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1-16 16:32:42

송수연 개인전 ‘OVERSTRIDER’, 23일까지 서학동사진미술관


... 이병재 (2025-11-12 13:37:33)

IMG
청년 시각예술가 송수연 작가가 11일부터 23일까지 2주간 전주 서학동사진미술관에서 개인전 ‘OVERSTRIDER’를 개최한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꾸준히 탐구하고자 하는 소재 ‘아스팔트’ 와 ‘바닥’ 이라는 대상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해,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내면의 작용을 다루는 작업에서 자신의 태도를 새롭게 구성해보고자 하는 시도들을 담고 있다. ‘단단하게 굳은’ 아스팔트를 깨어 내고, 그 틈 속에서 울리는 ‘파동’ 들을 통해 ‘스스로 서기’ 위한 의지들을 시각화한 전시이다.

그의 작업들은 언제나 ‘바닥’에서 시작해왔다. 자신을 ‘은둔형 외톨이’ 였었다고 칭하며, 방 안의 노란 장판 바닥만 바라보고 있던 시절의 이야기부터, 길 위의 깨진 아스팔트를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서진 자신의 마음에 빗대며, 물웅덩이 위의 ‘바닥’ 이 아닌 이상적인, 이상향의 풍경들을 그려내던 작업들까지. ‘바닥’ 이란 작가의 작업에서 중요한 정서적 배경이 되었었다.

바닥을 다루고, 바닥에 집중하는 작가는 어느날 깨진 아스팔트에 빗물이 고여있는 물웅덩이를 보며, “고개를 숙이고 다녀도, 그 웅덩이 속에서 하늘을 볼 수 있음을 깨달았다” 고 말하며, 자신의 배경인 바닥을 추락의 종점이 아닌 어떠한 가능성의 표면으로 대했었다.

‘OVERSTRIDER’에서는 가장 단단하게 자리하던 작가의 ‘바닥’ 인 ‘아스팔트’를 더 이상 가로막고, 두터워진 사회의 벽으로 대하지 않고 초월 가능성의 대상으로 대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신의 소재인 ‘아스팔트’를 깨트리고, 그 균열 너머에서 전해지는 울림, ‘파동’ 들을 시각화한다.

이제 작가의 아스팔트는 침전되고, 축적되는 바닥이 아닌 돌파하고 변화해야 하는 자신을 의미하며, 상처를 은유하는 자기이입에서 파동을 매개하며 스스로를 재구성하기 위한 매체로 변화한다.

이러한 ‘파동’ 으로서의 관계는 단순히 감정의 표출이 아닌 현실 착륙의 과정이다. 물웅덩이 너머의 이상향을 멀리서만 바라보지 않고, 지난 작업에서도 작게 한번씩 내비춰졌었던 갈라짐 안을 향하는 작은 움직임들, 이상이 아닌 현실로서 마주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가 말하는 ‘초월’은 도약이나 강력한 선언이 아닌, 깨짐과 흔들림으로 이루어지는 미약하더라도 꾸준하고자 하는 자기 구성의 과정이다. 타인이 아닌 자기 스스로에게도 단단히 굳어진 마음과 이미지들을 부수고 흔들어내면서 ‘퇴적된 상(像)’을 흐트려놓지만, 다시 스스로 새롭게 구성하는 자아의 ‘상(狀)’을 쌓아 올린다.

단순한 주제적 선언 만이 아닌 작업 방식, 기법적 측면에서도 회화 중심의 작업에서 벗어나, 사진·시트지·조형 작업의 시도 등 다양한 재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능숙하지 않을 수 있겠으나 평면적 이미지를 넘어 자신을 구성하는 감정의 층위를 공간 단위로 배치하고자 시도한다.

Solo exhibition by Song Soo-yeon 'OVERSTRIDER' at Seohak-dong Photo Art Museum until the 23rd

Young visual artist Sooyeon Song will hold a solo exhibition titled 'OVERSTRIDER' at Jeonju Seohakdong Photo Art Museum from the 11th to the 23rd for a period of two weeks. The exhibition can be viewed for free from 10:30 am to 6 pm, with the museum closed on Monday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artist's ongoing exploration of the subjects of 'asphalt' and 'ground', aiming to reconfigure her attitude through works that deal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her surroundings and inner self. The exhibition visualizes the artist's determination to 'stand on her own' by breaking through the 'hardened' asphalt and visualizing the will to stand up for oneself through the 'waves' resonating in the gaps.

