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의 세계화를 위해 전주한지에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담은 ‘외규장각 의궤 반차도 재현 닥인형’이 프랑스에서 전시된다.
한국전통문화전당 한지산업지원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전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난 22일부터 오는 12월 15일까지 4주간 프랑스 파리 7대학에서 외규장각 의궤 반차도 닥종이 인형을 전시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작품은 145년 만에 프랑스로부터 반환(대여)된 조선시대 외규장각 의궤 중 가장 화려한 영조정순왕후 가례 반차도 행렬을 한지공예로 재현한 것으로,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루브르 박물관 카르젤관에서 열린 프랑스 국제문화 유산 박람회 전시에 이어 파리에서 열리는 두 번째 전시회다.
의궤는 조선시대 국가나 왕실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를 개최 한 후 전 과정을 기록한 종합보고서로, 외규장각 의궤는 지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에서 약탈해 보관하다가 재불 서지학자인 故 박병선 박사(1928~2011)의 노력으로 반환운동이 시작돼 지난 2011년 의궤 297책이 우리나라에 돌아왔다.
‘역사歷史 공예工藝와 만나다’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는 66세의 영조가 15세의 정순왕후를 계비로 맞이하는 혼례인 영조정순왕후 가례 반차도 행렬을 한지조형 양미영 작가가 긴 작업기간의 희노애락을 담아 한지 인형으로 재현한 작품들이 소개됐다.
이와 관련, 한지산업지원센터는 현재까지 닥인형 464명과 말 71필, 가마 2기, 기타 의장류 576여점 등 영조정순왕후 가례 반차도 행렬 50면 중 14면을 제작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제작된 전체 콘텐츠의 약 30%가 전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