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한지산업대전(제29회 전주한지문화축제)이 다음 달 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한국전통문화전당 일원에서 ‘이것이 한지다’를 주제로 화려한 막을 연다.
(재)전주문화재단(이사장 우범기)은 ‘이것이 한지다’를 주제로, 한지의 전통적 가치에서 산업적 가능성, 일상 속 쓰임까지 확장된 면모를 선보이며 개막식과 패션쇼, 체험·전시, 참여형 프로그램, 야간 이벤트로 구성된 다채로운 현장을 마련했다.
올해 축제는 개막 퍼포먼스로 문을 연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원하는 퍼포먼스에 이어 전국한지공예대전과 전국어린이한지미술대회 시상, 시민모델이 함께하는 런웨이와 국제한지패션쇼가 한자리에서 펼쳐진다. 밤에는 ‘한지로운 밤’ 프로그램을 통해 가을 버스킹과 한지 피크닉 콘셉트의 야간 이벤트가 이어져 낮과 밤이 다른 전주의 가을 정취를 채운다.
참여형 프로그램의 중심에는 ‘전주한지운동회’가 있다. 축제 기간 동안 대상별로 운영되며 2일에는 외국인 유학생과 관광객, 3일에는 관내 유치원생, 4일에는 사전 신청한 시민 가족이 참여한다. 한지 탑 쌓기, 한지 줄다리기, 박 터뜨리기, 한지 챌린지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종목을 통해 한지를 몸으로 경험하게 한다.
이와 함께 세종학당과 연계해 해외에서도 한지운동회가 동시 진행된다. 미국(오번·샌프란시스코), 캐나다(몬트리올·워털루), 베트남(꾸이년·빈즈엉·하노이·베트남 거점), 아랍에미리트(샤르자 거점·아즈만) 등 4개국 10개소에서 한지 윷놀이, 한지 제기차기, 한지 딱지치기, 한지 공기놀이, 한지 비행기 날리기 등 한지 체험이 이어지며, 전주에서 시작된 놀이가 세계 곳곳의 일상으로 확장된다.
국제 교류와 도시 외연 확장도 올해의 굵직한 특징이다. 재단은 9월부터 짐바브웨 블라와요와 체코 프라하에서 전주한지를 소개하는 홍보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으며, 일본 가나자와의 공예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축제 개막일(10월 2일)부터 10월 17일(금)까지 교류전을 연다.
전주에서 만든 한지의 재료성과 미감이 해외 공예의 해석과 만나 새로운 작업으로 탄생하는 과정 자체가 이번 축제의 중요한 관람 포인트다. 더불어 국내외에서 동시 진행되는 전주한지운동회는 전주한지의 세계화에 속도를 붙이는 장이자,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 의지를 널리 알리는 계기로도 기능한다.
전시 섹션은 전통·현대·응용으로 결을 나눠 한지의 스펙트럼을 조망한다. 제31회 전국한지공예대전은 4월 공모를 시작해 9월 17일 심사를 마쳤고, 대상(국회의장상)은 ‘전주장’ 박소혜 작가가 수상했다. 수상작은 전통(지호·지승·지화), 현대(의상·그림·조형), 응용(문화상품·기타) 등 세 부문에서 선정되었으며, 전당 3층 기획전시실에서 한 달 동안 전시된다.
제5회 전국 어린이 한지미술대회에는 한지 1,200여 장이 배포되는 가운데 총 614점이 접수되었고, 유치부 유한별(성현유치원), 초등 저학년부 박이루(서일초), 초등 고학년부 윤다윤(서일초) 학생이 대상을 차지했다. 최우수·우수·장려 등 549점의 입상작도 같은 기간 관람할 수 있다.
한지의 산업적 응용을 실험하는 ‘한지 비즈니스 모델 파빌리온’도 선보인다. 건축가가 한지의 평량·두께·인장강도 등 물성을 바탕으로 약 3개월간의 실험을 거쳐 제작한 한지 패널을 현장에 설치하고, 10월 2일(목) 오후 4시에는 건축가와 함께 ‘한지담론’ 토크를 열어 건축적 소재로서의 한지를 전문적으로 논의한다. 한지가 공예의 범주를 넘어 공간과 구조의 언어로 확장되는 순간을 목도할 전망이다.
축제의 동선 곳곳에서는 한지장의 제조 시연과 한지 체험·판매, 전통놀이, 소규모 이벤트가 상시 운영되며 전주경기전 내 전주사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 포쇄 재현과 ‘전주사고 이야기’ 프로그램이 이어져 전통 기록문화의 의미를 현장에서 생생히 전한다. 관람객은 한지의 섬세한 섬유결을 손끝으로 느끼고, 기록과 보존의 철학을 역사 속 장소에서 되새길 수 있다.
The 29th Jeonju International Hanji Industry Fair (Jeonju Hanji Culture Festival) opens on the 2nd
The Jeonju International Hanji Industry Fair (29th Jeonju Hanji Culture Festival) will open its splendid curtains with the theme 'This is Hanji' a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enter in Jeonju for three days from the 2nd to the 4th of next month.
The Jeonju Cultural Foundation (Chairman Woo Beom-gi) has prepared a colorful event featuring the opening ceremony, fashion shows, experiences, exhibitions, participatory programs, and evening events under the theme 'This is Hanji,' showcasing the traditional value of Hanji, its industrial potential, and its everyday uses.
