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9:57:27

25번째 개인전하는 이주리 작가, 갤러리 숨에서 4월 3일부터 15일까지


... 임창현 (2023-03-28 03:48:11)

IMG
갤러리 숨은 2023년 3월 개관 10주년을 기념하여 그동안 전시기획에서 가장 중심이 되어 주었던 <*PLATFORM>에 참여했던 47명의 작가 중 15명이 다시 함께 하는 자리를 마련해 이라는 기획아해 릴레이 개인전을 펼치며 그들의 새로운 작품을 선보인다.

갤러리 숨 개관 10주년 기념 초대전으로 3번째인 이주리 작가의 이번 전시회 주제는 afterimage 이다. 오는 4월 3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주시 완산구 우전로 225 삼성안과 1층에 마련된 전시회에서 진행된다..

이주리 작가에게 이번 전시회는 25회째 개인전이 된다.

이주리 작가의 전시되는 작품의 세계는 어느덧 50대에 접어들은 자신의 흐릿해진 시력과 함께 사물도 사람의 기억, 삶에 대한 생각마저도 모호해짐 표현하고 있다. 이런 모호함에는 어찌보면 같은데 같지 않을 수 있고, 다르지만 다르지 않을 수 있다는 식의 애매함의 경계선을 넘나들고 있다.

그렇다고 다 사라진 것도 다 남아있는 것도 아니라며, 다만 어렴풋 반짝이는 잔상들이 남아서 그것들은 감정의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색과 모습으로 한데 어우러져 뭉클트려진 또 다른 형상을 보이고, 경계 또한 흐트러짐을 표현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 과거와 미래, 현재의 삶과 죽음 사이에 서로에게 스며드는 관계성과 행복, 기쁨, 슬픔, 화남 등의 감정적 경계에 모호함, 생각의 충돌, 세상을 살아가며 자아를 찾기 위한 무수한 갈등 등의 혼재된 미묘한 차이에서 나는, 그들은... 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의문을 품으며 각기 모습의 잔상을 떠올려 본다."고 밝혔다.

작가 이 주 리

·1994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

·개인전 25회-2023 afterimage (숨갤러리, 전주)
2021 다르거나 다르지 않다 (사용자공유공간 Plan C, 전주)
2021 전북청년미술상 수상전 ‘그저 사람-살다’ (유휴열 미술관, 완주)
2020 'esquisse' 자유롭자던 (숨갤러리, 전주)
2019 Homo Viator-안착과 탈피에 대한 꿈 (가나인사아트센타, 서울)
2019 안착과 탈피에 대한 꿈 (디아트플랜트 요갤러리, 서울)
2018 안착과 탈피에 대한 꿈-살다 (우진문화공간, 전주)
2017 to live ( I-A-M, Berlin)
2016 to live (관두 미술관, Taipei)
2016 살다-to live ( Ruang Gerilya, 인도네시아)
2015 살다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2014 Be living-live (미루 갤러리, 전주)
2013 Be living-live (JNA Gallery, Santa Monica, USA)
2013 Be living-live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3 PLATFORM 개관기념 초대전 (갤러리 숨 ,전주)
2012 vergil america 초대전 (space WOMB, New York, USA)
2011 살다-지우다 (샤뽀 갤러리, 전주)
2010 살다 (우진문화공간 청년작가초대전, 전주)
2010 던져짐-살다 (인사갤러리 , 서울)
2009 grayish-살다 (공유 갤러리 초대 ,전주)
2008 살다 (전북예술회관, 전주)
2007 초대 (東내미술관 , 전주)
2006 침묵 (전북예술회관 , 전주)
2002 크로키 초대전 (얼화랑 , 전주)
1998 이주리 전 (전북예술회관, 전주)

·퍼포먼스- 2020 세계소리축제 19x19첼린지 ‘벽‘ (전주역)
세계소리축제 19x19첼린지 ‘살다‘ (전주역)
·아트페어- 2021 코리아아트페어 (한국) 코엑스,
인천아시아아트쇼2021 (한국) 송도컨벤시아
2018 상해 청년아트페어 (중국)
2017 칸느 아트페어 (프랑스)
2015, 2016 상해 아트페어 (중국)
2013 hong kong contemporary13 (홍콩)
·기획 및 초대-
2022 바로크적 드로잉 (무안군오승우미술관)
기증_그 아름다움 (최북미술관)
전북의 불꽃 (청목미술관)
art DMZ (팔마예술공간_예깊미술관)
Art Moak_작은 그림전 (유휴열 미술관)
22인의 환희의 메시지_개관기념 초대전 (벨라한 갤러리)
찰나_찬란한 (우진문화공간)
공감2022 (아트레온 갤러리)
향연 (서학동사진관)

