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03 11:32:57

“엄마 고발한 교사가 아이 담임으로… 전주 M초등학교 학생의 고통”


... 임창현 (2025-10-02 10:12:48)

IMG
전북 전주 M초등학교에서, 학교 담임교사가 특정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뒤 자신이 해당 학부모 자녀의 담임을 맡게 되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엄마를 고발하고 담임교사로 부임한 교사를 상대로 전주시청에 직접 고통을 호소했던 학생은 9월 16일자 학교 일기장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했다.

“오늘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졸업 사진을 교실에서 찍는데, … 졸업 사진을 찍지 않은 사람은 수학 단원평가를 찍지 않은 사람에게만 풀라고 하니까 어이가 없고, 다른 애들도 풀어야 하는데, 찍지 않은 나만 풀라고 하니까 억울하다…”

이어 “6교시에는 영어공부하는데 전자칠판에 ‘고소 비용 얼마예요?’ OOO라는 사람의 카카오톡 메시지 내용이 올라왔고, 담임선생님은 내 책상 앞에 있어 (스마트 칠판에 노출된 걸) 자신의 문자를 확인하지 못했고 그 뒤에 문자메시지가 노출된 것을 알고 황급히 지웠다”라는 내용이다.

이 학생의 어머니는 “6학년이 된 제 아이는 지금도 심리치료 중입니다. 엄마를 고발한 교사가 담임교사로 교실에서 매일 만나는 것이 무섭다고 합니다”라며 “심리치료 전문가의 의견도 담임교사와의 분리입니다. 제발 아이가 교실 수업을 마음 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이어 어머니는 “아이가 편안히 학교 다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담임교사가 저를 고소·고발해 100번 조사를 받더라도, 아이만 학교에서 마음 편히 수업받고 졸업할 수 있으면 더 바랄 것이 없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어머니는 또 “담임교사의 위치와 지위에 영향이 가지 않는 부담임제도의 시행을 바랍니다. 해당 제도가 시행되면 아이와 담임교사가 분리되어 배가 아파서 조퇴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라고 밝혔다.

대학교수 신분인 이 학생의 어머니가 ‘악성 학부모’라는 여론몰이를 받게 된 이유는 자신이 생활기록부 정정 요구를 했다는 것과 학교에 전화를 건 횟수로 매도당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북교육신문이 당시 이 사건을 취재하며 통신사 기록과 녹취록을 확인한 결과, 발신 전화 61건이 아닌 2024년에 학교 교무실로 문의한 전화 건수는 25건이었다. 오히려 자녀의 치료를 위해 공문 발송 요청을 하는 아이의 어머니의 전화에 학교는 수차례 통화에서 “바쁘다”고 계속 답변하더니, 나중에는 “민원을 넣어라”라고 요구하는 내용도 있었다.

생활기록부 관련 통화내용에 대해 학부모는 정정이나 수정 요구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통화내용에는 “(자신이) 생활기록부와 생활통신표 구분을 못해서 2023년 당시에 담임교사가 평가 기준을 설명해 주시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며, 그럼에도 “자신이 생활기록부를 정정해 달라는 몰지각한 학부모로 매도당했다”고 밝혔다. 이는 학부모가 학교에 전화를 하는 것조차 어떻게 악의적으로 왜곡되고 모함을 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위협받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모습이다.

이 일로 학부모는 교사노조의 주도로 근조화환 시위와 현수막 시위, 교원단체 관계자들의 릴레이 1인 시위 등의 압력으로 근무하는 대학에서 징계를 받아 강의를 못하는 상황이 되었지만, 법원의 징계 취소결정으로 학생들의 수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취재를 했던 기자도 단독으로 학교 행정실에 정식 절차를 받아 해당 담임교사를 만났고, 학교 현관문까지 배웅을 나온 담임교사에게 “전교조가 이러면 안 된다”는 말을 남기고 학교를 나왔지만, 전교조 전북지부 기자회견문에서는 ‘학부모와 전북교육신문 기자가 학교를 함께 방문했다’는 허위사실을 적시했다.

담임 교사는 지난해 12월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사실을 자신의 SNS에 올리며 "복직과 동시에 전주 M초로 전보 신청을 했다"고 밝히고, "점수가 낮지만 경합이 없다면 PD수첩 학급의 담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무고한 아동학대 신고와 악성 민원을 일삼은 학부모를 형사 고발한 내가 학급 담임으로서 학부모들을 어떻게 만나야 할지 두렵다"는 글을 남겼지만, 악성학부모라는 혐의에 대해서 경찰수사로 입증하지 못했고 지난 달에도 새로운 전교조 지부장 주도로 기자회견을 갖고 고발했다는 기자회견 했지만, 학부모가 경찰서에 알아보니 "고발사건 부존재"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북교육청 옆에 천막을 치고 전교조 간부로서 학부모를 고발한 담임교사의 농성장에는 교육감 출마 입지자인 천호성 전주교대 교수와 노병섭 전교조 전 전북지부장, 그리고 진보당 소속 국회의원의 지지 방문이 이어졌다. 이에 맞서 대학교수인 학부모는 ‘거짓말로 학부모 공격에서 만든 교권은 가짜! 학생인권 지켜내며 만든 교권은 진짜!’라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했다.

전북교육신문이 해당 학생의 어머니를 처음 만나게 된 것은 전북교육신문의 운영조합이나 상급단체와 전혀 관련이 없는 인권단체의 활동을 하는 전교조 조합원 소속의 고등학교 선생님이 전화를 걸어와서 도와달라고 부탁을 해왔기 때문이다.

