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북본부는 4일 전주 오거리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원 선거는 전체 노동자·민중의 대표를 선출하는 절차이지만 정작 노동자·민중의 목소리는 간데없다”며 “노동자·민중의 요구 실현을 위해 총선기간 농성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 관계자들은 이날부터 전주 오거리광장에 천막을 설치하고 투표 전날인 12일까지 농성을 벌이기로 했다.
단체는 회견에서 “한국 경제는 심각한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지만, 각 정당 간에 이를 타개하기 위한 비전과 정책 논쟁은 보이지 않는다”면서 “특히 노동·일자리 문제는 경제 정책의 핵심으로 현 정부의 노동개악에 대한 평가가 이번 총선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노총은 20대 총선을 맞아 20대 총선 요구를 제출했으며, 민주노총 전북본부도 이에 더해 10개 지역 의제를 제출하고 전북지역 각 후보자들에게 입장을 묻는 정책질의를 진행했다.
민주노총 요구의 주요 내용은 노동개악 입법 중단, 최저임금 1만원 인상, 재벌에게 사회적 책임 부과이며,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제출한 지역 10대 의제는 ①전라북도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 개선, ②대중교통 공공성 확대, ③화학물질 관리와 알권리 보장, ④저소득층 건강보험료 지원, ⑤직업환경의학과 진료시설 개소, ⑥무상급식 확대, ⑦어린이집 현황 실태파악 및 개선, ⑧직장어린이집 의무설치 사업장 관리, ⑨국공립 의료시설 지원, ⑩특성화고 현장실습 실태 파악 및 개선 등이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4~12일 전주 오거리광장에서 노동개악 입법 중단 등 20대 총선 요구와 전북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 개선 등 10대 지역 의제를 알리는 농성투쟁에 돌입했다. 사진제공=민주노총전북본부.)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전북지역 47명 국회의원 후보들에게 지난 3월 25일 발송하고 회신을 요청했다.
하지만 회신한 후보는 전체 47명 중 16명으로 3분의1뿐이었다. 특히 ‘노동개혁’ 추진을 당론으로 갖고 있는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는 단 한명도 질의에 회신하지 않았다. 민주노총 요구안을 전체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정당은 정의당과 민중연합당이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대다수 후보들이 한국 사회의 진로에 대한 자신의 입장 표명조차 회피하는 태도에 대단히 분노하며, 회신하지 않은 후보들은 현 정부 정책 기조에 대한 묵인내지 동의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서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소속 전 후보를 낙선후보로 규정하고, 정의당·민중연합당 후보를 지지후보로 정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이어 “정책요구 답변을 등한시하고, 티브로드 비정규직 대량해고의 책임이 있는 인사를 정당의 산업경제국장으로 임명한 전력이 있는 국민의당 또한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단체는 또한 “(구성될) 20대 국회에서 노동개악 입법을 저지하고, 재벌에게 책임을 물으며, 공공성을 강화하는 민주노총의 요구안을 실현시키는 투쟁을 멈추지 않고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