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1 11:10:43

전북교육정책연구소 연차보고회


... 문수현 (2017-02-17 15:11:55)

전북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는 16일 오후2~5시 전주생명과학고 시청각실과 강당에서 제5차 연차보고회를 가졌다.

김승환 교육감의 격려사와 차상철 전북연구정보원장의 인사말에 이어, 전을석 교육정책연구소장이 지난 2016년 연구과제를 소개했다.

오후3시부터는 14개 주제를 2개 세션으로 나눠 분과발표를 진행했으며, 세션별 내용은 아래와 같았다.

제1세션 : △학교자치에 대한 전북 교직원의 인식/교육문화회관 학생 지원 기능 강화 방안(담당 정재균) △전북공립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오정란) △학교현장 지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지원청 역할에 관한 인식(조무현) △전북 어울림학교 변화과정 및 운영효과 분석(이유경) △회복적 정의에 입각한 학교폭력 사안처리 개선 방안(이가영) △2016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서영민) △민주시민성 배양을 위한 영어교육 실천 사례(고영주)/학교의 문제해결형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 효과 연구(구양삼)

제2세션 : △공립중학교 교과교사 정원 배분·조정의 가능성과 한계(정재균) △전북혁신교육특구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오정란) △전라북도교육청 정책사업평가(조문현) △지방교육행정직공무원 인식도 조사를 통한 연수 개선 방안(이유경)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이가영) △성장평가제-이해와 실태, 안착방안(이영상)/초등성장평가제 현장 실태 분석(문선) △[동아리] 수업성숙도를 활용한 수업전문성 신장 방안(정민수)/전북 독서교육 정책 연구(이희경)

교육정책연구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182쪽짜리 연차보고서를 이날 발간·배포했다.

연구소는 한편 올해에는 전북 일반고 실태 분석 등 12개 과제에 대한 연구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연구과제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전라북도교육청 정책사업 평가 연구
△ 전북교육청 학교중심 정책사업 유사‧중복 문제의 실태와 해결방안 수립
△ 전북 일반고 실태 분석을 통한 중‧장기 육성 정책 연구
△ 학교와 연계된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방안
△ 전라북도교육특구 발전 방안 수립
△ 폐교재산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다문화 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 수립
△ 학교회계 예산 분석을 통한 학교예산 자율성 확보 방안
△ 학교 민주주의 수준 측정을 위한 연구
△ 전북 특성화 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
△ 유치원의 민주적 운영을 위한 방안 모색
△ 혁신학교 질적 성과 분석 및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발전 방안 수립


▲전북교육정책연구소 제5차 연차보고회가 월16일 전주생명과학고에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