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교육부장관 유은혜)가 관계부처 및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 계획’(이하 지방대학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매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 기본 계획으로서, 지난 2월 17일에 개최된 제13차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지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제2차 기본 계획은 지역인재 유출 및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인구유출을 막는 ‘댐’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 협업시스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됐다. 또한 그 핵심 축으로 지방대의 역할을 재정의하는 데에 집중했다.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 미래를 여는 혁신 공동체’의 비전을 설정하고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혁신,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 혁신,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의 세 가지 틀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를 수립했다.
첫째,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혁신으로는 협업에 기반한 동반성장형 지방대학 혁신 지원을 목표로 공유성장형 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지방대 전략적 특성화, 대학 적정규모 관리 및 한계점에 대한 체계적 관리 강화를 목표로 한다. 둘째, 지역인재 정착을 위한 지역혁신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인재 친화적 정주여건을 목표로 산학협력 촉진을 위한 교육공간 혁신, 지방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계획한다. 셋째,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으로는 중앙-중앙, 중앙-지자체와 같이 다양한 층위의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서 지자체 위상을 강화하고, 지역 인재 양성 거버넌스 재구축을 계획한다.
또한 시도별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별 특화인재양성 관련하여 세부 기본계획을 발표했는데, 그중 전라북도는 청년 농업인 및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양성에 집중하기 위해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진화,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계획은 이제까지의 지역인재양성 및 지원 제도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각 지역별 특성을 살린 특성화 계획으로, 대학과 지역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혁신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지역 간 경제, 사회적 격차를 줄이고 지역 내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2-30대 인구 유출을 막는 ‘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