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0:31:39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선정작 발표


... 이병재 (2025-03-20 11:17:13)

IMG
<숨비소리>

- 한국경쟁 극영화 9편, 다큐멘터리 1편 총 10편 선정

-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3인, “역대급으로 어려웠던 심사”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된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공모에 165편의 영화가 접수되며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번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주국제영화제는 심사위원들의 심도 있는 심사를 거쳐 극영화 9편과 다큐멘터리 1편, 총 10편을 최종 선정했다.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은 장르의 구분 없이 감독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 연출작을 소개하는 섹션으로, 한국영화를 이끌어갈 신인 감독들의 등용문으로 매년 주목받고 있다. 제22회 한국경쟁 대상 〈성적표의 김민영〉, 제23회 한국경쟁 대상 〈정순〉, 제25회 한국경쟁 대상 〈힘을 낼 시간〉 등 그간 한국경쟁을 거친 다양한 작품들은 해외 영화제에 초청되거나 국제적으로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그 빛나는 작품성을 입증받아왔다.

올해 한국경쟁 심사에는 전주국제영화제의 문석, 문성경, 전진수 프로그래머 3인이 참여했다. 심사위원들은 “이번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심사는 역대급”이었다며 “출품작의 숫자도 증가했지만, 영화의 질적 수준이 전반적으로 올라 10편을 선정하는데 매우 어려웠다”고 극찬했다.

이어 올해 한국경쟁의 가장 두드러지는 키워드로 ‘LGBTQ’와 ‘여성 연대극을 내포한 유사가족’을 꼽았다. 심사위원들은 “LGBTQ 관련 영화는 한국단편경쟁에서도 강세를 보였다”며 “과연 한국 사회의 내밀한 변화가 자연스레 영화에 반영된 것인지, 영화인들의 희망이 투영된 것인지, 아니면 LGBTQ라는 소재를 영화제가 선호할 것으로 생각한 감독들의 의도 탓인지는 두고 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박준호 감독의 〈3670〉은 일명 한국 사회의 ‘초아웃사이더’라고 할 수 있는 탈북 게이 청년 철준이 탈북자 커뮤니티와 동성애 커뮤니티 사이에서 느끼는 괴리감과 함께 그의 사랑을 다루는 멜로영화다. 주인공인 여고생 여름이 학교 친구에게 느끼는 설렘과 아빠의 비밀스러운 과거를 엮은 성장 이야기인 성스러운 감독의 〈여름의 카메라〉는 상큼하고 희망찬 분위기가 특징이다.

영화제의 단골 메뉴인 유사가족 이야기는 올해 여성 연대극과 결합했다. 심사위원들은 “미투 사건 이후 전주를 비롯한 여러 영화제와 주류 영화계에서도 선보였던 여성 영화가 이런 방향으로 발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방미리 감독의 〈생명의 은인〉은 보육원 퇴소를 앞두고 미래에 대한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세정이 어릴 적 자신의 생명의 은인이라고 주장하는 중년 여성 은숙을 만나 사기당한 전세 보증금을 받기 위해 동행하는 여정을 그린다. 이은정 감독의 〈숨비소리〉에서는 한 가족 3대의 여성들이 연대하며 삶을 꾸려간다. 윤심경 감독의 〈캐리어를 끄는 소녀〉는 양부모에게 버려진 15세 소녀 영선이 부잣집 딸 수아의 테니스 코치를 하며 그의 엄마 지영과도 가까워지는 이야기다.

정기혁 감독의 〈97 혜자, 표류기〉와 김준석 감독의 〈그래도, 사랑해.〉는 배우들의 힘과 훌륭한 앙상블을 보여주는 영화다. 〈97 혜자, 표류기〉는 서울의 보험사 콜센터에서 일하는 ‘부산 상여자’ 혜자의 로드무비다. 〈그래도, 사랑해.〉는 주인공 연극 부부를 통해 예술과 삶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조현서 감독의 〈겨울의 빛〉은 가족의 형편과 미래에 대한 의문을 안고 학교 밖으로 나가려 하는 고등학생 소년 다빈의 이야기를 그린다. 김태윤 감독의 〈아방〉은 고향인 제주도를 떠나 서울로 이주하려는 청년 윤이 자신이 몰랐던 아버지를 알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한편,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에 진출한 다큐멘터리는 단 한 편뿐이다. 심사위원들은 “소재나 만듦새가 나쁘지 않은 다큐멘터리가 많았지만 다소 상투적인 내러티브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았고 소재를 잘 부각시키지 못하는 작품도 있었다”며 “출품작 중 이은희 감독의 다큐멘터리 〈무색무취〉는 소재나 만듦새가 모두 완성도 높은 영화”라고 밝혔다.

