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0 23:44:51

황호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거부로 전북학생 피해볼라”


... 문수현 (2018-01-29 15:02:39)

IMG
OECD교육관을 지낸 황호진 전북교육감 입후보 예정자는 최근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발표와 관련 “17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전북교육청만 유일하게 연구학교 신청을 거부해 연구학교 지정 및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고 지적하면서 “전북교육과 우리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서 자체 예산을 들여서라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학생이 수업을 선택하고 일정 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정부는 2022년에 고교학점제를 전면 도입한다.

연구학교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필요한 법‧제도 개선사항을 발굴하고 우수 운영모델을 확산 등 학점제 도입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운영되며, 학교당 매년 4000~5000만원씩을 총 3년간 지원한다.

교육부가 지난 24일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학교의 소재지 등을 균형있게 고려한 전국 54개 연구학교에 전북지역 학교가 한 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와 달리 선도학교는 1년간 1000만원 안팎의 예산을 지원받아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확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국 51개교 중 전북지역에 순창고 등 3개 학교가 지정됐다.

이에 대해 황 전 OECD교육관은 “그 동안 자유학기제나 교과중점학교(2018년 전국 394개교 중 5개교 참여)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던 전북교육청이 또다시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전면 거부하면서 전북교육이 ‘고립된 섬’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우려했따.

또 “고교학점제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교육정책으로 창의성과 도전정신,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 내기 위한 교육제도”라면서 “문재인 정부가 고교학점제를 시행을 위해 연구학교를 추진함에도 불구하고 김승환 교육감이 기득권에 안주해 변화를 거부하는 것은 전북교육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