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7-14 23:48:29

국립무형유산원, 전승자 기획 무대 ‘예능풍류방’ 상반기 공연 개최


... 이병재 (2025-06-24 11:12:02)

IMG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이 오는 7월 2일과 7월 5일,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24년 ‘예능풍류방’ 상반기 기획공연을 개최한다.

‘예능풍류방’은 무형유산 예능 분야 이수자들이 직접 기획부터 연출까지 주도하는 실험적 공연 시리즈로, 전통예술 간 융합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무형유산의 동시대적 가치를 조명하는 무대다. 전승자 개인의 예술 세계를 확장하고, 관객과 호흡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연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매년 상·하반기 두 기수로 운영된다.

이번 상반기(1기)는 판소리 고법, 가야금산조 및 병창, 경기도도당굿, 승무 등 네 종목의 이수자들이 참여해, 기존 형식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무대를 선보인다.

첫 공연은 7월 2일 오후 7시 30분, 판소리 고법 이수자 최만과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정유경이 함께 무대에 오르는 작품 〈가야人鼓고〉이다.

‘가얏’(가야금의 옛말)과 ‘고’(북)의 만남을 주제로 전통 타악기의 복원, 새로운 장단 창작, 구전민요 선율화, 산조에 구음병창 결합 등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시도한다. 연출은 손혜선이 맡았다.

두 번째 공연은 7월 5일 오후 4시, 경기도도당굿 이수자 김영은과 승무 이수자 권효진이 함께 선보이는 작품 〈기억된 신명 x 생명의 DNA〉이다.

굿과 승무라는 전통 의례와 춤이 만나 신명의 흐름과 생명의 감각을 표현하며, 소리와 몸짓으로 관객에게 정화와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홍원기가 연출을 맡았다.

두 공연 모두 전석 무료이며, 25일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 또는 전화(063-280-1500, 1501)를 통해 사전 예약제로 선착순 접수받는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출연자 소개는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무형유산원 관계자는 “예능풍류방은 전통 예술을 새롭게 해석하고, 전승자들이 자신의 예술적 목소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시대와 공감하는 무형유산의 가능성을 만나보는 자리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o Hold Performances of 'Entertainment and Elegance Room' Planned by Heir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Director Park Pan-yong), will host the first half of the 2024 "Yeoneum Pungryubang" planned performance on July 2 and July 5 at the Usu Maru Small Theater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n Jeonju, Jeollabuk-do.

"Yeoneum Pungryubang" is an experimental performance series led by practitioners in the intangible heritage performance field from planning to directing, highlighting the contemporary value of intangible heritage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al arts and modern reinterpretation. It aims to expand the artistic world of the inheritors and discover new performance contents that can resonate with the audience, operating twice a year in the first and second halves.

This first half (1st session) will feature practitioners in four categories: Pansori Gobeop, Gayageum Sanjo and Byeongchang, Gyeonggi Dodanggut, and Seungmu, presenting creative stages departing from conventional forms.

The first performance will be on July 2 at 7:30 p.m., featuring the work "Gayageum Drumming" by Choi Man, a Pansori Gobeop practitioner, and Jung Yoo-kyung, a Gayageum Sanjo and Byeongchang practitioner.

Under the theme of the meeting between 'Gayageum' (old term for Gayageum) and 'Goe' (drum), various musical experiments will be attempted,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creation of new rhythms, musicalization of oral folk songs, and the combination of Sanjo and Byeongchang. The direction is by Son Hye-seon.

The second performance will be on July 5 at 4 p.m., presenting the work "Remembered Shinmyeong x DNA of Life" by Kim Young-eun, a Gyeonggi Dodanggut practitioner, and Kwon Hyo-jin, a Seungmu practitioner.

Expressing the flow of Shinmyeong and the sensation of life through the meeting of traditional rituals and dances such as Gut and Seungmu, they deliver a message of purification and healing to the audience through sound and gestures. The direction is by Hong Won-gi.

Both performances are free of charge, and reservations are accept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hrough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s website (www.nihc.go.kr) or by phone (063-280-1500, 1501) starting from the 25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s and introductions of the performers can be found on the website.

An official from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tated, "Yeoneum Pungryubang is a meaningful attempt for inheritors to freely express their artistic voices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arts," and expressed hope for "a lot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discovering the potential of intangible heritage that resonates with the time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will host the first half of the 2024 "Yeoneum Pungryubang" performance series in July, featuring traditional arts with a modern twist. The event aims to showcase the contemporary value of intangible heritage through experimental performances by practitioners in various categori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국립무형유산원은 2024년 '연음풍류방' 공연 시리즈의 첫 번째 절반을 7월에 개최합니다. 전통 예술에 현대적인 변주를 더한 실험적인 공연을 통해 무형유산의 현대적 가치를 강조하는 이번 행사는 다양한 분야의 전수자들에 의해 진행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en and where will the first half of the "Yeoneum Pungryubang" performance take place?
언제 그리고 어디에서 '연음풍류방' 공연 시리즈의 첫 번째 절반이 열리나요?
2. What is the main goal of the "Yeoneum Pungryubang" performance series?
'연음풍류방' 공연 시리즈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요?
3. How can people make reservations for the performances?
공연에 대한 예약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 Intangible (무형, adjective): Unable to be touched or grasped; not physical.
- This museum focuses on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이 박물관은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Fusion (융합, noun): The process or result of joining two or more things together to form a single entity.
- The restaurant offers a fus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cuisine.
- 그 식당은 전통과 현대의 요리를 융합한 것을 제공합니다.

- Resonate (공감하다, verb): To evoke or suggest images, memories, and emotions.
- The artist's painting resonated with viewers on a deep level.
- 예술가의 그림은 관람객들과 깊은 수준에서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 Depart (떠나다, verb): To leave, especially in order to start a journey.
- The train will depart from platform 3 in five minutes.
- 기차는 5분 후 3번 승강장에서 출발할 것입니다.

- Purification (정화, noun): The process of making something spiritually or ceremonially clean.
- The ritual involved the purification of the sacred space.
- 그 의식은 신성한 공간의 정화를 포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