〈무색무취〉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조명한다. 공장에서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노출돼 온 재해 피해 노동자들의 업무 기록과 아카이브 자료를 바탕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근본적인 문제를 짚는다.

심사위원들은 “주류 영화산업의 침체가 독립영화계에 악영항을 미치고 있는 데다가 각종 지원마저 줄어들고 있는 녹록지 않은 실정에 질적으로 훌륭한 작품들이 다수 출품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라며 영화를 보내온 모든 창작자에게 감사를 표했다. 또한 “정부가 지원금을 축소하는 등 닥쳐온 재정난에 여러 영화제가 표류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전주국제영화제의 책임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전주국제영화제를 기점으로 한국영화가 불꽃을 태우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쟁에 선정된 보석 같은 작품들은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는 2025년 4월 30일(수)부터 5월 9일(금)까지 전주 영화의거리를 비롯한 전주시 일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Announcement of Selected Films for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n Competition



- 9 Korean competitive feature films and 1 documentary selected, totaling 10 films

- 3 programmers of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udging was historically difficult"

From November last year to January this year,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eceived 165 films for the Korean competition, setting a record high once again following last year. Through thorough evaluation by the judges, the festival selected a total of 10 films, including 9 feature films and 1 documentary.

The Korean competition a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a section that introduces the first or second feature films of directors without genre distinctions, attracting attention every year as a gateway for emerging directors leading Korean cinema. Various works that have gone through the Korean competition in the past, such as the winner of the 22nd Korean competition, "Kim Min-young's Report Card," the winner of the 23rd Korean competition, "Jeongsoon," and the winner of the 25th Korean competition, "Time to Hunt," have proven their outstanding artistic quality by being invited to overseas film festivals or receiving international trophies.

This year, the judges for the Korean competition a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ere Moon Seok, Moon Sung-kyung, and Jeon Jin-soo, the programmers of the festival. The judges praised, "The judging for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n competition was of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dded, "Although the number of entries increased, it was very challenging to select 10 films due to the overall increase in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films."

The most prominent keywords for this year's Korean competition were identified as 'LGBTQ' and 'pseudo-family with solidarity among women.' The judges noted, "Films related to LGBTQ were also strong in the Korean short film competition," and added, "It is worth considering whether the subtle changes in Korean society have naturally been reflected in films, or if it is the directors' intention or the preference of the film festival for LGBTQ themes."

Director Park Jun-ho's "3670" is a melodrama that depicts the love of Cheol-jun, a gay North Korean youth who can be called an 'outsider' in Korean society, as he feels alienation between the North Korean defectors' community and the LGBTQ community. The heartwarming director's "Summer Camera" intertwines the excitement of high school student Yeoreum towards her school friend and her father's secretive past, creating a story of growth.

The recurring theme of pseudo-family stories at the festival was combined with women's solidarity drama this year. The judges explained, "It seems that women's films showcased at various film festivals, including Jeonju, have evolved in this direction after the Me Too movement."

Director Bang Mi-ri's "Angel of Life" portrays Se-jung, who meets Eun-sook, a middle-aged woman who claims to be her guardian angel from her childhood, as she lives in anxiety about the future before leaving the orphanage, embarking on a journey to receive a deposit for a lease. In Director Lee Eun-jung's "Sound of Breathing," three generations of women in one family live together in solidarity. Director Yoon Shim-kyung's "Girl Pulling a Carrier" tells the story of 15-year-old Yeong-seon, abandoned by her adoptive parents, who becomes a tennis coach for the wealthy daughter Sua and grows closer to her mother Ji-young.

"97 Hye-ja, Drifter" by Director Jung Ki-hyuk and "Still, I Love You" by Director Kim Jun-seok are films that showcase the strength and excellent ensemble of the actors. "97 Hye-ja, Drifter" is a road movie about Hye-ja, a 'Busan woman' working at a call center for an insurance company in Seoul. "Still, I Love You" portrays the story of art and life through the protagonist theater couple.

