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입찰 과정의 비리 의혹을 다룬 한 지역 언론의 단독 기사가 게재 2시간 만에 삭제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기사 삭제의 배경과 공공기관의 언론사 광고비 집행 실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문제의 기사는 한 교육기관이 발주한 41억 원 규모 용역 입찰 과정에서 심사위원 명단 유출과 금품 요구 정황에 대한 제보 내용을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에는 해당 교육기관 관계자의 회유 시도, 내부 고발자의 증언, 그리고 기관 측 입장까지 포함되었으나, 게재 직후 자진 삭제되었다.
이와 관련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북교육청지부는 "공공기관이 특정 언론사에 과도한 광고비를 지급해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이례적인 기사 삭제는 공공 예산을 통한 언론 통제 가능성이나 언론 내부의 자율성 상실 문제인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무원노조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언론사의 전북교육청 광고비 수령액은 2021년 330만 원에서 2024년 5,390만 원으로 약 16.3배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다른 주요 지역 언론사들의 평균 인상률인 2~3배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전북교육청은 "해당 언론사에 기사 삭제 요청이나 연락을 한 사실이 없다"며 외압 의혹을 부인했다. 대변인실 관계자는 "교육감이 직접 전화했다는 말도 들은 적 없다"고 덧붙였다.
해당 언론사 지역본부 관계자는 기사 삭제 이유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으며, 복수의 매체에 따르면 "삭제 당시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은 논평을 통해 "이 사안은 지역 언론의 자율성, 공공기관 홍보예산 집행의 투명성, 언론의 독립성 문제를 점검할 중요한 계기"라며 "언론 본사의 대안언론 정신이 지역본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광고비를 통해 보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는 엄격히 견제되어야 하며, 기사 삭제가 내부 자율 결정이었다 하더라도 그 과정과 책임은 명확히 설명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공공기관의 홍보예산 집행 구조, 언론사의 편집 자율성, 시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다만, 기사 삭제와 광고비 집행 간의 직접적 연관성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며, 향후 관련 기관과 언론사의 추가 설명이 주목된다.
Jeonbuk Minunrean Editorial, Controversy over Jeonbuk Education Office Bidding: "Media Deleting Articles, Increase in Advertising Fees?"... Controversy over Autonomy of Local Media
Controversy is spreading over the deletion of an exclusive article by a local media outlet that covered suspicions of corruption in the bidding process of public institutions, just 2 hours after its publication. The background of the article's deletion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execution of advertising funds by public institutions are now being discussed.
The article in question reportedly dealt with a tip-off regarding the leakage of the evaluation committee list and demands for bribes during a 4.1 billion won contract bidding process initiated by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article included attempts by officials from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o persuade, testimonies from internal whistleblowers, and the institution's stance, but it was voluntarily deleted shortly after its pub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Jeonbuk branch of the National Government Employees' Union raised suspicions that "public institutions may have exerted influence by excessively paying advertising fees to a specific media outlet." They further argued that "whether this unusual deletion of the article is related to media control through public budgets or the loss of autonomy within the media should be clearly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the government employees' union, the advertising revenue received by the media outlet from the Jeonbuk Education Office increased from 3.3 million won in 2021 to 53.9 million won in 2024, a significant 16.3-fold increase. This far exceeds the average increase rate of 2-3 times seen in other major local media outlets during the same period.
The Jeonbuk Education Office denied any allegations of pressure, stating that "there is no record of requesting the deletion of articles or contacting the media outlet." A spokesperson from their office added, "There has never been any instance of the superintendent directly making a phone call."
The local branch of the media outlet did not provide a clear explanation for the reason behind the article's deletion. According to multiple reports, they explained that "there was no specific reason for the deletion at that time."
The Jeonbuk Democratic Media Citizens' Union stated in a commentary that "this issue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examine the autonomy of local media, transparency in the execution of public institution promotional budgets, and the independence of the media," and emphasized the need to scrutinize whether the alternative media spirit of the headquarters is equally applied to the local branches.
They further stressed that "structures that can indirectly or directly influence reporting through advertising fees must be strictly regulated, and even if the article deletion was an internal autonomous decision, the process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clearly explained."
This controversy highlights the need for institutional discussions on the execution structure of public institution promotional budgets, editorial autonomy of media outlets, and ensuring citizens' right to know. However,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article deletion and advertising fund execution has not been confirmed so far, and further explanations from relevant institutions and media outlets are awaited.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A local media outlet deleted an article about corruption suspicions in a public institution bidding process shortly after its publication, sparking controversy. The deletion raised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dvertising funds, and media control.
🗣️ 자체 기관 입찰 절차에서의 부패 의심을 다룬 특별 기사가 발행 후 2시간 만에 삭제되면서 논란이 퍼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 삭제와 공공 기관의 광고 자금 실행을 둘러싼 논란이 현재 논의되고 있습니다.
❓ What sparke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eletion of the article?
기사 삭제를 둘러싼 논란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 논란을 일으킨 기사 삭제의 배경은 무엇이었나요?
❓ What suspicions were raised by the Jeonbuk branch of the National Government Employees' Union?
전북 지부 국가 공무원 조합은 어떤 의심을 제기했습니까?
💡 Vocabulary:
1. corruption (부패, noun)
- dishonest or fraudulent conduct by those in power
- 권력자들에 의한 부정행위 또는 사기 행위
- Corruption is a serious issue that undermines trust in institutions.
- 부패는 기관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키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2. bidding process (입찰 절차, noun)
- the process of submitting offers to undertake a project or contract
- 프로젝트 또는 계약을 수행하기 위한 제안을 제출하는 과정
- Several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bidding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입찰 절차에 여러 회사가 참여했습니다.
3. autonomy (자율성, noun)
- the ability to make independent decisions or actions
- 독립적인 결정이나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
- The organization values the autonomy of its employees.
- 그 기관은 직원들의 자율성을 중요시합니다.
4. allegation (주장, noun)
- a claim or assertion that someone has done something illegal or wrong
- 누군가가 불법적이거나 잘못된 일을 저질렀다는 주장 또는 주장
- The police are investigating the allegations of fraud against the company.
- 경찰은 회사에 대한 사기 의혹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5. scrutiny (검토, noun)
- critical observation or examination
- 비판적인 관찰 또는 검토
- The new policy came under intense scrutiny from the public.
- 새로운 정책은 대중의 강력한 검토를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