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1-16 16:32:42

도립미술관, 전북 출신 여성 예술가 허산옥 조명


... 이병재 (2025-11-12 13:36:51)

IMG
<군방도-시창청공,1981, 개인소장>

전북도립미술관(관장 이애선)은 15일부터 전북 출신 여성 예술가 허산옥(許山玉, 1924~1993)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전북미술사 연구시리즈 ‘허산옥, 남쪽 창 아래서’를 개최한다.

‘전북미술사 연구시리즈’의 일환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시리즈 최초의 여성 작가 연구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여성미술사 연구의 기초를 다지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첫 발을 내딛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주로 서양화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해 온 시리즈의 범위를 확장하여, 사군자와 화조화 등 전통 회화 부문을 처음으로 다루는 전시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허산옥의 본명은 허귀녀로 행원(杏園) 또는 남전(藍田)이라는 호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전북 김제에서 태어나 남원권번에서 수학했고, 해방 이후 전주 풍남문 근처에서 요릿집 ‘행원(杏園)’을 운영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교류와 담론의 장을 열었다.

그는 의재 허백련과 강암 송성용에게 사군자와 서예를 배우며 전통 문인화의 기법을 익혔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다수 입선, 전라북도미술대전과 국립현대미술관 주최 현대미술초대전에 초대 등 지역 여성 화가로서 보기 드문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1970~80년대 완숙기에 이른 채색 화조화에서는 화려한 색채와 자유로운 필치로 삶과 예술의 균형을 표현한 허산옥만의 미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지역 근현대미술 안에서 상대적으로 조명받지 못했던 여성 화가의 삶과 작품을 통해 지역 미술사의 다층적 면모를 다시 바라보는 기획이다. 해방 이후 전북 화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미술사적 평가를 충분히 받지 못했던 허산옥의 삶과 작품을 추적하여 그가 구축한 미적 세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전시실에서는 이러한 허산옥의 작품과 더불어 그녀가 교류했던 지역 작가들의 작품, 그리고 새롭게 발굴된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지역 미술사 속 여성 예술가의 궤적을 복원한다. 나아가 그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과 지역 미술의 정체성, 그리고 여성 예술가로서의 내적 서사를 함께 탐색함으로써 지역 미술사와 여성 미술사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같은 기간 박경덕, 이올이 참여하는 ‘전북청년 2025: 보이지 않는 땅’을 개최한다. 올해 11회차를 맞이한 ‘전북청년’은 공모와 심사를 거쳐 도내의 청년 시각예술가를 발굴하고 조명하는 기획이다.

Provincial Art Museum Highlights Female Artist Heo San-ok from Jeollabuk-do



The Jeollabuk Provincial Museum (Director Lee Ae-seon) will host an exhibition series titled 'Heo San-ok, Under the Southern Window,' starting from the 15th, to shed light on the artistic world of Heo San-ok (許山玉, 1924~1993), a female artist from Jeollabuk Province.

As part of the 'Jeollabuk Art History Research Series,' this exhibition is the first research exhibition on a female artist in the series. Through this, the museum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research on female art history and take the first step towards future research. Moreover, expanding the scope of the series, which has mainly focused on Western painters, this exhibition holds significance as it delves into traditional Korean painting genres such as saguja and hwa-jo-hwa for the first time.

Heo San-ok, originally known as Heo Gwi-nyeo, was more widely recognized by her pseudonyms Haengwon (杏園) or Namjeon (藍田). Born in Gimje, Jeollabuk Province, she studied at Namwon Gwonbeon and after liberation, she ran a studio called 'Haengwon' near Pungnammun in Jeonju, fostering exchanges and discourse among local artists.

She learned saguja and calligraphy from Yi Jae Heo Baek-ryeon and Kang-am Song Seong-yong, mastering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 Heo San-ok, as a rare female painter in the region, continued her activities by being selected for numerous exhibitions a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the Jeollabuk Province Art Exhibition,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Invitation Exhibition for Contemporary Art. Particularly in the 1970s and 1980s, in her mature years, she expressed the balance between life and art with vibrant colors and free brushstrokes in her colorful hwa-jo-hwa paintings, showcasing her unique aesthetic sensibility.

This exhibition is designed to revisit the multifaceted aspects of regional art history through the life and works of female painters who have relatively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local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cene. Despite he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Jeollabuk art scene after liberation, Heo San-ok's life and works, which have not been adequately evaluated in art history, are traced to reinterpret the aesthetic world she constructed.

In the exhibition hall, alongside Heo San-ok's works, the exhibition restores the trajectory of female artists in regional art history through the works of local artists she interacted with and newly excavated archive materials. Furthermore, by exploring the surrounding temporal context, the identity of regional art, and the internal narrative of being a female artist, the exhibition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art history and female art history.

During the same period, an event titled 'Jeollabuk Youth 2025: Invisible Land,' with the participation of Park Gyeong-deok and Lee Ool, will be held. Celebrating its 11th edition this year, 'Jeollabuk Youth' is a project that discovers and highlights young visual artists in the province through open calls and evaluation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Jeollabuk Provincial Museum is hosting an exhibition series called 'Heo San-ok, Under the Southern Window' to showcase the artistic world of Heo San-ok, a female artist from Jeollabuk Province. This exhibition aims to research and shed light on the works of a female artist, expanding the scope of the series to include traditional Korean painting genr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북도립박물관(이애선 관장)은 '허산옥, 남창아 아래에서'라는 전시 시리즈를 개최하여, 전라북도 출신 여성 화가 허산옥의 예술 세계를 소개합니다. 이 전시는 여성 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서구 화가에 중점을 둔 시리즈의 범위를 확대하여 사구자와 화조화와 같은 전통 한국 회화 장르에 대해 탐구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main purpose of the exhibition series 'Heo San-ok, Under the Southern Window'?
전시 시리즈 '허산옥, 남창아 아래에서'의 주요 목적은 무엇입니까?
2. Why is this exhibition significant in the context of regional art history research?
이 전시가 지역 미술사 연구의 맥락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3. How did Heo San-ok contribute to the art scene in Jeollabuk Province during the 1970s and 1980s?
허산옥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라북도의 미술계에 어떻게 기여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foundation, 기반, noun
- The foundation of a building provides stability and support.
- 건물의 기반은 안정성과 지지를 제공합니다.
2. aesthetic, 미적인, adjective
- She has a great aesthetic sense when it comes to interior design.
- 그녀는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해 훌륭한 미적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3. vibrant, 활기찬, adjective
- The vibrant colors of the flowers brightened up the room.
- 꽃의 활기찬 색깔이 방을 밝게 만들었습니다.
4. excavated, 발굴된, adjective
- The archaeologists found ancient artifacts in the newly excavated site.
- 고고학자들은 최근 발굴된 사이트에서 고대 유물을 발견했습니다.
5. narrative, 서술, noun
- The novel had a compelling narrative that kept readers engaged until the end.
- 그 소설은 독자들이 끝까지 몰입할 수 있도록 흥미진진한 서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