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말 기준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263만 1,356명으로 나타났다. 전북특별자치도 내 등록장애인은 128,993명으로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의 4.9%를 차지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8일 발표한 2024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15개 장애유형별 비중은 지체장애(43.0%), 청각장애(16.8%), 시각장애(9.4%), 뇌병변장애(8.9%), 지적장애(8.9%) 순이었다.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55.3%(145만 5,782명)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비중은 60대(62만 1,450명, 23.6%), 70대(57만 8,655명, 22.0%), 80대(46만 1,367명, 17.5%) 순이다.
전북의 등록장애인은 128,993명으로 ‘심한 장애’ 46,557명, ‘심하지 않은 장애 82,436명’이었다.
장애유형별로는 지체장애인이 58,933명(45.7%)으로 가장 많았으며, 청각장애(21,613명, 16.8%), 지적장애(12,936명, 10%), 뇌병변장애(10,683명, 8.3%), 시각장애(10,641명, 8.3%)가 뒤를 이었다.
전북 등록장애인 세부 유형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지체장애: 58,933명 (심한 장애 11,374명 / 심하지 않은 장애 47,559명)
▲시각장애: 10,641명 (심한 1,918명 / 심하지 않은 8,723명)
▲청각장애: 21,613명 (심한 3,796명 / 심하지 않은 17,817명)
▲언어장애: 1,301명 (심한 636명 / 심하지 않은 665명)
▲지적장애: 12,936명 (모두 심한 장애로 분류)
▲뇌병변장애: 10,683명 (심한 5,606명 / 심하지 않은 5,077명)
▲자폐성장애: 1,379명 (모두 심한 장애로 분류)
▲정신장애: 5,382명 (심한 5,285명 / 심하지 않은 97명)
▲신장장애: 3,908명 (심한 2,957명 / 심하지 않은 951명)
▲심장장애: 147명 (심한 105명 / 심하지 않은 42명)
▲호흡기장애: 314명 (심한 298명 / 심하지 않은 16명)
▲간장애: 530명 (심한 22명 / 심하지 않은 508명)
▲안면장애: 126명 (심한 67명 / 심하지 않은 59명)
▲장루·요루장애: 694명 (심한 71명 / 심하지 않은 623명)
▲뇌전증장애: 406명 (심한 107명 / 심하지 않은 299명)
As of the end of 2024, 128,993 registered disabled people in Jeonbuk...account for 4.9% of the population in the province
-Severe disabilities in physical and hearing impairments, accounting for 36% of all severe disabilities
As of the end of 2024,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in South Korea stood at 2,631,356. In Jeollabuk-do,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was 128,993, accounting for 4.9% of the total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n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for 2024 relea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the 18th, the distribution of 15 types of disabilities in South Korea was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 (43.0%), hearing impairment (16.8%), visual impairment (9.4%), brain disorders (8.9%),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8.9%).
The proportion of disabled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steadily increased to 55.3% (1,455,782 individuals). By age group, th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60s (621,450 individuals, 23.6%), 70s (578,655 individuals, 22.0%), and 80s (461,367 individuals, 17.5%).
In Jeollabuk-do, there were 128,993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with 46,557 classified as having 'severe disabilities' and 82,436 as having 'non-severe disabilities'.
By type of disability, the distribution in Jeollabuk-do was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 was the most common with 58,933 individuals (45.7%), followed by hearing impairment (21,613 individuals, 16.8%), intellectual disabilities (12,936 individuals, 10%), brain disorders (10,683 individuals, 8.3%), and visual impairment (10,641 individuals, 8.3%).
The detailed distribution of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in Jeollabuk-do by subtype is as follows:
📝 Summary:
The article discusses the statistics of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Jeollabuk-do. It highlights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proportion of severe disabilities within these categori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이 기사는 대한민국의 등록된 장애인 통계에 대해 다루며, 전북을 중심으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분포와 이러한 범주 내 심각한 장애의 비율을 강조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 What percentage of severe disabilities are accounted for by physical and hearing impairments?
- 신체 및 청각 장애가 차지하는 심각한 장애의 백분율은 얼마인가요?
- How many 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were there in Jeollabuk-do?
- 전북에 등록된 장애인은 몇 명이었나요?
- What was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in Jeollabuk-do?
- 전북에서 가장 흔한 장애 유형은 무엇이었나요?
💡 Vocabulary Learning:
- Impairment (장애), noun
- A condition that limits a person's ability to do things
-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는 상태
- She has a hearing impairment that makes it difficult for her to communicate.
- 그녀는 의사소통이 어려운 청력 장애가 있습니다.
- Distribution (분포), noun
- The way in which something is shared out among a group or spread over an area
- 어떤 것이 그룹 사이에 나누어지거나 지역에 퍼져있는 방식
-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the country is uneven.
- 그 나라의 자원 분포는 균등하지 않습니다.
- Proportion (비율), noun
- A part, share, or number considered in relation to a whole
- 전체에 대한 일부, 분배 또는 수를 고려한 것
-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workforce has increased over the years.
- 여성 비율은 몇 년 동안 증가했습니다.
- Subtype (하위 유형), noun
- A subdivision of a particular type of something
- 특정 유형의 하위 분류
- The software has different subtypes for various functions.
- 그 소프트웨어에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다른 하위 유형이 있습니다.
- Disorder (장애), noun
- A physical or mental condition that is not normal or healthy
- 정상이나 건강하지 않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상태
- She suffers from a sleep disorder that affects her daily life.
- 그녀는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수면장애를 겪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