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8 11:04:46

한 여름밤의 잊지 못할 소리 썸머나잇…호평 잇따라


... 이병재 (2025-08-28 11:01:56)

IMG
<사진 위에서부터 '순창농요 금과들소리'와 ‘안은미컴퍼니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

-2025전주세계소리축제 결산 (하)

-3일간 펼쳐진 야외무대 월드뮤직부터 신나는 댄스까지

-낮은 실내, 밤은 야외무대로 예술성·대중성 다 잡아아

예술성과 대중성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올해 노력은 ‘만원 관중’이 답했다.

낮에는 실내 공연 중심으로, 밤에는 야외 공연을 통해 아이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공연들로 라인업을 구성했다.

15일부터 17일까지 매일 오후 6시 30분부터 10시경까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놀이마당에서는 <소리썸머나잇>을 통해 전통음악과 월드뮤직, 재즈 등 다양한 장르의 다채로운 음악으로 여름밤을 화려하게 수놓았다. 전 공연은 무료로 진입 장벽을 낮췄다.

15일 9인의 연희자로 구성된 <푸너리>가 강릉단오굿을 재해석한 형태의 흥이 가득한 연희를 통해 ‘일마다 복이 오는’소망과 축원을 전달했으며, 이어 피리+밴드+호기로운+악동의 이미지를 가진 관악 기악 앙상블 <피리밴드 저클>이 향피리, 저피리, 태평소 등 일상 소재를 기반으로 창작한 곡들을 통해 관악기들의 독특한 매력을 선사했다.

스페인 포커스로 기획된 <비구엘라의 민속음악>을 통해 이베리아 반도의 풍성한 음악적 유산이 담긴 흥겨운 민속음악을 선보였다. 만체고 기타, 레벡 등의 전통 악기와 프라이팬, 항아리 등 일상 도구를 사용해 소박하면서 신명 나는 소리풍경을 만들어냈다. 마지막은 독보적인 음악 색깔로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는 <이날치>의 무대로 독특한 그루브를 만끽하며 모두가 함께 춤추고 즐기는 축제의 장이 됐다.

16일에는 순창군 금과면 대장마을 들녘에서 불리워진 들노래를 복원한 <순창농요 금과들소리>로 첫 무대가 시작됐. 물 품는 소리, 모 찌는 소리 등 선조들의 귀한 소리가 관객들에게 색다른 음악을 선사했으며, 사이프러스 전통음악에 현대적 색채를 가미해 독특한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이는‘사이프러스 <무슈 두마니>’공연으로 흥겨우면서도 환상적이고 낯선 사운드를, 재즈보컬리스트 나윤선과 피아니스트 벵자멩 무쎄의 하모니가 돋보이는 <나윤선&벵자멩 무쎄 듀오>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했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이날의 마지막 공연은 전통음악과 팝 스타일을 버무려 감각적인 ‘퓨전’으로 빚어내는 <서도밴드>가 대미를 장식했다.

축제 마지막 날인 17일에는 일본 청소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시부시 치리멘타이코>가 와다이코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독특한 음색을 가진 북의 매력을 선사했다.
아울러, ‘브라질 <비시가 70>’은 펑크, 재즈, 아프로비트, 삼바 등 브라질 전통과 현대의 리듬이 한데 섞인, 브라스와 퍼커션의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강렬한 그루브로 관객들에게 신명을 전했으며. 이어지는 <송소희> 공연은 본인의 음악적 세계를 구축하고 확장해 나가는 싱어송라이터로서 그녀의 면모를 볼 수 있었던 무대로 꾸며졌다.

축제의 피날레는‘안은미컴퍼니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가 장식한다. 안무가이자 무용가인 안은미가 전국을 돌며 만난 춤추는 할머니들의 몸짓을 담아낸 기록과 무대 위의 몸짓이 만나고 섞이며, 역사가 배인 몸짓에 대한 미학적 헌정의 경험을 선사했다. 특별히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전북 지역의 ‘광복둥이(1945년생)’할머니들이 전문 무용수와 함께 무대에 올라 공동체적 정신과 삶에 대한 경의를 깊이 있게 전하며 깊은 울림을 줬다.

김희선 소리축제 집행위원장은 “올해 소리축제는 개막공연 ‘심청’부터 다양한 월드뮤직, 전통음악의 해외진출 플랫폼, 대중성을 잡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했다”며 “내년 소리축제는 올해보다도 더 발전된 모습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끝>

Unforgettable Sounds of a Summer Night "Summer Night"... Praise Continues

'>

-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Summary (Part 1)

- From outdoor stage World Music to exciting dances over 3 days

- Capturing both artistry and popularity with indoor during the day and outdoor at night

The efforts of this year's Jeonju World Sound Festival to capture both artistry and popularity were answered by the "10,000 audience members."

During the day, the lineup was focused on indoor performances, while at night, outdoor performances were organized to offer a variety of shows that families could enjoy together, from children to adults.

