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0 23:44:51

부실시공 한빛원전 안전한가


... 문수현 (2017-09-04 21:51:08)

전북도의회와 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이하 탈핵전북연대)가 공동으로 한빛원전의 안전을 점검하고 안전대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6일 오전10시 전북도의회 소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최근 한빛원전에서는 4호기의 격납건물 철판구멍과 콘크리트 부실시공에 이어 증기발생기에 11cm 크기의 망치 등 각종 이물질이 제작 당시부터 들어간 채 가동돼온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대해 탈핵전북연대는 “한수원은 건설과정 상의 부실이라고 해명하지만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균열일 수도 있으며, 부실이라 하면 20년 이상 진행된 안전관리 역시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며 “이런 한빛원전을 옆에 둔 인접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전북도민들도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토론회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토론회의 첫 발제자인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에너지 전환 시대, 한빛원전 단지의 과제’를 주제로 한빛원전의 안전성 문제를 점검한다.

이어 최재현 전북도청 사회재난과 산업안전팀장이 ‘안정적인 방사능방재예산 확보를 위한 지방세법(지역자원시설세) 추진계획’을 주제로 발제한다. 현재 전북도는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방사능방재 예산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한편 전북은 원전 소재지가 아니라는 이유로 한빛원전과 관련된 정보체계에서 소외돼 있는 실정이다. 세 번째 발표를 통해 탈핵전북연대는 부산이나 대전처럼 민관 원전안전위원회를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할 예정이다. ‘(가칭)전라북도 민관 원전안전위원회제안-부산·대전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윤종호 탈핵전북연대 정책위원장이 발제한다.

토론자로는 최훈열 전북도의원, 김재병 전북환경연합 생태디자인센터 소장, 정원익 JTV 전주방송 기자가 참여한다.

이날 토론회의 좌장은 국주영은 전북도의원이며, 사회는 이민아 탈핵전북연대 조직위원장(정의당전북도당 사무처장)이 맡는다. 신고리5,6호기백지화전북도민행동이 후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