This year's festival will kick off with an opening performance. Following a performance wishing for UNESCO's recog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vent will feature the National Hanji Craft Competition, the National Children's Hanji Art Contest, a runway show with citizen models, and an international Hanji fashion show all in one place. In the evening, the program 'Hanji Night' will continue with autumn busking and a nighttime event with a Hanji picnic concept, filling Jeonju's autumn atmosphere with a different charm during the day and night.
At the heart of the participatory program is the 'Jeonju Hanji Olympics.' It will be held for different groups during the festival period, with foreign exchange students and tourists participating on the 2nd, local kindergarten students on the 3rd, and citizen families who pre-registered on the 4th. Through activities like building Hanji towers, Hanji tug-of-war, breaking boards, and Hanji challenges, people of all ages can experience Hanji with their bodies.
In addi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Sejong Institute, Hanji Olympics will be simultaneously held overseas. Hanji experiences such as Hanji yutnori, Hanji jegichagi, Hanji ddakji, Hanji kite flying, and more will take place in 10 locations in 4 countries including the U.S. (Oakland, San Francisco), Canada (Montreal, Waterloo), Vietnam (Quy Nhon, Vinh Long, Hanoi, Vietnam Hub),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Sharjah Hub, Ajman), expanding the games initiated in Jeonju to everyday life worldwide.
International exchange and expanding the city's outreach are the major features of this year. The foundation has been promoting Jeonju Hanji in Zimbabwe, Blantyre, and Prague, Czech Republic since September, and through exchanges with craft artists from Kanazawa, Japan, an exchange exhibition will be held from the festival opening day (October 2) to October 17.
The process of creating new works through the meeting of the materiality and aesthetics of Hanji made in Jeonju with interpretations of overseas crafts is a significant viewing point of this festival. Furthermore, the simultaneous Jeonju Hanji Olympics hel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ill accelerate the globalization of Jeonju Hanji and serve as a means to widely promote the city's bid for the Summer Olympics.
The exhibition section will divide Hanji's spectrum into traditional, modern, and applied categories. The 31st National Hanji Craft Competition started its call for entries in April and concluded judging on September 17, with the grand prize (National Assembly Speaker's Award) going to artist Park So-hye with the work 'Jeonju Jang.' The award-winning works in traditional (jihwahwa), modern (clothing, painting, sculpture), and applied (cultural products, others) categories will be displayed for a month on the 3rd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In the 5th National Children's Hanji Art Contest, out of 1,200 Hanji distributed, a total of 614 pieces were submitted, and the grand prizes were awarded to Yoo Han-byeol (Seonghyun Kindergarten) in the preschool division, Park I-ru (Seoil Elementary School) in the lower grades division, and Yoon Da-yoon (Seoil Elementary School) in the upper grades division. Additionally, 549 award-winning works including excellent and encouragement prizes can be view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Hanji Business Model Pavilion,' which experiments with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Hanji, will also be showcased. Architectural panels made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Hanji such as thickness and tensile strength after about three months of experimentation will be installed on-site. On October 2 at 4 p.m., a 'Hanji Discourse' talk will be held with architects to professionally discuss Hanji as a material for architecture. It is expected to be a moment where Hanji expands beyond the realm of crafts into the language of space and structure.
Throughout the festival, there will be demonstrations of Hanji making, Hanji experiences, sales, traditional games, and small-scale events at various locations. At Jeonju Gyeonggijeon Hall, the reenactment of seal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ogram 'Jeonju Gyeonggijeon Story' will continue, vividly conveying the meaning of traditional record culture on-site. Visitors can feel the delicate fiber texture of Hanji with their fingertips and reflect on the philosophy of recording and preservation in history at the historical site.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Jeonju International Hanji Industry Fair, also known as the 29th Jeonju Hanji Culture Festival, will take place for three days a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enter in Jeonju. The event will feature various activities such as opening ceremonies, fashion shows, competitions, and participatory programs to showcase the traditional value and industrial potential of Hanji.
🗣️ Korean Translation:
전주 국제 한지 산업 박람회인 29회 전주 한지 문화 축제가 다음 달 2일부터 4일까지 전주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세 가지 동안 열릴 예정입니다. 이 행사는 전통적 가치와 산업 잠재력을 보여주기 위해 개막식, 패션쇼, 경연대회 및 참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선보일 것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are some of the activities that will be featured at the Jeonju International Hanji Industry Fair?
활동 중 일부는 무엇입니까?
2. How will the 'Hanji Olympics' be organized during the festival period?
'한지 올림픽'은 어떻게 행사 기간 동안 진행될 것인가요?
3.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collaboration with the Sejong Institute for the Hanji Olympics?
세종연구소와의 협력이 한지 올림픽에 어떤 중요성이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splendid / 화려한 / adjective
- very impressive; magnificent
- 그 곳은 화려한 궁전과 정원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 The place was filled with splendid palaces and gardens.
2. participatory / 참여의 / adjective
- involving or characterized by active participation
- 그 프로그램은 모든 사람들의 참여를 촉구합니다.
- The program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everyone.
3. simultaneous / 동시에 / adjective
- occurring, operating, or done at the same time
- 두 이벤트가 동시에 열릴 예정입니다.
- The two events will be held simultaneously.
4. outreach / 확장 / noun
- the extent or length of reaching out
- 이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에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This project is making efforts to reach out to more people in the local community.
5. reenactment / 재연 / noun
- the acting out of a past event
- 그들은 역사적 사건을 재연하는 흥미로운 공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They are preparing an interesting performance reenacting a historical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