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6 07:10:06

개막공연 판소리시어터 ‘심청’ 연일 화제 평론가 및 언론 호평 잇따라


... 이병재 (2025-08-26 07:10:06)

IMG
<개막공연 판소리시어터 ‘심청’ >

-2025 전주세계소리축제 결산 (상)

2025전주세계소리축제(이하 소리축제)가 많은 화제를 남기며 지난 17일 폐막했다.

올해 소리축제는 화제몰이에 성공한 판소리시어터 ‘심청’을 비롯해 ‘2025 장르별 시장 거점화 지원사업’에 의한 외연의 확장,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놀이마당을 가득 채운 관객들의 함성 등 예술성과 소리축제의 확장성, 대중성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열린 소리축제 성과를 상, 중, 하 3회에 걸쳐 되돌아본다.<편집자 주>

파격과 충격, 새롭게 태어난 심청을 논하다
지난 13일 베일 벗은 소리축제 개막공연 판소리시어터 ‘심청’에 대한 반응은 뜨거웠다. 이번 작품은 소리축제와 국립극장과의 2년간에 걸친 협업의 결과물로 화려한 연출진과 출연진으로 개막전부터 많은 화제를 불러왔다.

독일에서 활동하는 오페라 연출가 요나 김이 총연출을 맡고, 국립창극단의 스타 김준수와 유태평양이 심봉사 역을, 김우정과 더블 캐스팅으로 선발한 김율희가 심청을 맡았다.

이번 ‘심청’은 제작부터 우리가 알던 ‘효녀 심청’이 아니라 전혀 다른 해석의 새롭게 태어난 ‘심청’이 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개막 후 반응은 상상 이상이었다.

장일범 음악평론가는 세련된 무대 위에서 심청, 심봉사 등 등장인물을 생생하게 담아내는 벤야민 뤼트케의 카메라는 관객들에게 극의 몰입감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마치 바그너 오페라페스티벌이 열리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처럼 클래식 악기 단원들이 배치돼 음악의 풍성함을 배가시켜주었다고 평했으며, 중간중간에 화음을 넣는 서양식 합창이 아닌 150명에 달하는 출연진이 모두 같은 음을 부르는 유니즌으로 같이 부르는 이 합창 장면은 매우 힘찼고 중국의 경극을 비롯한 일본 가부키에서 볼 수 없는 창극의 대단한 매력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 전통의상을 벗고 현대식 의상을 입은 심청이 이제 고전 속의 심청이가 아닌 우리 시대에도 있을 수 있는 청이의 모습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장일범 음악평론가는 “‘창극은 전통의상 한복을 입고 불러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대단한 파격으로 다가왔을 수 있는 작품이었다”면서 “마지막 장면은 아버지 심봉사로부터 자유로워진 심청이 모악당 로비에서 나와 거리로 사라지는 장면. 자신의 모든 세계를 지배했던 아버지와 주위의 폭력으로부터 떠나 이제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게 된 미래지향적 심청의 모습이었다”고 평했다.

이렇듯 ‘심청’ 개막공연 후 다양하고 많은 리뷰 및 공연 관람 후기가 쏟아졌다.

<국민일보>는 전주세계소리축제 ‘심청’, 무수히 죽어간 딸들에게 바치는 진혼곡 “오페라 연출가 요나 김, 효녀 심청의 이미지 전복하는 재해석”이라는 제목의 리뷰를 게재했다.

장지영 국민일보 기자는 “‘심청’은 우선 국립창극단 단원을 포함해 무용수, 아역배우, 합창단 등 150여 명의 출연진이 나오는 유례없는 대작이다”며 “기존 창극에선 보기 어려운 잦은 떼창(서양음악의 합창과 달리 화음이 없음)과 배우의 감정과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포착해 스크린으로 송출하는 라이브 카메라 활용 등 형식적인 면에서 눈길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이보다 더 강렬한 것은 효녀 심청에 담긴 유교적 가치나 동화적 판타지를 완전히 깨부수는 재해석이다”고 밝혔다.

또한, 방송사뿐만 아니라 중앙지, 지역지 등 다수 매체(50여건)에서 ‘심청’에 대한 각양각색의 해석을 내놓으며, 화제몰이를 이어가고 있다.

사람들의 관심사는 이제 서울로 향하고 있다. 전주 개막공연에 이어 9월 3일부터 6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달에서 펼쳐지는 ‘심청’이 전 회차 매진하며 열기가 식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프리미엄 개막공연의 ‘심청’ 전주세계소리축제의 그 역사가 시작됐다.


Critically Acclaimed Pan-sori Theater Opening Performance 'Simcheong' Continues to Make Headlines with Praise from Critics and Media



-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Closing (Top)

The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ound Festival) came to a close on the 17th, leaving a lot of buzz behind.

This year's Sound Festival received high praise for its success in attracting attention to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Pansori Theater 'Shim Cheong,' the expansion of outreach through the '2025 Genre Market Hub Support Project,' and the enthusiastic response from the audience that filled the playground of the Korean Sound Culture Hall. It was evaluated as having captured both artistic quality and the expansiveness and popularity of the Sound Festival. The achievements of this year's Sound Festival will be reviewed over three installments: top, middle, and bottom.

