 기존 작업에서 기념비, 비석 등 ‘기록’과 ‘기념’이라는 형식을 통해 사회 구조와 감정을 중립적으로 드러내왔다. 《생:카》 역시 자전적 고백보다는 구조의 반복과 과잉을 재현함으로써 감정의 피로와 착취를 표현하되, 공동체의 가능성을 함께 사유하게 하고자 한다.

전시장 내에는 연계 프로그램들이 상시 진행되고 있으며, 12일 오후 6시 30분부터는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전시 운영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며, 별도의 휴관 일자 없이 운영된다. 전시는 무료로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특정 대상을 좋아하는 ‘팬’ 들의 집단인 ‘팬덤’ 문화 중 ‘생일 카페’의 형식을 가져와, 현대의 팬 문화를 낯설게 들여다보려 시도한다. 팬들의 ‘팬심’, 누군가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그 사랑의 마음들이 자본과 시스템 내에서 어떻게 구조화되고 소비되는지를 되묻는 전시이다.

‘생일카페’는 팬이 직접 카페 등의 공간을 대관해 좋아하는 대상의 생일을 기념하는 비공식 이벤트이다. 기획사 주도의 공식 이벤트와는 달리, 기획부터 자금 조달, 굿즈 제작,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팬이 스스로 주도한다. 이때의 ‘팬’ 은 단순한 소비자, 수동적 관람자가 아니라 새로운 문화 생산 주체의 역할로서 기능하며, 일시적이지만 강한 유대와 공동체 감각을 발생시킨다.

작가는 2023년, 직접 아이돌의 생일카페를 기획, 운영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전시의 형식을 결정했다. 좋아하는 대상의 생일을 기념하는 행사이지만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조금 경쟁을 의식했던 점, 왠지 끝나고 나서 느낀 약간의 허탈감, 허무함 등 단순히 순수한 응원과 기념 뿐만이 아닌 다양한 감정들을 느끼게 되었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팬덤 문화의 형식은 그대로 차용하되 핵심인 좋아하는 대상, ‘최애’ 의 자리에는 작가 본인이 자리한다. 《생:카》 에서는 생일카페에서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목적인 ‘좋아하는 대상’ 이 비워진다. ‘최애’가 아닌 작가의 얼굴이 들어간 오브제와 일반 생일 카페와는 조금 다른 낯선 연출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또한, 전시가 종료된 이후 8월 29일부터 3일간 남부시장 청년몰 밑에 위치한 ‘모이장(구 풍년그릇마트 위치)’에서 독립예술축제 Stayfoolish와 연계하여 전시 연계 퍼포먼스 《팬:싸》를 진행한다. 《팬:싸》는 ‘생일 카페’와 다르게 기업에서 주최하는 이벤트인 ‘팬 사인회’ 의 형식을 차용하여, ‘이벤트화된 사랑’의 구조를 거꾸로 재현한다. 그러나 ‘팬 사인회’ 에 참여하기 위한 상품화된 상호작용은 제거되고, 감정의 진정성만이 남겨진다.

Artist Han Kang's Solo Exhibition "Life: Car" to be Held at User-Shared Space PlanC from the 11th

The solo exhibition "Life: Car" by young sculptor Han Kang will be held at the alternative cultural space PlanC in Hanok Village in Jeonju for 10 days from the 11th to the 20th. The exhibition will feature various sculptural installations and video media works.

Sculptor Han Kang has previously expressed societal structures and emotions neutrally through forms like memorials and gravestones in his works. In "Life: Car," he aims to express emotional fatigue and exploitat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excess of structures rather than autobiographical confessions, while also contemplating the potential of community.

The exhibition will feature ongoing related programs, with a dialogue program with the artist scheduled for 6:30 p.m. on the 12th. The exhibition will be open from 11 a.m. to 7 p.m. without any scheduled closing days, and admission is free for all visitors.

This exhibition attempts to explore modern fan culture in an unfamiliar light by adopting the format of a "birthday cafe" from the 'fandom' culture, where fans who like a specific subject come together. It questions how the love and support of fans are structured and consumed within capital and systems.

The "birthday cafe" is an unofficial event where fans rent spaces like cafes to celebrate the birthdays of their favorite subjects. Unlike official events led by agencies, fans take charge of everything from planning, fundraising, merchandise production, to operation. Fans in this context function not just as mere consumers or passive spectators but as producers of new cultural content, fostering temporary yet strong bonds and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his experience planning and operating an idol's birthday cafe in 2023, the artist decided on the format of this exhibition. Reflecting on the slight sense of competition and emptiness felt after the event, beyond pure support and celebration, he realized the variety of emotions involved.

In this exhibition, while maintaining the format of fan culture, the central figure, the 'ultimate favorite,' is replaced by the artist himself. In "Life: Car," the essential element of the 'favorite subject' in a birthday cafe is left vacant, with the artist's face replacing the 'ultimate favorite,' presenting slightly different and unfamiliar scenes compared to a typical birthday cafe.

Furthermore, after the exhibition ends, from August 29th to 3 days, a performance called "Fan: Fight" will be held in collaboration with the independent art festival Stayfoolish at the Youth Mall under Namboo Market (formerly Pungnyeon Bowl Mart). "Fan: Fight" adopts the format of a corporate-sponsored event, unlike the 'birthday cafe,' to reverse the structure of 'eventualized love.' However, the commodified interactions required to participate in a 'fan signing event' are removed, leaving only the sincerity of emotion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A solo exhibition titled "Life: Car" by young sculptor Han Kang will take place at PlanC in Hanok Village in Jeonju for 10 days. The exhibition will showcase various sculptural installations and video media work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젊은 조각가 한강의 개인 전시회 "인생: 자동차"가 전주 한옥마을의 대안 문화 공간 PlanC에서 11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열릴 예정입니다. 이 전시회는 다양한 조각 설치 작업과 비디오 미디어 작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the solo exhibition by Han Kang?
한강의 개인 전시회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What is the main focus of the exhibition "Life: Car"?
전시회 "인생: 자동차"의 주요 초점은 무엇인가요?
3. What type of event will be held in collaboration with Stayfoolish after the exhibition ends?
전시회가 끝난 후 Stayfoolish와 협력하여 어떤 종류의 이벤트가 열릴 예정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Sculptor (조각가, Noun)
- A person who creates sculptures.
- 조각가는 조각품을 만드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 The sculptor spent months working on the marble statue.
- 조각가는 대리석 조각상에 몇 달을 투자했습니다.

2. Autobiographical (자서전적인, Adjective)
- Relating to or in the style of an autobiography.
- 자서전과 관련된 것 또는 자서전 스타일의 것을 의미합니다.
- The novel was praised for its raw and autobiographical nature.
- 그 소설은 순수하고 자서전적인 성격으로 칭찬을 받았다.

3. Community (공동체, Noun)
- A group of people living in the same place or having a particular characteristic in common.
- 같은 장소에 거주하거나 특정 특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 The local community came together to support the new initiative.
- 지역 사회는 새로운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모였다.

4. Fan culture (팬 문화, Noun)
- The collective behaviors and activities exhibited by enthusiasts of a particular subject or person.
- 특정 대상이나 사람을 좋아하는 팬들이 나타내는 집단적 행동과 활동을 의미합니다.
- Fan culture has grown significantly with the rise of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팬 문화가 크게 성장했다.

5. Commodified (상품화된, Adjective)
- Turned into or treated as a commodity that can be bought or sold.
-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바뀌거나 대우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 The artist criticized the commodified nature of the art industry.
- 그 예술가는 예술 산업의 상품화된 성격을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