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1 00:43:10

"사교육 연사 초빙" 대입설명회, 전국 51곳…전북 고창군에서도 확인


... 편집부 (2025-08-21 00:43:10)

공공영역의 사교육 의존, '역주행' 논란 불러일으켜… 시·도교육청에 전수조사와 재발방지 대책 촉구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이 전국 지자체, 시도교육청, 학교의 '대입 설명회'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올해(1~8월) 사교육 기관 종사자를 연사로 초빙한 곳이 총 51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설명회를 개최한 146곳 중 약 34%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전북에서는 고창군이 7월 16일 동리국악당에서 사교육 연사를 초빙한 설명회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교육걱정은 2023년 11월 교육부가 "입시설명회를 사교육 업체와 연계·공동개최하거나 사교육 업체 임직원을 초청하지 말라"는 취지의 공문을 17개 시도교육청·광역지자체에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에서 여전히 사교육 연사를 초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이를 "국민 세금으로 사교육의 공신력을 높이는 자해적 관행"이라며 교육당국의 엄격한 금지 지침과 처벌 규정을 요구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영남 일부 지역에서 사교육 연사 초빙 사례가 두드러졌다. 서울 12곳, 경기 7곳, 경북 8곳 등으로 집계됐으며,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에서 열린 설명회는 모두 사교육 업체·종사자를 초청했다. 이는 "정보 접근성이 낮은 지역일수록 사교육 의존도가 높다"는 기존 통념과 달리, 사교육 의존도가 큰 지역에서 오히려 '사교육 초빙 설명회'가 더 빈번하게 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체는 공교육 내에서도 대입 안내를 위한 충분한 인력이 갖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입상담교사단'이 500명으로 증원됐고, 서울시교육청(109명), 전북교육청(155명) 등 시·도교육청의 '대학진학지도지원단' 역시 상담과 강의가 가능한 강사진을 운영 중이다. 그럼에도 일부 지자체가 사교육 연사를 초빙하는 것은 "공공 인프라를 활용하지 않고 사교육에 의존하는 세금 낭비"라고 비판했다.

사교육걱정은 교육부에 △상반기 설명회 전수조사 착수 △반복 위반 기관에 대한 상응 조치 △대입상담교사단·진학지도지원단 활용 지침 마련을 요구했다. 또한 "재발 시 국민청원 등 강경한 시민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히며, 공공기관의 사교육 조장 행위를 막기 위한 사회적 연대를 호소했다.

Invitation of Private Education Lecturers for College Entrance Explanation Sessions, Held in 51 Locations Nationwide... Also Confirmed in Gochang County, Jeollabuk-do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in the public domain sparks controversy, calling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preventive measures to be taken by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Concerns about private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cerns about private education") conducted a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college entrance explanation sessions" by local governments,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nationwide. The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51 places invited private education personnel as speakers during the sessions held from January to August this year, out of 146 places that held such session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34%.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Gochang County in Jeonbuk Province held an explanation session on July 16th at Dongri Gukakdang, inviting private education speakers.

Despite the Ministry of Education's issuance of a circular in November 2023 stating, "Do not collaborate or co-host college entrance explanation sessions with private education companies or invite private education company employees," concerns about private education pointed out that public institutions are still inviting private education speakers. They demanded strict prohibition guidelines and punishment regulations from educational authorities, calling it a "self-destructive practice of enhancing the credibility of private education with taxpayers' money."

Looking at the regions, cases of inviting private education speakers were prominent in some areas of the capital region and Yeongnam. It was counted as 12 places in Seoul, 7 places in Gyeonggi, and 8 places in Gyeongbuk. Particularly, the explanation sessions held in the 'Gangnam 3 Districts' such as Gangnam, Seocho, and Songpa all invited private education companies and personnel. This shows that contrary to the existing belief that areas with low information accessibility rely more on private education, regions with a high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re actually holding 'private education-invited explanation sessions' more frequently.

The organization emphasized that there are enough personnel within public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guidance. The 'College Entrance Counseling Teacher Group' of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to 500 members, and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such a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09 members) and Jeonbuk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155 members) are also operating 'University Admission Guidance Support Teams' with instructors capable of counseling and lecturing. Nevertheless, criticizing that some local governments inviting private education speakers is a "waste of taxpayers' money by relying on private education without utilizing public infrastructure."

Concerns about private education demand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itiate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s explanation sessions △take appropriate measures against repeat violators △establish guidelines for utilizing the College Entrance Counseling Teacher Group and University Admission Guidance Support Teams. They also stated that they would "launch a strong citizen movement through petitions if there are recurrences," appealing for social solidarity to prevent public institutions from promoting private education.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article discusses concerns about the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in public institutions for college entrance explanation sessions. Despite the Ministry of Education's warnings, many places still invite private education personnel as speakers. There are calls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preventive measures to address this issue.

🗣️ Korean Translation:
이 기사는 대학 입시 설명 세션에서 공립 기관이 사설 교육에 의존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교육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많은 장소에서 사설 교육인을 연사로 초청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 조사와 예방 조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percentage of places held college entrance explanation sessions with private education speakers?
몇 퍼센트의 장소에서 사설 교육 연사를 초청하여 대학 입시 설명 세션을 진행했습니까?
2. Which regions showed prominent cases of inviting private education speakers?
어떤 지역에서 사설 교육 연사를 초청한 사례가 두드러졌습니까?
3. What specific measures are being demanded by concerns about private education?
사설 교육에 대한 우려가 요구하는 구체적인 조치는 무엇입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private education (사설 교육, noun)
- Education provided outside the public school system, often by private companies or tutors.
- 공립 학교 시스템 외에서 제공되는 교육으로, 종종 사설 회사나 가정교사에 의해 제공됩니다.
- Many students in Korea attend private education academies after school.
- 한국의 많은 학생들이 방과 후 사설 학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2. reliance (의존, noun)
- Dependence on or trust in someone or something.
- 누군가나 무엇에 대한 의존이나 신뢰.
- The company's success was due to its heavy reliance on innovative technology.
- 그 회사의 성공은 혁신적 기술에 대한 강한 의존 때문이었습니다.

3. comprehensive (종합적인, adjective)
- Including all or nearly all elements or aspects of something.
- 모든 요소나 측면을 포함하거나 거의 모든 것을 다루는.
- The report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 보고서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4. violation (위반, noun)
- The action of breaking or failing to comply with a rule or law.
- 규칙이나 법을 어기거나 준수하지 않는 행위.
- Speeding is a common traffic violation that can result in fines.
- 과속은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 흔한 교통 위반 사항입니다.

5. solidarity (연대, noun)
- Unity or agreement of feeling or action, especially among individuals with a common interest.
- 특히 공통의 이해를 갖고 있는 개인들 사이에서의 단결이나 행동의 일치.
- The community showed great solidarity in supporting the local charity event.
- 지역 자선 행사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지역 사회는 큰 연대를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