Director Jo Hyun-seo's "Winter Light" depicts the story of high school student Dabin, who carries doubts about his family's situation and future, as he tries to leave school. Director Kim Tae-yoon's "Abang" follows Yoon, a young man leaving his hometown of Jeju Island to move to Seoul, as he learns about his father whom he never knew.

Meanwhile, only one documentary made it to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n competition. The judges stated, "There were many documentaries with good subjects and craftsmanship, but many of them unfolded with somewhat conventional narratives, and some works failed to highlight their subjects well." They highlighted, "Among the entries, Director Lee Eun-hee's documentary 'Colorless, Odorless' is a film with both high subject and craftsmanship."

"Colorless, Odorless" sheds light on workers in semiconductor and display factories. Based on the work records and archive materials of workers exposed to fatal diseases like cancer in the factories, the documentary delves into the fundamental issues of frequent industrial accidents.

The judges expressed their gratitude to all the creators who submitted films, stating, "It is very encouraging that many high-quality works were submitted in a situation where the stagnation of the mainstream film industry is affecting the independent film industry, and various support is decreasing." They also added, "In the midst of the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the government's reduction in support, the responsibility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growing," and concluded, "We hope that Korean cinema will ignite a spark starting from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selected gems of the Korean competition can be seen at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festival is scheduled to be held from April 30 (Wednesday) to May 9 (Friday), 2025, in Jeonju, including the Jeonju Cinema Street.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elected 10 films for the Korean competition, including 9 feature films and 1 documentary. The judges faced historical difficulties in choosing the films due to the high quality of submissions. The selected films cover a range of themes, including LGBTQ issues and stories of solidarity among women.

🗣️ Korean Translation:
제 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한국 경쟁 부문을 위해 9편의 장편 영화와 1편의 다큐멘터리를 선정했습니다. 심사위원들은 높은 품질의 출품작으로 인해 역사적인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선택된 영화들은 LGBTQ 문제와 여성들 간의 연대 이야기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How many films were selected for the Korean competition at the 26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한국 경쟁 부문에서 제 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 몇 편의 영화가 선정되었나요?
2. What themes were identified as prominent keywords for this year's Korean competition?
올해의 한국 경쟁 부문에서 주요 키워드로 지정된 주제는 무엇이었나요?
3. Why did the judges find it challenging to select films for the Korean competition this year?
올해 한국 경쟁 부문의 영화를 선택하기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ensemble, 앙상블, noun
Definition: a group of items viewed as a whole rather than individually
한국어로는 개별적으로가 아닌 전체적으로 본 아이템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Example sentence: The movie showcased the excellent ensemble of talented actors.
영화는 재능 있는 배우들의 훌륭한 앙상블을 보여주었습니다.
2. solidarity, 연대, noun
Definition: unity or agreement of feeling or action, especially among individuals with a common interest
한국어로는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진 개인들 사이의 연대를 의미합니다.
Example sentence: The community showed great solidarity in supporting each other during the crisis.
그 커뮤니티는 위기 상황에서 서로 지원하는 데 큰 연대를 보여주었습니다.
3. prominent, 두드러진, adjective
Definition: important, famous, or noticeable
한국어로는 중요하거나 유명하거나 눈에 띄는 것을 의미합니다.
Example sentence: The prominent artist's work wa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gallery.
두드러진 예술가의 작품이 갤러리 중앙에 전시되었습니다.
4. craftsmanship, 숙련, noun
Definition: skill in a particular craft or occupation
한국어로는 특정 공예나 직업에서의 기술을 의미합니다.
Example sentence: The furniture was beautifully made, showcasing the craftsman's exceptional craftsmanship.
가구는 아름답게 만들어졌고, 숙련된 장인의 탁월한 숙련을 보여주었습니다.
5. subtle, 섬세한, adjective
Definition: delicate or precise as to be difficult to analyze or describe
한국어로는 분석하거나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섬세하거나 정확한 것을 의미합니다.
Example sentence: The artist used subtle shades of color to create a sense of depth in the painting.
작가는 회화에서 깊이감을 만들기 위해 섬세한 색조를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