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학교 입학관련처장협의회는 2월 15일에 운영회의와 16일 까지 전체 회람을 거쳐 지난 해 11월 28일(목) 교육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발표에 대해 '수능위주전형이 사교육비를 증가시키고, 교육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각종 분석 자료를 외면하고, 오히려 이를 확대함으로써 과정 중심, 학생참여 중심의 교실 수업을 다시 문제 풀이 위주로 퇴화시키고 있음'을 지적하며 비판했다.
최근 정시확대라는 정부입장에 전국의 대학 입학관련처장협의회도 반대를 분명한 한 것이다.
학종에 대한 공정성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진행된 학생부 비교과활동 및 자기소개서 축소·폐지에 대해서도 "학교 내 자율활동, 자치활동 및 독서·토론 교육 등 미래 지향의 고교 공교육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축소 폐지를 반대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이 창의적 인재를 키우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일치함에도 관련 정책의 변화로 인해 학생의 종합적 정성평가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협의회는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에 대한 대학의 입장으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하는 여론을 교육정책의 근거로 삼지 말고, 초중고교 학생들의 교육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대입정책의 패러다임을 수립할 것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면 시행을 통해 학생의 교과 선택권이 평가에 의미 있게 반영되므로 개별 학교의 교육과정을 참조할 수 있는 공적인 정보가 평가 시 제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부에 대한 관리·감독·감시의 책임을 대학에 까지 부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입전형 평가를 위한 전형자료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함에 동의하지만, 대학의 권한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고등학교와 대학 간 불신을 조장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고>외고·국제고>자사고>일반고 순의 서열화된 고교체제가 지원단계부터 합격, 등록단계까지 학생부종합전형 전 과정에서 나타난다는 정부의 입장 발표에 대해서도 전형별 분석 및 전국 고 3학생 수 대비 등 다양한 분석 결과, "서열화된 고교체계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일반적인 현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이라 할 수 없다"며 "서열화된 고교체제에 대한 근거로 제시한 정부가 발표한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고교유형별 평균 내신등급도,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분석 자료"라고 못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