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전교조 전북지부가 내놓은 ‘코딩 교육 강화, 교육의 본질도 해법도 아니다’라는 논평에 학교 현장교사들이 반발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AI가 프로그램 언어 구문 생성하는 시대. 암기 후 정답 찾기식 코딩 교육 불필요, 게임이나 영상제작도 필수과목화 해서 평가하면 사교육 창궐하고 흥미 잃을 것’라며 윤석열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그러나 이러한 논평을 접한 전교조 소속 교사들도 문제점이 있다며 지적했으며, 급기야 전교조 외 정보교사들도 논평에 반발하며 전교조 소속 정보교사들에게 전북지부에 항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전주 시내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전교조 조합원 소속의 A모 교사는 “왜 코딩교육을 암기 후 정답 찾기식으로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다양한 과목 개설로 진로 진학 관련 희망 교과를 받도록 학생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지역내 중학교에 근무하는 B모 교사는 “코딩교육이 학교에 조금씩 비집고 들어온게 아니고 전 세계적인 추세”라며 “코딩교육을 거부하기 전에 디지털 역량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바란다”라고 전교조 논평을 비판했다.
같은 지역 초등학교 C모 교사는 “사교육의 문제는 공교육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가 아니냐? 공교육에서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 사교육을 막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익산 지역 중학교 D모 교사는 “완전 우리 아이들 미래를 밟아 버리시는 생각을 가지고 있네요!! 유치원때 부터 앞으로 두칸 하면서 자라난 아이들이 그런 인공지능을 만들어 내는건데!!! 기초 없이 개념없이 수능 보고 인공지능 개발이 가능하다는 건지!! 왜 국 영 수 등등 주요 과목 열심히 가르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왜 뛰어난 인공지능 전문가가 없냐구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인공지능 관련 분야 대학교수는 전교조 전북지부의 논평을 조목조목 따지며 반박했다. 논평에서 ‘코딩 언어를 단순히 암기하도록 이끈다’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고 반박하며, “실제 암기라는 행동적 방식은 기본적인 지식구성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극단적인 표현으로 배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인공지능은 구문을 산출하는것이 아니라 기계가 학습을 통해 모델을 만들어서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대표적인 자연어 생성 모델인 GPT-3 예를 들어서 아예 프로그래밍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주장은 아전인수식 해석”이라고 반박했다.
전교조는 논평을 낸지 2시간도 지나지 않아 “정보교사들의 이견이 있었다”고 밝히며 “정보교과 선생님들의 가르침의 가치를 폄훼할 의도는 없었다. 불쾌하셨던 선생님들께 사과드립니다. 죄송합니다”라며 수정논평을 내놓았다.
그러나 수정된 논평을 접한 교사들은 “전교조 전북지부가 내용을 모두 철회하고 사과문을 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교조 전북지부 뿐만 아니라 전교조 전체 입장이 윤석열 정부의 코딩교육 의무화 정책에 전체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한 교사의 지적 처럼 코딩교육 의무화는 세계적 흐름이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수업 시수를 확대하려 했으나 좌절된 바 있다. 국영수 과목 사범대 교수들의 반발이 주요했다.
한편, 영국의 경우 2000년부터 ICT교육을 강화했으며, 2014년부터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만 5-16세 모든 학년 필수 과목 지정했다. 핀란드, 에스토니아, 프랑스 등 북유럽 국가들은 2015년부터 이를 따르고 있다. 중국은 2001년 SW교육 필수과목 지정했으며 초등학교 3학년부터 연간 70시간 이상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09년부터 유치원, 2011년부터는 초등학교, 2012년 중학교, 2013년부터는 고등학교 순으로 ‘신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필수 과목 지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