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가 국립전북문화재연구소를 조속히 설립할 것을 촉구했다.
도의회는 25일 제345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강용구(사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국립전북문화재연구소 설립 촉구 건의안을 의결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백제와 가야 문화 등 다양한 고대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문적인 연구기반이 없어 타 지역 문화재연구소의 손을 빌어야 하는 상황이 되풀이되고 있다.
현재 문화재청은 국가차원에서 문화유산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도 단위 광역단체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1990년 신라문화유산 조사를 위해 경북에 경주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충남 부여문화재연구소, 경남 창원 가야문화재연구소, 전남 나주문화재연구소, 충북 충주 중원문화재연구소, 경기도 강화문화재연구소를 설립해 국가차원에서 지역문화 연구·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전북에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기반이 없어서 인근 충남 부여문화재연구소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 의원은 “이미 전라북도는 고대 마한의 역사·문화적 전통을 이어받은 백제문화가 꽃피웠음이 밝혀졌고, 지난 1982년 남원에서 가야계 고총이 발견된 이래 최근까지 443기의 고총·고분과 호남지방 최대 규모인 129개 제철유적, 65곳의 삼국시대 유일의 봉수유적, 37곳의 고대산성이 분포된 것이 확인되면서 호남 가야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면서 국립연구기관 설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어 “특히 가야문화권 조사·연구 및 정비 사업이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만큼 마한·백제·후백제·가야 문화유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고대문화를 조사하기 위한 국립전북문화재연구소를 조속히 설립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