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0:31:39

서거석 교육감 사건 관련 탄원서 5차례 제출… 판결에 영향 없다는 사실은 본인도 알고 있을 것


... 임창현 (2025-04-24 00:29:44)

IMG
서거석 전북교육감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대법원 최종 판결을 앞두고, 4월에만 5차례의 탄원서가 대법원에 제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법원 접수 기록에 따르면, 이 탄원서들은 4월 3일, 10일, 18일, 22일, 23일에 접수되었다.

특히 4월 23일 서거석 교육감의 변호인 측에서 제출한 탄원서는 명백히 교육감에 대한 선처를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각 탄원서가 선처를 요구하거나 처벌을 촉구하는 내용인지는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서거석 교육감의 위계와 조직적 영향력으로 인해, 탄원서 서명 요청을 받은 이들이 불가피하게 동의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있었다.

탄원서의 제출 의도와 상관없이, 대법원의 판단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은 법학 교수 출신인 서거석 교육감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대법원은 사실관계를 재심리하는 기관이 아니라, 원심 판결의 법리적 오류를 판단하는 '법률심'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대법원 판결에서는 일반 시민이나 관계자들의 감정적 탄원, 여론, 탄원서 제출 횟수가 판결 기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과거 유사 사건에서도 다수의 탄원서가 접수되었으나, 대법원이 그로 인해 판결을 변경한 사례는 거의 없다. 사법 판단은 오로지 증거와 법률 해석을 기준으로 이뤄지며, 어떤 입장이든 탄원서 제출은 형식적 절차의 의미를 넘어서기 어렵다는 것이 법조계의 일관된 입장이고 선처를 바라든 처벌을 원하든, 판결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징적 행위에 불과하다.

서거석 교육감은 지난 항소심에서 당선무효형인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다. 당시 광주고법 전주재판부는 서 교육감이 2022년 지방선거 당시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를 유죄로 인정했다. 대법원이 이 판결을 확정할 경우, 서 교육감은 교육감직을 상실하게 된다.

Five Petitions Submitted in Superintendent Seo Geo-seok’s Case—He Himself Likely Knows They Won't Affect the Verdict

Ahead of the Supreme Court’s final ruling on Jeonbuk Education Superintendent Seo Geo-seok’s charges of violating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five petitions were submitted to the court during April alone. According to Supreme Court records, these petitions were received on April 3, 10, 18, 22, and 23.

Notably, the petition submitted by Seo's legal representatives on April 23 explicitly appears to request leniency for the superintendent. However, there has been no official confirmation regarding whether each petition specifically sought leniency or urged punishment. Some have expressed dissatisfaction, claiming that due to Superintendent Seo’s hierarchical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influence, individuals solicited for signatures felt compelled to consent.

Regardless of the intent behind these petitions, Superintendent Seo, who himself is a former law professor, would be well aware that such documents typically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upreme Court's judgment. The Supreme Court serves as a court of final appeal, reviewing legal errors in lower court decisions rather than re-examining factual circumstances. Therefore, emotional pleas, public opinion, or the frequency of petition submissions from citizens or stakeholders do not form the basis for its rulings.

In fact, in similar past cases, numerous petitions have been submitted, but there have been almost no instances where the Supreme Court altered its decisions because of them. Judicial rulings are strictly determined by evidence and legal interpretation. Thus, submitting petition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dvocate leniency or punishment, typically holds little beyond symbolic significance and seldom affects the actual judicial outcome.

Superintendent Seo Geo-seok previously received a sentence of a 5 million won fine in the appellate trial, an amount resulting in the invalidation of his election if upheld. At that time, the Jeonju branch of the Gwangju High Court found him guilty of disseminating false information during the 2022 local elections. Should the Supreme Court uphold this ruling, Superintendent Seo will lose his position.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Supreme Court is set to deliver its final ruling on Jeonbuk Education Superintendent Seo Geo-seok’s alleged violat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April alone, five petitions requesting either leniency or punishment were submitted to the court. Despite these appeals,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ill primarily be based on legal considerations rather than emotional appeal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대법원은 서거석 전북도교육감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최종 판결을 내릴 예정입니다. 4월에는 처벌 또는 선처를 요구하는 탄원서 등 5건이 대법원에 접수되었습니다. 이러한 진정서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의 판결은 감정적인 호소보다는 주로 법률적인 판단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main focus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regarding the petitions submitted in April?
대법원의 판단은 주로 무엇에 중점을 둘까요?
2. Why are the petitions submitted to the Supreme Court considered symbolic gestures?
대법원에 제출된 청원은 왜 상징적 제스처로 간주됩니까?
3. What was Seo Geoseok fined for in a previous appellate court ruling?
서거석이 이전 항소심 판결에서 무엇으로 벌금을 받았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violation (위반, noun)
- The act of breaking or failing to comply with a law, rule, or agreement.
- 법률, 규칙 또는 협정을 어기거나 준수하지 않는 행위.
- He was arrested for the violation of traffic laws.
- 그는 교통법규 위반으로 체포되었습니다.

2. sanctions (제재, noun)
- Official orders or measures taken against a country, aimed at making it obey international law.
- 국가에 대해 취해진 공식적인 명령이나 조치로, 국제법을 준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The United Nations imposed sanctions on the country for violating human rights.
- 유엔은 그 나라에 인권을 위반하여 제재를 가했습니다.

3. hierarchical (계층적인, adjective)
- Arranged in order of rank, grade, or importance.
- 순위, 등급 또는 중요도 순서로 정렬된.
- The company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clear levels of authority.
- 그 회사는 권한의 명확한 수준을 가진 계층적인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4. appellate (항소의, adjective)
- Relating to or involved in the process of appealing to a higher court.
- 상급법원에 항소하는 과정과 관련된.

5. ruling (판결)
- The Supreme Court has upheld the lower court's ruling.
-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

6. substantial (실질적인, adjective)
- Considerable in importance, value, amount, or extent.
- 중요성, 가치, 양 또는 범위에서 상당한.
- The company made a substantial profit this quarter.
- 그 회사는 이 분기에 상당한 이익을 거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