From the 15th to the 17th, from 6:30 pm to around 10 pm each day at the Nolimadang of the Korean Sound Culture Hall, the festival decorated summer nights with a variety of music genres including traditional music, world music, and jazz through "Sound Summer Night." All performances were free to lower the entry barrier.

On the 15th, the group of nine performers, "Poongnuri," delivered wishes and blessings through a lively performance reinterpreting Gangneung Dan-oh gut, followed by the unique charm of traditional instruments presented by the Gwanak instrumental ensemble "Piri Band Jeckle," which created songs based on everyday themes like the flute, band, and mischief.

Through the Spain-focused performance "Folk Music of Vigoella," a lively folk music rich in the musical heritage of the Iberian Peninsula was showcased using traditional instruments like the Manchego guitar and the rebec, as well as everyday tools like frying pans and pots, creating a simple yet lively sound landscape. The day ended with the unique groove of the stage by "Inalchi," expanding the spectrum with distinctive musical colors, where everyone danced and enjoyed the festival together.

On the 16th, the first stage began with "Sunchang Nongyo Geumgwa Deulso-ri," which restored field songs sung in Geumgwa Village, Sunchang-gun. The precious sounds of ancestors, such as the sound of water and pounding, offered the audience a different musical experience. The performance of "Cypress ," which combines modern colors with traditional cypress music, was exciting and presented a fantastic and unfamiliar sound. The evaluation poured in for the Jazz vocalist Na Yoon-seon and pianist Bengzameng Musae duo, who shone brightly. The last performance of the day was by "Seodo Band," creating a sense of fusion by blending traditional music with pop styles.

On the festival's final day on the 17th, the Japanese youth group "Shibushi Chirimentaiko" presented the unique charm of drums with various sizes and shapes through Wadaiko. Additionally, "Brazil " mixed traditional and modern rhythms of Brazil such as funk, jazz, Afrobeat, and samba, delivering an intense groove with the combination of brass and percussion to the audience. The following performance by "Song So-hee" was a stage where she built and expanded her own musical world as a singer-songwriter.

The finale of the festival was decorated by "Aneunmi Company ." Choreographer and dancer Aneunmi captured the gestures of dancing grandmothers she met while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offering an experience of aesthetic dedication to historical gestures on stage. Especially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the "Liberation Kids (born in 1945)" grandmothers from Jeollabuk-do took the stage with professional dancers, deeply conveying respect for community spirit and life, leaving a profound impact.

Kim Hee-sun,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Sound Festival, said, "This year's festival made various attempts from the opening performance 'Shimcheong' to diverse world music, traditional music's overseas platform, and efforts to capture popularity." She added, "Next year's festival will strive to reach the audience in a more advanced way than this year."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2025 Jeonju World Sound Festival showcased a mix of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including performances from various countries. The festival aimed to appeal to both art enthusiasts and the general public, offering indoor performances during the day and outdoor shows at night.

🗣️ Natural Korean Translation:
2025년 전주 세계 소리 축제는 전통과 현대 음악이 혼합된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이 축제는 예술 애호가와 대중 모두를 겨냥하여, 낮에는 실내 공연을 밤에는 야외 공연을 제공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types of performances were featured during the day at the Jeonju World Sound Festival?
낮에 전주 세계 소리 축제에서 어떤 유형의 공연이 선보였습니까?
2. How did the festival aim to appeal to a wide range of audience members?
이 축제는 어떻게 다양한 관객들에게 호소하기 위해 노력했습니까?
3. Can you describe the unique finale performance by the "Aneunmi Company" at the festival?
축제에서 "아는미컴퍼니"의 독특한 피날레 공연을 설명해 볼 수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artistry (예술성, noun)
- Skill and creativity in artistic expression.
- 예술적 표현에서의 기술과 창의력.
- She was praised for her artistry in painting.
- 그녀는 그림의 예술성으로 칭찬을 받았다.

2. variety (다양성, noun)
-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different or diverse.
- 서로 다르거나 다양한 상태나 특성.
- The buffet offers a variety of dishes to choose from.
- 뷔페는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요리를 제공합니다.

3. heritage (유산, noun)
- Something that is passed down from preceding generations; a tradition.
- 선행 세대로부터 전해지는 것; 전통.
-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is rich and diverse.
- 그 나라의 문화 유산은 풍부하고 다양합니다.

4. fusion (융합, noun)
- The process or result of joining two or more things together to form a single entity.
- 두 가지 이상의 것을 결합하여 단일 개체를 형성하는 과정 또는 결과.
- The music band created a unique fusion of classical and rock genres.
- 음악 밴드는 클래식과 록 장르의 독특한 융합을 만들었다.

5. aesthetic (미적인, adjective)
- Concerned with beauty or the appreciation of beauty.
- 아름다움이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데 관심이 있는.
- The artist's work had a strong aesthetic appeal to viewers.
- 그 예술가의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강력한 미적인 매력을 느끼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