처음 전북교육신문 기자가 만난 아이의 어머니의 눈에 실 핏줄이 터져 보기가 안쓰러워질 정도도 심한 상태였다. 아이의 어머니는 울먹이며 아이가 방송에 나온 "선생님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다며 자신의 자녀가 "고통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2년동안 모르고 있었다. 엄마로서 나를 용서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날 기자와의 대화는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어머니가 아이의 전화를 받자마자 "아이가 ** 싶다고 말한다" 빨리 가봐야 겠다고 자리를 급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전북교육신문은 이 취재가 시작되기 전까지 교원단체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레드카드 사건과 M초 사건을 보도하며 해당 어머니가 당해온 것 처럼 허위사실에 의해 별이 별 공격을 모두 받는 것 까지 감수하며 보도를 이어 온 이유는 당시 상황은 급박했고 심각한 위기상태로 '학생과 학부모에게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판단에서 였다.

M초등학교 사건은 Y초 레드카드 사건과 이어져 있다. 이를 자세하게 보도하고 취재한 전북교육신문의 보도내용은 사실이다. 처음 보도 이후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들로 부터 많은 전화와 악성스팸메일 공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많은 교사들이 사실이 아닌 내용으로 선동당하고 고통받는 학생이 있다면 이를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누군가 어떤이들이 어떤일들을 어떤 이유로 저질렀는지 명백하게 밝혀지는 날이 올것'이라고 믿는다.


“Teacher Who Reported Mother Takes Charge of Her Child’s Class… Student’s Pain at Jeonju M Elementary School”

At Jeonju M Elementary School in North Jeolla Province, controversy continues after a teacher who had filed a criminal complaint against a parent was later assigned as the homeroom teacher for that same parent’s child.

The student, who directly appealed to Jeonju City Hall about the pain caused by this situation, recorded the following in a school diary entry on September 16:

“Today during class, the teacher was taking graduation photos in the classroom… The teacher said that only those who did not take the graduation photo should solve the math test questions. I was upset because everyone should do it, but only I had to because I didn’t take the photo…”

The diary continued:

“During the sixth period English class, a KakaoTalk message popped up on the smartboard in front of my desk saying, ‘How much does it cost to file a lawsuit?’ from OOO. The homeroom teacher, standing in front of my desk, didn’t realize her own text was exposed until afterward, then hurriedly deleted it.”

The student’s mother explained:

“My child, now in sixth grade, is still undergoing psychological counseling. It is frightening for them to face a homeroom teacher every day who had once sued me. The counseling specialist’s opinion is that my child should be separated from this teacher. Please allow my child to attend class comfortably.”

She added:

“If my child can go to school in peace, I don’t care if I’m investigated 100 times because the teacher reported me. All I want is for my child to safely finish school. I also hop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homeroom system, so my child doesn’t have to leave school sick just to avoid this teacher.”

Parent’s Background and Alleged Smear Campaign

The mother, a university professor, came under public attack and was labeled an “abusive parent” after requesting clarification regarding her child’s student records and making repeated calls to the school. However, an investigation by Jeonbuk Education News revealed that contrary to claims of 61 calls, the actual number of phone calls she made to the school in 2024 was only 25.

In several calls, she simply requested official documents to support her child’s therapy, to which school staff repeatedly responded, “We’re busy,” later telling her to “file an official complaint.”

Regarding accusations that she demanded changes to the official student record, she clarified:

“I never asked for corrections. Most of my calls were the teacher explaining the grading standards, since I had confused the student record with the parent communication report. But I was still vilified as a reckless parent demanding illegal alterations.”

This episode, she argued, shows how a parent’s basic inquiries can be twisted into malicious rumors—revealing how the educational community itself can become unsafe.

Fallout and Continued Struggles

As a result of protests staged by teachers’ unions—including funeral wreaths and banners—the mother was even suspended from her university teaching job. However, the suspension was overturned in court, allowing her to return to teaching.

Journalists also faced pressure. One Jeonbuk Education News reporter, after interviewing the teacher in question, recalled leaving the school and saying, “The union shouldn’t be doing this.” But in a union press release, it was falsely claimed that the reporter had visited the school together with the parent.

The teacher herself had posted on social media in December, boasting about filing charges against the mother and announcing a transfer to Jeonju M Elementary. She wrote that she expected to become homeroom teacher of a “PD Notebook class” (a nickname referencing a past TV investigation program about teacher misconduct). She admitted being afraid of meeting parents as a teacher who had pressed charges.

Despite public claims from the union that the parent was reported to police again this year, the mother confirmed with authorities that “no such case exists.”

Political Support and Counter-Protest

At the teacher’s protest tent near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she was supported by education superintendent candidates and progressive politicians, including former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Cheon Ho-seong, former union leader Noh Byung-seop, and a lawmaker from the Progressive Party.

In response, the parent held a one-person protest holding a placard that read:

“Authority built on lies against parents is fake authority! True authority comes from protecting students’ rights.”

Journalist’s First Encounter

The newspaper first met the student’s mother through a phone call from a union-affiliated high school teacher, who was active in a human rights group. When the reporter arrived, the mother’s eyes were so bloodshot from stress that it was difficult to look at her. Breaking down in tears, she said:

“For two years, I didn’t realize my child was suffering. I saw my child on TV saying, ‘The teacher is lying,’ and I can’t forgive myself as a mother.”

The interview was cut short when she suddenly rushed out, answering a phone call from her child who had said, “I want to die.”

Why the Reporting Continued

Until then, Jeonbuk Education News had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unions. But the urgency and severity of the M Elementary and earlier “Red Card” case convinced the newsroom to keep reporting despite smears and cyberattacks.

As the paper stated:

“Even if it takes time, the day will come when it is revealed who did what, and why. Our responsibility is to ensure that unimaginable suffering for students and parents is not rep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