Discussing the Radical and Impactful New 'Shim Cheong'
The response to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Sound Festival, the Pansori Theater 'Shim Cheong,' unveiled on the 13th, was fervent. This production, a result of a two-year collaboration between the Sound Festival and the National Theater,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with its splendid production team and cast.

Directed by opera director Yona Kim, based in Germany, the star-studded cast included Kim Junsu and Yoo Tae-pyeong from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playing the roles of Shim Bong-sa, and Kim Yul-hee, selected for a double casting, playing the role of Shim Cheong.

This 'Shim Cheong' was revealed to be a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not the traditional 'filial daughter Shim Cheong' we knew, which sparked extraordinary interest. The response after the opening exceeded expectations.

Music critic Jang Il-beom praised the camera work of Benjamin Lutke, capturing the vivid portrayal of characters like Shim Cheong and Shim Bong-sa on the sophisticated stage, enhancing the audience's immersion in the performance.

Furthermore, the placement of classical instrumentalists akin to the Bayreuth Festival at the Wagner Opera Festival enriched the musicality, and the powerful ensemble scene where all 150 cast members sang in unison, rather than inserting harmonies typical of Western-style choral singing, showcased a remarkable charm of Changgeuk, including Chinese opera and Japanese Kabuki, not seen elsewhere.

Moreover, it was noted that Shim Cheong, shedding the traditional Korean attire for modern clothing, presented a version of Cheong that could exist in our contemporary era, not confined to the classics.

Jang Il-beom, the music critic, commented, "For those who think, 'Changgeuk should be sung in traditional hanbok attire,' this work could have been a remarkable breakthrough," and he remarked, "The final scene depicted Shim Cheong, freed from her father Shim Bong-sa, emerging from the Moakdang lobby and disappearing into the streets. It portrayed a forward-looking Shim Cheong who leaves behind her father, who once dominated her entire world, and the surrounding violence, moving towards a new world."

Following the opening performance of 'Shim Cheong,' various reviews and audience feedback poured in.

The published a review titled "Jeonju World Sound Festival's 'Shim Cheong,' a Reinterpretation Overturning the Image of the Filial Daughter Shim Cheong, a Requiem Dedicated to the Many Deceased Daughters."

Journalist Jang Ji-young of the stated, "First and foremost, 'Shim Cheong' is an unprecedented large-scale production involving around 150 cast members, including members of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dancers, child actors, and a choir," and she noted, "It captivated attention for its formal aspects, such as frequent ensemble singing (unlike Western music choral singing, there are no harmonies) and the use of live cameras that capture actors' emotions and movements in real-time and project them onto screens. However, what is more striking is the reinterpretation that completely shatters the Confucian values and fairy-tale fantasy embedded in the traditional Shim Cheong."

Moreover, not only broadcasting companies but also numerous media outlets (over 50) have been offering various interpretations of 'Shim Cheong,' continuing the buzz.

People's attention is now turning towards Seoul. Following the Jeonju opening performance, 'Shim Cheong' will be staged at the National Theater Haewolimdal from September 3 to 6, with all previous performances sold out, showing that the enthusiasm remains high. The premium opening performance of 'Shim Cheong' mark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the Jeonju World Sound Festival.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concluded with great success,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Pansori Theater 'Shim Cheong.' T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story received high praise for its innovative approach and artistic quality.

🗣️ Korean Translation:
2025 전주 세계 소리 축제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으며, 특히 판소리 극장 '심청'의 개막 공연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전통 이야기의 새로운 해석은 혁신적인 접근과 예술적 품질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ere some of the key aspects that received high praise during the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주목 받은 2025 전주 세계 소리 축제의 주요 측면은 무엇입니까?
2. Who were some of the notable cast members in the opening performance of 'Shim Cheong'?
'심청'의 개막 공연에서 주목할 만한 출연진은 누구였습니까?
3. How was the reinterpretation of 'Shim Cheo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ersion?
'심청'의 재해석은 전통적인 버전과 어떻게 다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outreach, 아웃리치, noun
- Extending services or assistance beyond the usual limits
- 보통의 한계를 넘어서 서비스나 지원을 확대하는 것
- The organization focused on outreach programs to help the local community.
- 조직은 지역 사회를 돕기 위해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췄다.

2. ensemble, 앙상블, noun
- A group of musicians, actors, or dancers who perform together
- 함께 공연하는 음악가, 배우 또는 무용수들의 집단
- The ensemble delivered a captivating performance at the concert.
- 앙상블은 콘서트에서 매혹적인 공연을 선보였다.

3. immersion, 몰입, noun
- Deep mental involvement in something
- 무언가에 깊게 몰입하는 것
- The virtual reality game offers a high level of immersion for players.
- 가상 현실 게임은 플레이어들에게 높은 수준의 몰입을 제공한다.

4. reinterpretation, 재해석, noun
- The action of interpreting or explaining something in a new way
-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하거나 설명하는 행위
- The artist's re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painting brought a fresh perspective.
- 예술가의 고전 그림 재해석은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5. captivate, 사로잡다, verb
- To attract and hold the interest or attention of someone
- 누군가의 흥미나 주의를 끌고 유지하는 것
- The magician's performance captivated the audience with its illusions.
- 마술사의 공연은 그의 환상으로 관객을 사로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