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03 11:32:57

“장애인도 버스타고 고향가고 싶다”


... 전북장애인뉴스 제휴 (2025-10-02 13:57:02)

IMG
-시외고속버스 장애인이동권 보장 촉구 기자회견 열려

장애인도 차별 없이 시외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권 보장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전주에서 울려 퍼졌다.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북장차연)와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전북지부는 2일 오전 10시 30분,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주차장 옆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도 명절에 버스를 타고 고향에 가고 싶다”며 정부와 운수회사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이날 단체는 “광주지법이 지난 2월 금호고속이 휠체어 리프트 설치를 하지 않은 것은 장애인 차별이라는 판결을 내렸음에도, 여전히 국가와 지자체, 운수회사는 이동권 보장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애인 이동권 운동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이어져 왔으며, 시내 저상버스와 특별교통수단 도입 등 성과가 있었지만 시외고속버스의 경우 단 한 대의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도 없는 실정이다. 2019년 일부 노선에서 시범 운행된 리프트 버스마저 코로나19를 이유로 사라졌다.

전북장차연 관계자는 “장애인의 이동할 권리는 기본권이자 생존권”이라며 “앞으로 전북 주요 운수회사를 상대로 소송과 행동을 이어가 장애인도 차별 없이 버스를 타고 고향에 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Disabled People Want to Take Buses to Visit Their Hometowns"

Press conference urging guarantee of disabled people's right to use intercity buses

A voice calling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disabled individuals to use intercity buses without discrimination echoed in Jeonju.

On the morning of the 2nd, the Jeonbuk Alliance for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Jeonbuk Jangcha Yeon) and the Jeonbuk branch of the National Alliance for the Mobility of the Disabled held a press conference at 10:30 a.m. next to the Jeonju Express Bus Terminal parking lot, demanding responsible actions from the government and transportation companies, stating, "Disabled individuals also want to take buses to their hometowns during holidays."

The group criticized, "Despite a court ruling in February that GoldStar Express did not install wheelchair lifts, which was deemed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the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transportation companies continue to neglect the guarantee of mobility rights."

The movement for the mobility rights of disabled individuals has been ongoing since the early 2000s, with achievemen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low-floor buses in urban areas and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However, when it comes to intercity buses, there is not a single vehicle capable of accommodating wheelchairs. Even the lift buses that were piloted on some routes in 2019 disappeared due to COVID-19.

An official from Jeonbuk Jangcha Yeon stated, "The right of disabled individuals to move is a fundamental right and a right to survival," adding, "We will continue legal action and advocacy against major transportation companies in Jeonbuk to create a world where disabled individuals can take buses to their hometowns without discrimination."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A press conference in Jeonju called for the guarantee of disabled individuals' right to use intercity buses without discrimination, criticizing the lack of wheelchair accessibility and urging responsible actions from the government and transportation companies.

🗣️ Korean Translation:
전주에서 장애인들의 시외버스 이용 권리를 차별 없이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울렸다. 정부와 교통 회사로부터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하며 휠체어 리프트를 설치하지 않은 골드스타 익스프레스에 대한 판결을 비판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main demand of the press conference in Jeonju?
주요 요구사항은 무엇이었습니까?
2. Why did the group criticize the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transportation companies?
그룹이 정부, 지방 당국 및 교통 회사를 비판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3. What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transportation services for disabled individuals since the early 2000s?
2000년대 초 이후 장애인을 위한 교통 서비스 측면에서 어떤 성취가 이루어졌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guarantee / 보장하다 / verb
- To provide assurance that something will be done or will happen.
- 이 일이나 일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장하는 것.
- The company guarantees a refund if the product is faulty.
- 제품에 결함이 있을 경우 회사는 환불을 보장합니다.

2. discrimination / 차별 / noun
- The unjust or prejudicial treatment of different categories of people.
- 다른 범주의 사람들에 대한 부당하거나 선입견 있는 대우.
- Discrimination based on race is unacceptable.
- 인종에 기반한 차별은 용납할 수 없습니다.

3. neglect / 방치하다 / verb
- To fail to care for properly or give attention to.
- 제대로 돌보지 않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
- The landlord neglected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
- 건물의 유지보수를 방치한 건주가 있었습니다.

4. accommodate / 수용하다 / verb
- To provide lodging or sufficient space for.
- 숙박 또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
- The hotel can accommodate up to 200 guests.
- 그 호텔은 최대 200명의 손님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5. fundamental / 근본적인 / adjective
- Forming a necessary base or core; of central importance.
- 필수적인 기초 또는 핵심을 형성하는 것; 중요한 것.
- Education is a fundamental right for every child.
- 교육은 모든 어린이에게 근본적인 권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