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9 01:52:54

서거석 전북교육감 직무평가 리얼미터 4월 조사 12명 발표대상 중에 11위


... 임창현 (2025-05-18 16:31:13)

IMG
서거석 전북교육감의 직무수행에 대한 평가가 여론조사와 교사 현장조사에서 모두 저조한 수준을 보였다. 리얼미터의 2025년 4월 전국 시·도 교육감 직무평가 결과, 서 교육감은 긍정 평가 39.4%로 조사결과 발표대상 12명 중 1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달 대비 1.3%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평가는 일반 시민 대상 여론조사에 그치지 않고, 전북 지역 교사들의 현장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5월 14일, 교육 시민단체 '새길을 여는 참교육포럼'이 전북 지역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7.9%가 서 교육감의 직무수행에 '불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을 표했으며, '만족' 또는 '매우 만족'은 고작 3.6%에 그쳤다.

교사들의 부정적 평가는 구체적 이유와 함께 제시되었다. '교사 의견을 무시한 일방적 정책 추진'에 80.1%가 공감했으며, '과중한 행정업무'(51.3%), '사법 리스크로 인한 청렴도 하락'(31.4%)이 뒤를 이었다. 이는 개인에 대한 평가를 넘어 정책 추진 방식과 교육청 조직문화 전반에 대한 불신을 보여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최근 도입된 초등 총괄평가제도(75.2%), 미래교육 정책(54.4%), 교원 인사 전보제도(57.1%) 등에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리얼미터 여론조사와 새참교육 설문조사 결과는 일반 시민과 교사 모두가 현재 교육행정에 대한 신뢰를 잃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온라인 개방형 자발 참여 방식임에도 15%의 높은 응답률은 교육 현장의 문제의식을 잘 드러낸다.

설문 응답자들은 '교사 의견 반영을 위한 제도 마련'(58.4%),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제화'(49.5%), '교사 정원 확보'(38.6%) 등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개선을 요구했다.

일부 분석에서는 지역 언론의 역할도 서 교육감의 낮은 지지율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대부분의 지역 언론이 교육청에 대한 비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교사, 학부모, 시민들의 목소리가 공론장에서 배제되고, 교육청의 일방적 정책 결정 구조가 고착화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교육은 정책 성과를 넘어 현장의 신뢰와 공감 위에서 작동해야 한다. 서 교육감에 대한 낮은 직무평가는 단순한 개인 평가를 넘어, 소통 부재와 정책 실효성 결여라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는 신호일 수 있다. 교육행정의 회복은 결국 '현장'에 있으며, 정책 성공을 위해서는 교사들과의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리얼미터 여론조사 [2025년 4월 교육감 직무수행 평가 일반지수]

– 전국 교육감 중 제주 김광수 59.5%로 1위
– 전남 김대중 56.7%, 울산 천창수 45.0% 각 2위, 3위 기록
– 울산 천창수 지난 1월 이후 3개월만에 TOP3 재진입

제주 김광수 교육감의 4월 교육 행정 긍정평가가 59.5%를 기록, 지난달(62.7%) 대비 3.2%포인트 하락했으나 1위를 유지함.

2위를 기록한 전남 김대중 교육감은 전월 대비 1.1%포인트 하락한 56.7%의 긍정평가로 1위 김광수 교육감과 2.8%포인트 차이를 보였음.

이어 ◎3위 울산 천창수 45.0%(▼0.4%포인트, 전월 45.4%), ◎4위 세종 최교진 44.4%(▲0.7%포인트, 전월 43.7%), ◎5위 경남 박종훈 44.3%(▼0.4%포인트, 전월 44.7%), ◎6위 충북 윤건영 43.9%(▼1.3%포인트, 전월 45.2%), ◎7위 광주 이정선 43.2%(▲0.8%포인트, 전월 42.4%), ◎8위 경북 임종식 41.0%(▼7.2%포인트, 전월 48.2%), ◎9위 충남 김지철 40.9%(▲3.6%포인트, 전월 37.3%), ◎10위 서울 정근식 39.5%(▼0.8%포인트, 전월 40.3%), ◎11위 전북 서거석 39.4%(▼1.3%포인트, 전월 40.7%), ◎12위 인천 도성훈 39.0%(▲4.4%포인트, 전월 34.6%) 순이었음.
(1~12위 순위만 공개, 13위 이하 하위권 비공개 / 부산교육감 : 4월 2일 선출, 5월 결과부터 반영예정)

Former Jeonbuk Superintendent Seo Geoseok Ranks 11th out of 12 in RealMeter's Job Performance Evaluation for April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eo Geoseok,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Jeollabuk-do, showed low levels of satisfaction in both public opinion polls and on-site surveys of teachers. According to RealMeter's April 2025 nationwide evaluation of provincial education superintendents, Superintendent Seo ranked 11th out of 12 in positive evaluations with only 39.4%, a 1.3% decrease from the previous evaluation, indicating that he has not been able to move out of the lower ranks.

