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도내 교직원들의 음주운전과 신분은폐 시도가 빈번하고 관련자에 대한 징계도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사진=고위공직자 대상 청렴교육. 2015년 전북교육청 주최).
전북교육청은 최근 교비 횡령과 불법찬조금 모금 등 잇단 교직원 비위로‘청렴’ 구호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을 받아온 터다(전북일보, 10월 26일 보도).
도교육청은 '도민 여론조사' 발표 등을 통해, 도교육청과 학교가 청렴해졌다는 주장을 펼쳐오고 있지만, 최근 발표된 자료들은 이를 의심케 하는 내용들이다.
전북교육청에 대한 전북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가 벌어지고 있는 10일, 최영규(익산4) 의원은 2016년에 음주단속에 적발된 교직원이 34명인데, 이중 20명이 공무원 신분을 은폐해 징계를 피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범죄행위인 음주에 신분까지 숨겼지만 이들에 대한 징계가 대체로 미미한 점을 지적하며 제 식구 감싸기 행태를 질타했다.
한편 국정감사 기간이던 지난달 25일 국회 곽상도 의원(새누리당, 대구 중구남구)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음주운전에 적발된 후 공무원 신분을 숨긴 전북 도내 교직원이 22명이나 됐다.
2012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교비횡령 및 대가성 수뢰로 징계 받은 전북교육청 소속 교원은 모두 14명으로 이들은 이 기간 21억2414만원을 챙겼으며, 이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경기교육청(28억855만원) 다음으로 많은 금액이었다.
같은 기간 촌지 등 불법찬조금 모금으로 적발된 교원도 11명에 달하는데, 부산교육청(20명)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 이들이 받아 챙긴 불법찬조금은 2억6031만원으로 경기교육청(4억6082만원) 다음으로 많은 액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