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립미술관(관장 이애선)은 전북미술사연구시리즈의 네 번째 기획전으로 《박민평: 변주된 풍경》 전시를 오는 25일부터 7월 13일까지 본관 1~4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1970~80년대 전북 미술계에서 구상과 비구상을 넘나들며 독자적 화풍을 구축해온 고(故) 박민평(1940~2019) 화가를 조명한다. 지역의 구상회화가 주류를 이루던 시기, 반복을 거부하며 색면과 심상을 결합한 회화를 실험한 박민평의 작업 세계는 지역 미술계에 새로운 다양성과 개별성을 부여했다는 평가다.
부안 출신의 박민평은 전주공고 재학 중 허병 화백으로부터 본격적인 미술 교육을 받고, 이후 서라벌예술대학을 졸업한 뒤 군산과 익산에서 교직을 시작했다. 1971년 전주 성심여자중·고등학교에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작가 활동에 몰두하며 지역 화단과의 연대를 이어갔다.
전시는 ‘사실-색면-이야기-변주된 풍경’이라는 소주제를 따라 총 105점의 작품을 시간 흐름에 따라 구성했다. 고등학생 시절 작품부터 생애 마지막 시기까지의 화풍 변화가 전시실별로 선보인다.
1970년대에는 산과 해바라기 등을 주제로 어둡고 강렬한 색채와 단순화된 형상, 평면적인 구성이 두드러졌다. 1980년대에는 산 하나만을 중심으로 놓는 구도로 변화하면서 색면 추상에 가까운 풍경을 선보였고, 1990년대에는 민화적이고 설화적인 정서를 가미한 색채 실험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여백의 미와 계절의 색감을 조화시킨 작품들이 등장하며, 산의 형상이 고요한 사유의 대상으로 승화되었다.
전북도립미술관은 박민평의 개인 작업뿐 아니라 그가 참여한 단체전과 지역작가들과의 연대 활동도 함께 조명해, 지역 미술사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시도로 이번 전시를 구성했다.
이애선 관장은 “이번 전시는 한 작가의 생애를 통해 지역 미술계의 흐름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성과”라며, “박민평이라는 예술가가 전북 미술에 남긴 흔적과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개막식은 조기 대선의 영향으로 연기되었으며, 전시와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전북도립미술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 to Host Jeonbuk Art History Research Series "Park Min-pyeong: Varied Landscapes"
Painter Park Min-pyeong's 50-year artistic trajectory highlighted for contributing to the diversity and individuality of regional art
The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 (Director Lee Ae-seon) announced that the exhibition "Park Min-pyeong: Varied Landscapes" will be held from the 25th of this month to July 13th in exhibition halls 1 to 4 of the main building as the fourth installment of the Jeonbuk Art History Research Series.
This exhibition sheds light on the late Park Min-pyeong (1940-2019), who traversed between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art in the Jeonbuk art scene of the 1970s and 80s, establishing a unique artistic style. During a time when figurative painting dominated the regional art scene, Park Min-pyeong's experimentation with combining color planes and symbolism, while rejecting repetition, brought new diversity and individuality to the local art scene.
Hailing from Buan, Park Min-pyeong received formal art education from Huh Byeong, a renowned artist, while attending Jeonju High School, and later graduated from Seorabeol University of Arts before starting his teaching career in Gunsan and Iksan. Upon assuming a position at Jeonju Seongsim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in 1971, he dedicated himself to his artistic endeavors and continued to collaborate with local artists.
The exhibition is curated with a total of 105 pieces of artwork under the theme "Reality - Color Planes - Stories - Varied Landscapes," arranged chronologically to showcase the evolution of his artistic style from his high school years to his final days.
In the 1970s, his works focused on themes like mountains and sunflowers, characterized by dark and intense colors, simplified forms, and flat compositions. By the 1980s, his compositions shifted to placing a single mountain at the center, presenting landscapes closer to color plane abstraction. In the 1990s, he experimented with incorporating a folk and poetic sentiment into his color palette. Post-2000, his works featured a harmonious blend of empty spaces and seasonal colors, transforming the shape of mountains into objects of serene contemplation.
The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 structured this exhibition not only to showcase Park Min-pyeong's individual works but also to illuminate his participation in group exhibitions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ith local artists, aiming to broaden the scope of regional art history research.
Director Lee Ae-seon expressed, "This exhibi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achievement that comprehensively showcases the flow of the regional art scene through the life of one artist," adding, "I hope this exhibition serves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traces and significance left by the artist Park Min-pyeong in Jeonbuk art."
The opening ceremony was postponed due to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can be found on the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s website.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An exhibition at the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 highlights the 50-year artistic journey of painter Park Min-pyeong, who brought diversity and individuality to the regional art scene by combining color planes and symbolism. The exhibition showcases 105 pieces of artwork that trace the evolution of his unique style from the 1970s to his final day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회는 화가 박민평의 50년 간의 예술적 여정을 강조하며, 색면과 상징을 결합하여 지역 예술계에 다양성과 독창성을 선사했습니다. 이 전시회는 그의 독특한 스타일의 진화를 추적하는 105점의 작품을 전시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main focus of the exhibition "Park Min-pyeong: Varied Landscapes"?
박민평의 전시회 "박민평: 다채로운 풍경"의 주요 초점은 무엇인가요?
2. How did Park Min-pyeong contribute to the regional art scene during the 1970s and 80s?
박민평은 1970년대와 80년대 지역 예술계에 어떻게 기여했나요?
3. Why did the Jeonbuk Provincial Museum of Art structure the exhibition to showcase Park Min-pyeong's participation in group exhibitions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전북도립미술관은 왜 박민평의 단독 작품뿐만 아니라 그의 단체 전시 및 협력 활동을 전시하도록 구성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trajectory (궤적, noun)
- the path followed by a moving object
- 움직이는 물체가 따르는 경로
- The missile followed a high trajectory before hitting the target.
- 미사일은 목표물에 명중하기 전에 높은 궤적을 따랐다.
2. individuality (독창성, noun)
- the quality or character of a particular person or thing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s
-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하는 특성 또는 성격
- Each artist's individuality shines through in their unique style.
- 각 예술가의 독창성이 그들의 독특한 스타일에서 빛난다.
3. experimentation (실험, noun)
- the act of trying out new ideas, methods, or activities to see what results they produce
- 새로운 아이디어, 방법 또는 활동을 시도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는 행위
- Scientists often conduct experiments to test their hypotheses.
-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종종 실험을 수행한다.
4. collaboration (협력, noun)
- the action of working with someone to produce or create something
- 무언가를 생산하거나 만들기 위해 누군가와 협력하는 행위
- The success of the project was due to the collaboration of the entire team.
- 프로젝트의 성공은 전체 팀의 협력 덕분이었다.
5. illuminate (밝히다, verb)
- to make something clearer or easier to understand
- 무언가를 더 명확하게 하거나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
- The documentary aims to illuminate the lives of endangered species.
- 그 다큐멘터리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의 삶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