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가 청각·언어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의 119 구급서비스 이용 편의를 위해 카카오톡 기반 비대면 구급상담 서비스 **‘전북 119상담톡’**을 오는 8월 18일부터 9월 14일까지 시범 운영한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에서 채널명 ‘전북 119상담톡’을 검색해 친구 등록을 하면 이용할 수 있다. 채팅을 통해 병·의원 안내, 응급처치 상담, 구급차 출동 요청까지 가능해 음성 신고가 어려운 도내 청각·언어장애인 약 2만3천여 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이다.
소방본부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단체, 행정복지센터 등을 직접 방문해 서비스 홍보와 가입 안내를 진행하고, 이용자 의견을 수렴해 기능을 보완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전 도민으로 확대 시행할 방침이다.
이오숙 소방본부장은 “119 서비스는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며 “카카오톡 상담을 통해 사회취약계층이 응급상황에서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orth Jeolla Fire Headquarters to Pilot '119 Counseling Chat' for Hearing and Speech Impaired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re Headquarters will conduct a pilot operation of a non-face-to-face emergency medical consultation service called "Jeonbuk 119 Consultation Talk" based on KakaoTalk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119 emergency services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those with hearing and speech impairments. The service will run from August 18 to September 14.
To utilize this service, individuals can search for the channel name "Jeonbuk 119 Consultation Talk" on KakaoTalk and register as a friend. Through chatting, services such as guidance to hospitals, emergency treatment consultations, and requesting ambulance dispatches will be available.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approximately 23,000 hearing and speech-impaired individuals in the province who may find it difficult to make voice calls.
During the trial operation period, the Fire Headquarters plans to visit disability welfare centers, disability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to promote the service and provide guidance on registration. They also plan to gather user feedback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The goal is to expand the service to all residents of the province in the future.
Jeonbuk Fire Chief Lee Oh-sook stated, "Emergency services should be equally accessible to everyone," and added, "Through KakaoTalk consultations, we will work to improve the speed and safety of assistance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 emergency situation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re Headquarters will launch a non-face-to-face emergency medical consultation service on KakaoTalk called "Jeonbuk 119 Consultation Talk" to assist socially vulnerable groups. This service will offer guidance to hospitals, emergency treatment consultations, and ambulance dispatch requests from August 18 to September 14.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북 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전북 119 상담톡'이라는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응급의료 상담 서비스를 시작하여 청각 및 언어 장애를 가진 사회적 취약 계층을 돕기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이 서비스는 8월 18일부터 9월 14일까지 운영될 예정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purpose of the "Jeonbuk 119 Consultation Talk" service?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전북 119 상담톡' 서비스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2. How can individuals access the non-face-to-face emergency medical consultation service?
개인들이 비대면 응급 의료 상담 서비스에 어떻게 접속할 수 있나요?
3. What are the plans of the Fire Headquarters during the trial operation period?
시험 운영 기간 동안 소방본부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consultation (상담, noun)
- a meeting with an expert or professional for advice or guidance
- 전문가나 전문가와의 조언 또는 안내를 위한 회의
- She had a consultation with her doctor about the surgery.
- 그녀는 수술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 했습니다.
2. dispatch (파견, noun)
- the sending of someone or something to a destination or for a purpose
- 누군가나 무언가를 목적지로 또는 목적을 위해 보내는 것
- The dispatch of emergency services was quick and efficient.
- 응급 서비스의 파견이 빠르고 효율적이었습니다.
3. functionality (기능, noun)
- the quality of being suited to serve a purpose well
- 목적을 잘 수행할 수 있는 품질
- The new software update improved the functionality of the app.
- 새로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앱의 기능성이 향상되었습니다.
4. vulnerable (취약한, adjective)
- susceptible to physical or emotional harm
- 신체적 또는 정서적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 The elderly are often considered a vulnerable group in society.
- 노인들은 종종 사회에서 취약한 그룹으로 여겨집니다.
5. promote (홍보하다, verb)
- to support or actively encourage
- 지원하거나 적극적으로 장려하다
- The company will promote their new product through social media.
- 그 회사는 새 제품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홍보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