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국악원(원장 김중현)은 오는 29일 오후 3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연희부 정기공연 〈유랑의 꽃〉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우리 연희의 근간인 흥(興)과 신명(神明)을 전통의 결 위에 현대적 무대미학을 더해 새롭게 펼쳐내는 무대다.
〈유랑의 꽃〉은 호남여성농악의 예술적 완성도를 구현한 작품으로, 유순자 명인을 비롯한 호남여성농악보존회의 예술 정신을 잇고, 연희부 단원들의 기량을 더해 전통의 맥을 오늘의 무대 언어로 풀어냈다.
이번 무대는 입장굿을 시작으로 ▲첫째마당 ‘오채칠굿’ ▲둘째마당 ‘오방진굿’ ▲셋째마당 ‘두마치굿’ ▲넷째마당 ‘호허굿’까지 이어지며, 리듬의 빠르기·세기·밀도를 점층적으로 변화시켜 신명의 절정을 이끌어낸다. 그 속에서 단원들의 완벽한 호흡과 숙련된 기량이 빚어내는 ‘한국적 에너지의 미학’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공연의 제목이자 주제인 〈유랑의 꽃〉은 삶의 여정 속에서 피어나는 예술혼(藝術魂)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연희는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마을과 세상을 유랑하며, 사람과 사람, 마을과 마을을 잇는 공동체 예술의 매개체로 존재해왔다. 이번 공연은 그러한 유랑의 정신을 현대 무대예술로 재구성해, ‘유랑’의 순환적 생명력과 그 속에서 피어나는 ‘꽃’의 아름다움을 예술적 언어로 풀어낸다.
국립민속국악원 관계자는 “〈유랑의 꽃〉은 한국 연희예술의 근간을 이루는 농악의 구조와 정신을 바탕으로, 사물놀이를 비롯한 타악 연희의 본질적 힘을 새롭게 조명하는 무대”라며, “연희부 단원들이 흘린 땀과 호흡,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난 예술적 신명이 관객에게 전통의 생명력과 공동체의 감동을 깊이 전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공연은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관람 예약은 국립민속국악원 누리집(namwon.gugak.go.kr), 전화(063-620-2329), 또는 카카오톡 채널(‘국립민속국악원’ 친구추가 후 상담원 연결)을 통해 가능하다.
National Gugak Center to hold regular performance "Flowers of Wanderlust"
The National Gugak Center (Director Kim Jung-hyun) will present the regular performance of the Yeonhui Division titled "Flowers of Wandering"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Yeowondang on the 29th at 3 p.m. This performance adds a modern stage aesthetics to the traditional foundation of joy (興) and divine spirit (神明) of our Yeonhui.
"Flowers of Wandering" is a piece that embodies the artistic completeness of Honam women's farming music, following the artistic spirit of the Honam Women's Farming Music Preservation Society, and enhancing the skills of the Yeonhui Division members to express the essence of tradition in today's stage language.
This stage performance starts with the entrance ritual, followed by the first part "Ochaechil Gut," the second part "Obangjin Gut," the third part "Dumachi Gut," and the fourth part "Hoho Gut," gradually changing the speed, century, and density of the rhythm to lead to the climax of the divine spirit. Within this, the perfect harmony and skilled abilities of the members create a full display of the "aesthetics of Korean energy."
The title and theme of the performance, "Flowers of Wandering," symbolize the artistic soul that blooms in the journey of life. Traditionally, Yeonhui has existed as a medium of community art that connects people, villages, and the world, wandering without staying in one place. This performance reinterprets the spirit of wandering in modern stage art, expressing the cyclical vitality of "wandering" and the beauty of the "flowers" that bloom within it through artistic language.
An official from the National Gugak Center stated, "Flowers of Wandering" is a stage that sheds new light on the essence of percussion Yeonhui, including object play, based on the structure and spirit of farming music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Korean Yeonhui art," adding, "The sweat and breath of the Yeonhui Division members, and the artistic divine spirit that emerges from it, will deeply convey the vitality of tradition and the emotional impact of the community to the audience."
The performance will be free of charge, and reservations for viewing can be made through the National Gugak Center's website (namwon.gugak.go.kr), phone (063-620-2329), or KakaoTalk channel (add 'National Gugak Center' as a friend and connect to a consultant).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National Gugak Center will present a performance titled "Flowers of Wandering" at the Yeowondang venue. This performance combines modern aesthetics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elements to showcase the essence of Yeonhui.
🗣️ Natural Korean Translation:
국립국악원은 29일 오후 3시에 연희부의 정기공연인 '유랑의 꽃'을 국립국악원 여원당에서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 공연은 현대 무대미학을 전통적인 연희의 즐거움과 신명을 더해 보여줍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the performance that the National Gugak Center will present?
공연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How does the performance "Flowers of Wandering" combine traditional elements with modern aesthetics?
'유랑의 꽃' 공연은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미학을 어떻게 결합하나요?
3. How can viewers make reservations to watch the performance?
관람객들은 공연을 보기 위해 어떻게 예약할 수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foundation, 기초, noun
A basis or groundwork for something.
이것은 건축의 기초입니다.
2. essence, 본질, noun
The intrinsic nature or indispensable quality of something.
그것은 한국 문화의 본질을 나타냅니다.
3. vitality, 활력, noun
The state of being strong and active.
그는 젊음과 활력이 넘치는 사람입니다.
4. reinterprets, 재해석하다, verb
To explain or understand something in a new or different way.
그는 과거의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습니다.
5. convey, 전달하다, verb
To communicate or make known.
그는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