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대중 의원(익산1)은 5일 열린 제421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보수의 단일임금제 도입 촉구 건의안’을 발의하고, 정부의 즉각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김 의원은 “현행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조례상 보수 기준은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어, 지역·시설 규모에 따른 보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종사자 수가 적은 소규모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법적 기준에도 못 미치는 열악한 처우로 인해 인력 유입이 어려우며, 숙련 인력의 이탈이 복지 서비스의 전문성과 지속성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처우 개선이 선결 과제”라며, “보수 기준을 강행규정으로 개정하고, 전국 단일 최소 보수 기준 및 수당 체계를 법령에 명확히 반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Jeonbuk Provincial Council Member Kim Dae-jung Urges Introduction of Single Wage System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On the 5th, during the main session of the 421st extraordinary session, Kim Dae-jung, a member of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uncil (Iksan 1), proposed a bill urging the introduction of a single wage system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strongly demanded immediate government measures.
Kim pointed out, "The current 'Law on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and Status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the wage standards in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re only at the recommended level, leading to widening wage gaps based on the size of the region and facilities."
In particular, for small-scale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 a small number of workers, due to poor conditions that do not even meet legal standards, it is difficult to attract personnel, and the departure of skilled workers threatens the professionalism and sustainability of welfare services.
Kim emphasized, "Improving the treatment of workers is a prerequisite for providing stable welfare services to vulnerable groups," and urged, "The wage standards should be revised as mandatory regulations, and a clear national minimum wage standard and allowance system should be clearly reflected in the law."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During a session of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uncil, Kim Dae-jung proposed a bill for a single wage system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He highlighted the widening wage gaps and poor conditions in small-scale facilities that threaten the professionalism of welfare servic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북특별자치도의 의회 회의 중 김대중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단일 임금제도를 제안했습니다. 그는 임금 격차의 확대와 소규모 시설의 나쁜 조건을 강조했는데, 이는 복지 서비스의 전문성을 위협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did Kim Dae-jung propose during the session?
김대중은 회의 중에 무엇을 제안했습니까?
2. Why did Kim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treatment of workers?
김은 왜 종사자들의 대우를 개선하는 중요성을 강조했습니까?
3. What did Kim suggest should be reflected in the law regarding wage standards?
김은 임금 기준에 관한 법률에 무엇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까?
💡 Vocabulary Learning:
1. wage (임금, noun)
- The amount of money earned by working.
- 근무로 벌어들인 돈의 양
- She received a higher wage after getting a promotion.
- 그녀는 승진 후 더 높은 임금을 받았다.
2. facility (시설, noun)
- A place, building, or equipment used for a particular purpose.
-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장소, 건물 또는 장비
- The new facility includes a gym and a swimming pool.
- 새로운 시설에는 체육관과 수영장이 포함되어 있다.
3. professionalism (전문성, noun)
- The competence or skill expected of a professional.
-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능력 또는 기술
- She was praised for her professionalism in handling difficult situations.
- 그녀는 어려운 상황을 다루는 데 있어 전문성을 칭찬받았다.
4. sustainable (지속 가능한, adjective)
- Able to be maintained at a certain rate or level.
- 특정 비율 또는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는
- The company implemented sustainable practices to reduce waste.
- 회사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지속 가능한 실천 방안을 도입했다.
5. mandatory (의무적인, adjective)
- Required by law or rules; compulsory.
- 법이나 규칙에 의해 요구되는; 강제적인
- Wearing a seatbelt is mandatory for all passengers in the car.
- 차 안의 모든 승객에게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