Song's works have always started from the 'ground'. From the time when she considered herself a 'reclusive outsider', only looking at the yellow floorboards in her room, to her works depicting the broken asphalt on the road reflecting her shattered heart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idealistic landscapes beyond the 'ground' of puddles. The 'ground' has been an important emotional background in the artist's works.

Focusing on the ground, the artist one day, while looking at a puddle of rainwater on a broken asphalt, realized that "even if you bow your head, you can see the sky in that puddle." She approached her background, the ground, not as the end of a fall but as a surface of possibilities.

In 'OVERSTRIDER', the artist confronts the 'asphalt', which was firmly established as her 'ground', not as a barrier but as a subject of transcendence.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breaks through her material, 'asphalt', and visualizes the resonance and 'waves' that come through the cracks.

Now, the artist's asphalt symbolizes not sedimented and accumulated ground but herself, who needs to break through and transform, serving as a medium for self-reconstruction through conveying waves in self-identification with scars.

This relationship as 'waves' is not just an expression of emotions but a process of landing in reality. It signifies facing reality, not just looking at idealistic landscapes beyond the puddles, but small movements towards the cracks that were hinted at in past works, moving towards the rifts, not the ideals.

In this context, the artist's notion of 'transcendence' is not a leap or a strong declaration but a process of fragile yet steady self-formation through fractures and tremors. By breaking and shaking off firmly established hearts and images, even to oneself, and scattering the 'deposited form', the artist builds up a new 'state' of self.

Beyond mere thematic declarations, the artist actively uses various materials such as photography, paper, and sculpture, moving away from painting-centered works in terms of work methods and techniques. Although it may not be proficient, she attempts to arrange the emotional layers that constitute herself into spatial units beyond flat image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Young visual artist Sooyeon Song will have a solo exhibition titled 'OVERSTRIDER' at Jeonju Seohakdong Photo Art Museum from the 11th to the 23rd. The exhibition focuses on her exploration of 'asphalt' and 'ground', aiming to visualize her determination to stand on her own through her work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젊은 시각 예술가 송수연은 11일부터 23일까지 전주 서학동 사진미술관에서 '오버스트라이더'라는 제목의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아스팔트'와 '땅'에 대한 탐구를 중점으로, 작품을 통해 자신이 스스로 서있겠다는 결의를 시각화하려 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Sooyeon Song's upcoming solo exhibition?
송수연의 다가오는 개인전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What is the artist's main focus in her exhibition 'OVERSTRIDER'?
작가가 '오버스트라이더' 전시에서 주로 집중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3. How does Song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herself and the 'ground' in her artworks?
송수연은 자신과 '땅' 사이의 관계를 자신의 작품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exhibition, 전시회, noun
- A public display of works of art or items of interest.
- 작품이나 흥미로운 항목들을 공개적으로 전시하는 행사.
- The art exhibition at the museum featured paintings from various artists.
- 박물관에서 열린 미술 전시회에는 다양한 작가의 그림이 전시되었습니다.
2. reconfigure, 재구성하다, verb
- To change the arrangement or formation of something.
- 무언가의 배열이나 형태를 변경하는 것.
- The interior designer reconfigured the furniture layout in the living room.
-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거실의 가구 배치를 재구성했습니다.
3. resonate, 공명하다, verb
- To produce or be filled with a deep, full, reverberating sound.
- 깊고 풍부하며 울리는 소리를 내거나 가득 채우는 것.
- The singer's voice resonated throughout the concert hall.
- 가수의 목소리가 콘서트홀 전체에 공명했습니다.
4. transcendence, 초월, noun
- The act of going beyond ordinary limits or boundaries.
- 평범한 한계나 경계를 넘어서는 행위.
- The artist's work aims to achieve a sense of transcendence beyond reality.
- 작가의 작품은 현실을 넘어 초월감을 느끼게 하려고 합니다.
5. reconstruction, 재건, noun
- The action or process of reconstructing or being reconstructed.
- 재건하거나 재건되는 행위나 과정.
- The city underwent a period of reconstruction after the devastating earthquake.
- 그 도시는 대형 지진 이후 재앙을 겪은 후 재건기를 겪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