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정수 의원(익산2)은 22일 익산 유스호스텔에서 ‘전북특별자치도 환경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토론회는 환경단체, 행정 관계자 등이 참여해 전북의 환경교육 현안을 공유하고, 타 지자체의 환경교육도시 운영 사례를 통해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환경교육도시는 2022년 환경부가 도입한 제도로, 현재까지 충북·충남 등 19개 지자체가 지정돼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교육을 추진 중이다.
이날 김인호 전 국가환경교육센터장이 기조발표를 맡아 환경교육도시의 지정 과정과 기대 효과를 설명했으며, 이후 전북의 추진 계획과 필요성 등에 대한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김정수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전북의 환경교육도시 지정에 한 걸음 더 다가서길 바란다”며 “탄소중립을 위한 지역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Discussion on Establishing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in Jeonbuk... Forum Held in Iksan
On the 22nd, Assemblyman Kim Jung-soo of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ksan 2) held a symposium at the Iksan Youth Hostel to explore ways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in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ymposium, attended by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others, provided a platform for sharing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issues in Jeonbuk, discussing future collaboration directions through exampl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ities in other region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is a system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22, with 19 local governments, including Chungbuk and Chungnam, currently designated to promote education for regional-led carbon neutrality.
On this day, former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Director Kim In-ho delivered a keynote speech explaining the designation process and expected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Subsequent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ocused on Jeonbuk's implementation plans, necessity, and other related topics.
Assemblyman Kim Jung-soo expressed hope that through this symposium, progress could be made towards designating Jeonbuk as an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stating that it served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arbon neutrality.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Assemblyman Kim Jung-soo held a symposium to discuss environmental education in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The event included discussions on current issues, collaboration opportunities, and the potential benefits of this initiative.
🗣️ Korean Translation:
김정수 의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2) 의원으로, 익산 청소년 호스텔에서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및 환경교육도시 설립에 대해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는 현재 환경교육 문제, 협력 방향 등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플랫폼을 제공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purpose of the symposium held by Assemblyman Kim Jung-soo?
그 심포지엄을 개최한 김정수 의원의 목적은 무엇이었습니까?
2. Who attended the symposium to discuss environmental education in Jeonbuk?
누가 전북의 환경교육을 논의하기 위해 그 심포지엄에 참석했습니까?
3. What is the significance of designating Jeonbuk as an environmental education city for carbon neutrality?
탄소 중립을 위해 전북을 환경교육도시로 지정하는 것의 의의는 무엇입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symposium / 심포지엄 / noun
- a conference or meeting for discussion of a particular subject
- 특정 주제에 대한 토론을 위한 회의나 모임
- The symposium brought together experts from various fields to discuss climate change.
- 심포지엄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아 기후 변화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 collaboration / 협력 / noun
- the action of working with someone to produce something
- 누군가와 함께 작업하여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행동
-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companies resulted in a successful product launch.
- 두 회사 간의 협력은 성공적인 제품 출시로 이어졌습니다.
3. designation / 지정 / noun
- the action of choosing someone or something for a particular role or purpose
- 특정 역할이나 목적을 위해 누군가나 무언가를 선택하는 행동
- The park received a designation as a protected wildlife sanctuary.
- 그 공원은 보호받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4. implementation / 실행 / noun
- the process of putting a decision or plan into effect
- 결정이나 계획을 실행하는 과정
-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ew policies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community.
- 새로운 정책의 성공적인 실행으로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5. necessity / 필요성 / noun
- the fact of being required or indispensable
- 필요하거나 반드시 필요한 사실
- Clean water is a necessity for human survival.
- 깨끗한 물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