This evaluation was not limited to general public opinion polls but also showed a similar trend in on-site surveys of teachers in Jeollabuk-do. In a survey conducted by the educational civic group 'Saegireul Yeoneun Chamgyo Education Forum' on May 14th, 77.9% of the 303 teachers surveyed expressed 'dissatisfaction' or 'extreme dissatisfaction' with Superintendent Seo's performance, while only 3.6% expressed 'satisfaction' or 'extreme satisfaction'.

The negative evaluation by teachers was accompanied by specific reasons. 80.1% agreed with the statement that there was 'unilateral policy implementation ignoring teachers' opinions', followed by 'excessive administrative tasks' (51.3%) and 'decline in integrity due to judicial risks' (31.4%). This indicates a lack of trust not only in individual evaluations but also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methods and overal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education off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ressed strong dissatisfaction with recently introduced policies such as the Elementary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75.2%), future education policies (54.4%), and the teacher personnel transfer system (57.1%).

The results of RealMeter public opinion polls and the Saechamgyo Education survey show tha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teachers have lost trust in the curr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high response rate of 15% in an online open voluntary participation method reflects a strong awareness of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Survey respondents demanded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establishing systems to reflect teachers' opinions' (58.4%), 'legislation to protect educational activities' (49.5%), and 'securing teacher positions' (38.6%).

Some analyses suggest that the role of local media also influenced Superintendent Seo's low approval ratings. Most local media outlets have failed to properly perform their critical function towards the education office, leading to the exclusion of voices from teachers, parents, and citizens in public discourse, and the entrenchment of a unilateral policy decision structure within the education office.

Ultimately, education should operate on the basis of trust and empathy in the field beyond policy outcomes. The low job evaluation of Superintendent Seo may signal structural issues such as a lack of communication and policy effectiveness, going beyond a simple individual evaluation. The restor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ultimately lies in the 'field', and regaining trust with teachers is crucial above all for policy succes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uperintendent Seo Geoseok in Jeollabuk-do showed low satisfaction levels in public opinion polls and teacher surveys, ranking 11th out of 12 in positive evaluations. Teach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his polici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leading to a lack of trust in the education office.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라북도 교육감 서거석의 성과 평가는 공개 여론 조사와 교사 설문조사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긍정적인 평가에서 12위 중 11위를 차지했습니다. 교사들은 그의 정책과 실행 방법에 불만을 표현하며, 교육청에 대한 신뢰 부족을 야기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Superintendent Seo's ranking in the nationwide evaluation of provincial education superintendents?
교육청 광역교육감 전국 평가에서 서거석 교육감은 몇 위를 차지했습니까?
2. What percentage of teach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Superintendent Seo's performance in the survey?
설문조사에서 몇 퍼센트의 교사가 서거석 교육감의 성과에 불만을 표현했습니까?
3. What were the top reasons for dissatisfaction among teachers with Superintendent Seo's performance?
교사들이 서거석 교육감의 성과에 대해 불만을 표현한 주요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evaluation (평가, noun)
- The act of assessing or judging something.
- 평가는 무언가를 평가하거나 판단하는 행위입니다.
- The company conducts an annu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all employees.
- 회사는 모든 직원들에 대해 매년 성과평가를 실시합니다.
2. satisfaction (만족, noun)
- The state of being pleased or content with something.
- 만족은 무언가에 대해 기쁘거나 만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 Finding a job that brings you satisfaction is important for overall happiness.
- 만족감을 주는 직장을 찾는 것은 전반적인 행복에 중요합니다.
3. unilateral (일방적인, adjective)
- Involving only one side or party.
- 일방적은 한 쪽이나 당사자만을 관련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 The decision was made unilaterally without consulting the other team members.
- 결정은 다른 팀원들과 상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이루어졌다.
4. entrenchment (확고한 입장, noun)
- The act of establishing something firmly and securely.
- 확고한 입장을 확실히하고 안정적으로 세우는 행위입니다.
- The company's policies have led to the entrenchment of a toxic work culture.
- 회사의 정책으로 인해 유해한 직장 문화가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5. empathy (공감, noun)
-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share the feelings of others.
-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능력입니다.
- Showing empathy towards coworkers can improve teamwork and morale.
- 동료들에게 공감을 표현하면 팀워크와 사기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