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생태관광육성지원센터는 지난 25일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직원 및 교육생을 대상으로 ‘전북천리길 걷기 팸투어 – 살아 숨 쉬는 갯벌과 생명들의 기운’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팸투어는 참가자들이 전북의 대표 생태관광 자원인 천리길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지역의 생태적 가치를 이해하고 향후 행정 현장에 접목하거나 여가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중심 프로그램이다. 이는 지방에 위치한 국가기관과 해당 지역이 협력하여 지역 균형발전과 상생을 도모하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되었다.
행사는 부안군 변산면 일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직원 및 교육생 등 24명이 참여해 전북천리길 제3길(모항 갯벌 체험길) 약 5km 구간을 걸었다. 솔섬(전북학생수련원)에서 출발해 상그릴라 펜션단지, 변산산림수련관, 모항마을을 지나 모항갯벌체험장에 이르는 코스를 따라, 변산반도 해안의 생태와 갯벌의 생명력을 직접 체감했다.
참가자들은 전북 생태관광 정책과 천리길 운영 사례를 청취하고, 내소사 전나무 숲길 산책과 청자박물관 탐방 등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체험활동을 함께 하며 생태관광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방자치 인재개발원과의 협업을 위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한 프로그램으로, 국가기관과 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자원을 활용한 상생 모델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한순옥 전북특별자치도 탄소중립정책과장은“이번 팸투어는 전국에서 온교육생들이 전북의 자연과 사람,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지역의 가치를 이해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국가기관과 지방이 협력하여 지역의 생태관광을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지역균형발전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생태관광육성지원센터는 이번 프로그램을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인재개발원을 방문하는 교육생과 직원들이 전북의 천리길과 생태관광지에 참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교류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Jeonbuk Ecotourism Promotion Center, Field Trip for Trainees of Local Government Talent Development Institut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Jeonbuk Ecotourism Promotion Support Center announced that on the 25th of last month, they held an event called 'Jeonbuk Cheonrigil Walking Farm Tour - The Energy of Living and Breathing Mudflats and Life' for employees and trainees of the Local Autonom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This farm tour allowed participants to directly experience the Cheonrigil program, a representative ecotourism resource of Jeonbuk, in order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value of the region and apply it to future administrative practices or leisure activities. This on-site program, which aims to promot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and mutual prosperity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 national agency and the local community, was a meaningful opportunity.
The event took place in Byeonsan-myeon, Buan County, with 24 participants including employees and trainees walking a 5km section of the Jeonbuk Cheonrigil Trail 3 (Mohan Mudflat Experience Trail). Starting from Solseom (Jeonbuk Student Training Center), they walked through Sanggurilla Pension Village, Byeonsan Forest Training Center, the Mohang Village, and finally reached the Mohang Mudflat Experience Center, directly experiencing the ecology and vitality of the mudflats along the coast of Byeonsan Peninsula.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policies of Jeonbuk's ecotourism and examples of Cheonrigil operation, engaged in nature and culture-based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through the Naesosa Pine Forest Trail and exploring the Cheongja Museum,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ecotourism.
This program, initiated by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Autonom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is expected to evolve into a mutual prosperity model utilizing regional resourc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Han Soon-ok, the head of the Carbon Neutrality Policy Division of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tated, "This farm tour provided a meaningful time for trainees from across the country to directly experience the nature, people, and culture of Jeonbuk and understand the value of the region," adding, "We will continue to work together with nation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o revitalize ecotourism in the region and create exemplary cases of sustainabl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Jeonbuk Ecotourism Promotion Support Center plans to establish a sustainable exchange platform for trainees and employees visiting the Local Autonom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rom various regions nationwide to participate in Jeonbuk's Cheonrigil and ecotourism sites following this program.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Jeonbuk Ecotourism Promotion Support Center organized an event called 'Jeonbuk Cheonrigil Walking Farm Tour' to promote ecotourism. Participants explored the ecological value of the region through activities like walking trails and visiting cultural sites, aiming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mutual prosperity. This initiative encourages collaboration between national agencies, local communities, and trainees for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 Korean Translation: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생태관광진흥센터는 '전북 천리길 워킹팜투어' 행사를 개최하여 생태관광을 촉진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산책로를 따라 문화 유적지를 방문하고 지역의 생태 가치를 탐험하며 균형있는 발전과 상호 번영을 목표로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해 국가 기관, 지역사회, 그리고 연수생들 간의 협력을 장려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was the purpose of the 'Jeonbuk Cheonrigil Walking Farm Tour' event?
'전북 천리길 워킹팜투어' 행사의 목적은 무엇이었습니까?
2. How did participants directly experience the ecology of the region during the farm tour?
참가자들은 워킹팜투어 중에 어떻게 지역의 생태를 직접 경험했나요?
3. What are the expected outcomes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nation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in promoting ecotourism in Jeonbuk?
전북에서 생태관광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기관과 지방 정부가 협력하는 것의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Ecotourism (생태관광, Noun)
- Tourism focused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conservation and provide beneficial experiences.
- 자연 환경에 초점을 맞춘 관광으로 보존을 촉진하고 유익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 Ecotourism helps raise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conservation.
- 생태관광은 환경 보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Experiential (체험 중심의, Adjective)
- Involving learn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or participation.
- 직접 경험하거나 참여를 통해 배우는 것을 포함하는 것.
- The workshop offers experiential activities for children to learn about science.
- 그 워크샵은 과학에 대해 배우기 위해 체험 중심의 활동을 제공합니다.
3. Vitality (활력, Noun)
- The state of being strong, active, and full of energy.
- 강하고 활동적이며 에너지에 가득 찬 상태.
- Exercise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vitality and overall well-being.
- 운동은 활력과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4. Revitalize (재기하다, Verb)
- To give new life, energy, or strength to something.
- 무언가에 새로운 생명, 에너지 또는 힘을 주다.
- The renovation project aims to revitalize the old neighborhood.
-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오래된 동네를 재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5. Collaboration (협력, Noun)
-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towards a common goal.
- 공통 목표를 향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
- The success of the project depend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teams.
- 프로젝트의 성공은 두 팀 간의 협력에 달렸습니다.