2021 息影식영 (보성군립 백민미술관)
TOUCH 우리는 하얀 겨울의 바람숲에 서 있다 (기린미술관)
도시갤러리,전주 (동문길60)
우리가게예술수장고(소설)
말하고싶다 (담빛예술창고, 목포 나무숲)
화기애애‘오롯이 나’ (우진문화공간)
2020 이주리‘장우석 2인전 (최북미술관)
IMMANENCE (아트레온갤러리)
공감2020 (아트레온갤러리)
2020art 비무장지대 (기지아트스페이스)
우진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과거와 현재의 동거-화기애애 (우진문화 공간)
2019 Blue Wave:Reflection 그루브 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그루브갤러리)
우진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팔우전 (팔복예술공장)
전주이야기전 (모모미술관)
화기애애전 (모모미술관)
쥐와 고양이와 방울 (우진분화공간)
2018 우진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전주이야기 (교동아트센타)
전북위상작가전 (교동아트센타)
2017 2인전-2017년8월30일 (Kunstverein L102.art 갤러리)
호남의 현역작가전 (전북도립미술관)
우진청년작가회 닭띠전(우진문화공간)
감각의 언어“몸”전 (오승우 미술관)
영화제의 사람들 (마로 갤러리)
캄보디아, 아시아 “쌀“전 (캄보디아, 한국)
2016 where are you? 김성남&이주리 2인전 (상해 윤아르테)
전북 모더니티 역사전 (전북도립미술관)
전북문화관광재단 출범기획전-젊은 상상, 미래 전북(전북예술회관)
2016 ASIA and RICE (삼례문화예술촌)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판소리다섯바탕 19금 춘화전 (YB엔터테이먼트 갤러리)
한,일 교류전 (전북예술회관)
우진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사람에게말을걸다 (최북미술관)
전북위상작가전(교동아트센터)
화기애애(우진문화공간)
전주이야기전(교동아트센터)
인물작가회전(익산 예술의 전당)
전북도립미술관신소장전 (전북도청사갤러리)
2015 하정웅 청년작가“빛” (광주시립미술관)
전주MBC 50주년 기념 상해 초대전 (상해 한국문화원, 중국)
이채교융 ( 장가항 미술관 초대, 중국)
아시아현대미술전2015 (전북도립미술관)
전북미술특별전 (전북예술회과)
전북청년2015 (전북도립미술관)
PLATFROM 서울, 전주 (인사아트센터, 숨갤러리)
꽃미전;11 ‘사람사이‘ (서신갤러리)
3인의 영호남전 (대구 artG&G갤러리)
백제 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기념전(익산예술의전당)
2014 JNA 기회전 (JNA 갤러리, Santa Monica USA)
인간전 (교동아트센타)
우진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2013 전북 청년작가전 (우진문화공간)
전주 이야기전(교동아트스튜디오)
한,일 현대작가전 (gallery Shimizu, 요코하마, 일본)
전북 미술의 민낯과 속살‘전(동이 미술관)
휘목“전북작가 나눔전 (휘목 미술관)
2012 화기애애전“화가의 보따리” (우진문화공간)
woman+body 한미여성작가 연합전 (한전아트센터, 광주문화재단)
사이-속전(교동아트스튜디오)
한,일 현대미술 흐름전‘보름올레 물올레’(제주 국제예술센터)
자화상전(서신갤러리 기획초대)
visa전(전북예술회관)
전북위상작가전(교동아트센터)역대 수상작가 초대전
2011 최북 다시보기전 (최북미술관)
모빌리티전(교동아트스튜디오)
아시아 그리고 쌀 전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2010 예술과 돈 (대안공간 콩)
비사전 (전북예술회관)
심상과 process전 (전북도립미술관)
2009 청년작가위상전(전북예술회관)
영호남 교류전 (전북도청사 갤러리)
소풍전 (공유 갤러리)
회화의 힘전-art projeck group 상어 기획(전북예술회관)
전북미술의 비전과 가능성전(라메르 갤러리)
춘화애화전(교동아트센타)
영호남 청년작가 초대전(안동)
자화상전(서신갤러리)
2008 전북의 얼과 인물 특별전 (전주 역사박물관)
전라평면회화의 조명전(광주롯데갤러리)
디지로그시대의 오감찾기전(한전아트프라자)
The Present 전 (갤러리 공유)
2007이전 미술은 이다(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쌀”전(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국청년정예작가초대전 (광주 메트로갤러리)
한국평면회화의 단면전 (전북예술회관)
2006신소장 작품전 (전북도립미술관)
사람에게 길을 묻다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인물탐구전 (서신갤러리)
미술로보는 판소리 다섯 바탕전(경기전)
전북미술의 조명전 (전북도립미술관)
수원미술관선정 여성13인전-지팡이와 방망이 (수원미술관)
두께를 위한 연습전 (서신갤러리)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대구예술회관)
대한민국 청년미술축전 (서울시립미술관)
청년작가 위상전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국 누드크로키전 (안산단원미술관)
한,중,일 누드전 (민촌아트센터)
한,중 우호전 (전북예술회관)
온고을 청년미술제 (서울미술관)
전북미술인전 (공평아트센터)
전북현대미술제 (전북예술회관)

수상 및 지원-2021 전북청년미술상 (유휴열 미술관)
2015 하정웅 청년작가상 (광주시립미술관 주최)
2015 전북청년2015 선정작가 (전북도립미술관)
2017, 2013 해외 전시지원 선정작가
2010 수도권 전시지원 선정작가
2010 우진문화재단 청년작가
2010 전북위상작가상
2007 수원미술관선정 여성작가

·레지던시 - 상해 (윤아르테), 인도네시아 (Ruang Gerilya), 대만 ( 國立臺北藝術大學 | 關渡美術館 )
베를린 (Institut für Alles Mögliche)
·소장처-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전북도립미술관, 전북도청, 전주지방검찰청
상해 윤아르테, 예치과, 서신갤러리, 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