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립중앙도서관이 국립장애인도서관이 주관한 ‘2025년 장애인 독서문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돼 청각장애인을 위한 독서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사업은 문화 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독서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정읍시립중앙도서관은 전북특별자치도 농아인협회 정읍시지회와 협력해 ‘손으로 꿈꾸는 이야기 세상’이라는 프로그램을 오는 7월부터 9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도서관 견학 1회 ▲그림책 감상과 독후 활동 10회 ▲문화 탐방 1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해 도서관 이용법부터 책을 통한 체험활동까지 다양하게 마련됐다.
도서관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인에게 도서관을 더욱 친숙한 공간으로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 책과 문화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Jeongeup City Central Library to Operate Reading Culture Program for the Hearing Impaired
Jeongeup City Central Library has been selected for the '2025 Disability Reading Culture Program Support Project' organiz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and will be operating a reading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the hearing-impaired.
This project aims to exp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read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disabled individuals, particularly those who are culturally marginalized. In collaboration with the Jeongeup City Branch of the Jeollabuk-do Association for the Deaf, the Jeongeup City Central Library will be conducting a program called 'Stories of Dreams Written by Hands' from July to September, totaling 12 sessions.
The program consists of activities such as a library tour, 10 sessions of picture book appreciation and reading activities, and a cultural exploration session, all tailor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impaired, from library usage to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books.
A library official expressed hope that this program will help make the library a more familiar space for the hearing-impaired, stating, "We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enable various groups to communicate through books and culture."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Jeongeup City Central Library has been chosen for a program supporting disabled readers and will run a reading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the hearing-impaired. The project aims to increase access to information and reading opportunities for disabled individuals, particularly those who are culturally marginalized.
🗣️ Korean Translation:
전주시 중앙 도서관이 장애인 독서 문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청각 장애인을 위한 독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정보 접근성을 확대하고 문화적으로 소외된 장애인들을 위한 독서 참여 기회를 늘리기 위한 것입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main goal of the '2025 Disability Reading Culture Program Support Project'?
주요 목표는 '2025 장애인 독서 문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인가요?
2. How many sessions will the program 'Stories of Dreams Written by Hands' consist of?
'손으로 쓴 꿈 이야기' 프로그램은 총 몇 회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3. How does the library official hope the program will impact the hearing-impaired?
도서관 관계자는 어떻게 프로그램이 청각 장애인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희망하는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accessibility, 접근성, noun
- the quality of being easy to obtain or use
- 도서관은 모든 사람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합니다.
- The library should be a space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everyone.
2. marginalized, 소외된, adjective
- treated as insignificant or peripheral
- 소외된 사람들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We need programs to help marginalized individuals.
3. collaboration, 협력, noun
- the action of working with someone to produce or create something
- 두 기관 간의 협력은 많은 이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Collaboration between two institutions can bring many benefits.
4. tailored, 맞춤화된, adjective
- designed to meet the specific needs or preferences of an individual
- 이 프로그램은 청각 장애인을 고려하여 맞춤화되었습니다.
- This program has been tailored to consider the hearing-impaired.
5. experiential, 경험적인, adjective
- based on experience and observation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체험적인 활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hearing-impaired are very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