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7-19 00:42:43
전체기사
TOP NEWS
전체기사
교육
문화
사회
칼럼
설산
임창현
권혁선
안중만
박현
한재숙
레드카드사건
지역뉴스
전주
익산
군산
정읍
김제
남원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무주
진안
장수
English News
전체기사
TOP NEWS
전체기사
교육
교육
· 유아
· 초등
· 중등
· 대학
· 교육청
· 교육부
· 특수/대안
· 학습정보
· 대입정보
· 교육단체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 ‘2025 매개자 되어가기’ 본격 운영 돌입
-
이병재
전북교육청, 특수교육대상자 진로‧진학 설명회 첫 개최
-
편집부
전북 직업계고 3곳, 교육부 재구조화 사업 최종 선정…총 30억 지원
-
편집부
“장애학생 권리마저 문제 삼나? 전북교사노조의 장애학생에 대한 몰이해 드러나”
-
임창현
문화
문화
· 전시
· 공연
· 책소개
· 만화
· 영화
· 문화탐방
· 행사축제
· 사진예술
· 연예
전주세계소리축제, 전통음악의 정수를 한자리에
-
이병재
전북 무형유산 이종덕 방짜유기장, 서해미술관 초대전
-
이병재
청년예술인 ‘배우다컴퍼니’가 전하는 기후위기 동화극 공연
-
이병재
전주세계소리축제, 2025 소리프론티어 4개팀 선정
-
이병재
사회
사회
· 지역
· 정치
· 노동
· 경제
· 이슈
· 인권
· 만평
[장애인인식개선] 발달장애인의 ‘집착행동’을 문제 삼는 무지와 편견에 맞서기
-
편집부
동아시안컵 후원사에 ‘위안부' 강제동원 부인하는 일본 극우 기업 논란
-
이병재
새만금 배수갑문, 500년 빈도 홍수 대비로 기본계획 변경 촉구
-
이병재
이서농협, 삼우중서 ‘1사1교 금융교육’ 실시…금융감독원 주관 프로그램
완주
-
편집부
오피니언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사람들
· 청소년
· 사설
전북도, 평생교육이용권 2차 신청 접수 시작… 1인당 35만원 지원
-
편집부
새로운 통일부 장관과 이재명 정부에게 바라는 제언
-
임창현
[한재숙 그림책 이야기] 오늘 하루 어땠어?
-
편집부
[칼럼] 하늘을 나는 새는 양쪽날개로 날지만 언론은 새가 아니다. 앵무새가 아니다.
-
임창현
연재기획
연재기획
한재숙
(동화작가)
권혁선
(진안공고 수석교사)
설산 최재은
(사단법인 환단사상연구소 이사장)
박현
(화산중학교 연구부장)
안중만
(전교조 진안지회장)
임창현
(전북교육신문 기자)
불타는 지구 그리고 개구리
시를 배웠느냐
전북교육신문이 만난 사람
정은애의‘퀴어 이야기’
수현이의 문학생각
동산바치의 花和人仁(들머리에)
Bonnie의 화이트보드
홍순천의 땅다지기
윤동주시인 탄생100주년
아픈아이로 산다는 것
내마음을 움직인 책
괴짜교육법
워킹홀리데이
핵없는 세상
이충민의 한옥이야기
레드카드사건
지역뉴스
전주
익산
군산
정읍
김제
남원
완주
고창
부안
임실
순창
무주
진안
장수
English News
최종편집: 2025-07-19 00:42:43
출신국 달라도 놀이는 통해
출신국 달라도 놀이는 통해 베트남 등에서 이주해온 여성들이 어린 학생들에게 자기 나라의 전통놀이를 가르쳐주는 행사가 열렸다. 한국 학생들이 아시아 전통놀이를 배움으로써 다문화가족 어린이들과 화합할 수 있게 돕자는 취지다. 19일 전북 남원교육지원청은 학생과 학부모 1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베트남, 일본, 중국, 필리핀 등 아시아 전통놀이를 체험하는 전래놀이마당을 남원초등학교 운동장에서 가졌다. 올해 34살의 베트남 엄마 이홍민 씨는 지난 2006년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초등학생과 유아원생 아이를 두고 있는 그녀는 베트남 전통놀이 ‘코코넛 밟기’를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설명하느라 바빴다. “코코넛은 베트남에선 흔한 과일이죠. 단단한 껍질을 잘라 안에 든 물을 마신 후 베트남 아이들은 놀이도구로 만들어요. 한국 학생들에게 게임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날 아시아 전래놀이로 중국의 콩쥬, 필리핀의 티니쿨링, 일본의 켄다마, 베트남의 코코넛 밟기가 학생들에게 선보였고, 한국의 비석치기, 사방치기, 꽃따기 등도 체험했다. 중국의 전통놀이 콩쥬를 안내한 이주여성 박영분 씨는 “중국문화를 알려주니 기분이 좋다. 학생들이 다문화 아이들을 차별하지 말고 잘 지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중국의 콩쥬는 구멍이 뚫린 둥근 원통에 실을 매달아 돌리면 소리가 나는 놀이다. 박영분 씨 역시 초등학생과 세 살 바기 아이를 두고 있다. 한국에 이주해온 지 15년째인 마쯔모또 유까리 씨는 일본의 전통놀이 켄타마를 소개했다. 요요와 비슷한 켄타마는 일본에선 전국대회가 개최될 정도로 인기 있는 놀이다. 중학생과 초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유까리 씨는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전통놀이가 많아 놀랐다”며 “학생들이 진지하게 배워 기분이 좋다”고 웃었다. 또 이날 행사에서 소개된 필리핀 전통놀이 티니클링은 일종의 대나무 줄넘기로 언론 등을 통해 우리에게도 익숙한 놀이다. 학생들은 고무줄놀이를 하듯 대나무를 뛰어넘었다. 김미현 남원교육지원청 다문화교육 담당은 “기획단계에선 학생과 학부모들이 아시아의 전통놀이에 관심이 있을까 걱정이 많았는데 막상 오늘 보니 즐겁게 참여해 다행”이라며 “학생들이 다문화사회를 친숙하게 접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남원교육지원청 김학산 교육감은 "다문화가족에게 가르치키보다는 그분들로부터 배움으로써 다문화 수용적인 태도를 학생들에게 심어주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남원지역 학교학부모들이 직접 참여해 기획과 준비를 하는 등 학교 참여의 새로운 풍속도를 보였다. 남원에는 약 250명의 다문화가족 구성원이 있다.
...
편집부 (2013-10-21 12:16:03)
베트남 등에서 이주해온 여성들이 어린 학생들에게 자기 나라의 전통놀이를 가르쳐주는 행사가 열렸다. 한국 학생들이 아시아 전통놀이를 배움으로써 다문화가족 어린이들과 화합할 수 있게 돕자는 취지다.
19일 전북 남원교육지원청은 학생과 학부모 1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베트남, 일본, 중국, 필리핀 등 아시아 전통놀이를 체험하는 전래놀이마당을 남원초등학교 운동장에서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