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8-28 11:04:46

전북연구원, 비대면 “제2회 전북학 도민강좌” 공개


... 편집부 (2021-02-01 18:17:59)

IMG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 전북학연구센터가 8개의 강의로 구성된 “제2회 전북학 도민강좌”를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제2회 전북학 도민강좌”는 전북의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총 8강(1강좌당 20분 분량 동영상 3개)으로 구성한 온라인 영상강의이다. 도민들은 강좌를 통해 역사·문화·언어·사회·자연 등의 내용을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다.

1강에서는 전라도의 수부였던 전라감영의 복원과 개관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하여 전주역사박물관 이동희 관장이 “전라감영과 전라감사”라는 주제로 전주에 소재하였던 전라감영의 설치연혁, 운영 양상 등을 소개한다.

2강에서는 무성서원의 유네스코 등재에 공헌한 공주대학교 이해준 명예교수가 “세계유산 무성서원”을 통해 무성서원의 역사․문화적 위상과 등재 과정을 설명한다.

3강은 “판소리는 어떤 예술인가?”를 주제로 진행되며, 군산대학교 최동현 교수가 판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면서 전북 지역과의 연관성을 아울러 풀어나간다.

4강에서는 지역의 언어 및 국문학, 출판 등의 연구에 공헌한 전북대학교 이태영 교수가 “전라북도 방언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전문적인 내용과 흥미 있는 예시의 조화를 통해 설명하여 사라져가는 전북 방언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5강에서는 근현대 전북지역의 농업사 연구를 대표하는 전북대학교 소순열 교수가 “전북근대농업”에서 일제강점기 농업 기술의 발달, 수리시설 등의 구축에 괄목할 성장을 이루었지만, 이는 수탈을 위한 허상이었음을 밝힌다.

6강에서는 영화연구의 권위자이자 영화감독으로서도 높은 명성을 가진 전북대학교 김건 교수가 전북 영화산업의 형성과정과 역사를 설명하고 전북이 어떻게 영화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었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7강에서는 한국무형문화 및 인류학 연구의 권위자인 무형문화연구원 함한희 원장이 “전라북도의 무형문화유산”을 통해, 전북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의 단순한 확인에 그치지 않고, 일반적인 무형문화유산의 개념부터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을 함께 교육한다.

8강에서는 전북의 습지 등 생태환경 연구에 평생을 바쳐 온 전북대학교 김창환 교수가 “전라북도 습지자원의 보전과 이용”을 통해 전북의 습지 현황과 생물종의 기본 정보를 시작해 활용전략까지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해 폭넓게 다룬다.

이번 전북학 강의는 당초 전년도에 대면강의로 진행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의 상황이 지속되면서 선제적으로 온라인 강의로 전환하였다. 범용성이 넓은 유튜브 채널과 전북학연구센터 홈페이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영상강좌 교재집은 홈페이지에 pdf파일로 제공한다.

윤여일 전라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2019년부터 설립된 전북학연구센터는 도민의 지역 이해 증진을 위한 대중 강좌 운영에 힘써왔으며, 이번 ‘제2회 전북학 도민강좌’ 역시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이다. 코로나시대를 맞이하여 온라인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여 도민뿐만 아니라 전국민이 우리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확장성을 넓히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주시고, 내년에도 이에 관심을 계속 기울여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제2회 전북학 도민강좌”는 유튜브 홈페이지에서 ‘전북학연구센터’를 검색하면 해당 채널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